제목 [산업분석] 메타버스분야_메타버스 활성화 전략 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김민성 조회수 41
용량 5.9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메타버스분야_메타버스 활성화 전략 분석.pdf 5.9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5-24 
출처 :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페이지 수 : 133 

< 목 차 >

 

제 1 장 서론
제 1 절 연구 배경 
제 2 절 연구목표 및 추진체계


제 2 장 메타버스 플랫폼
제 1 절 플랫폼의 개념
제 2 절 주요 메타버스 플랫폼 분석
제 3 절 시사점

 

제 3 장 메타버스와 디지털 휴먼
제 1 절 디지털 휴먼의 부상
제 2 절 디지털 휴먼의 미래
제 3 절 시사점

 

제 4 장 메타버스와 사회혁신
제 1 절 사회혁신의 개념 
제 2 절 사회혁신을 위한 메타버스
제 3 절 시사점

 


 

인터넷 이후, 새로운 시대의 미래상으로 메타버스(Metaverse)에 주목하고 있다. 주요 글로벌 IT 기업들이 메타버스를 인터넷 이후의 새로운 미래로 인식하고 있으며, 엔비디아, 메타, MS, 에픽게임즈 등 선도기업들이 메타버스를 미래의 성장동력으로 인식하면서 관련한 사업을 가속화 중이다. 페이스북은 기업의 미래 지향점을 메타버스에 두고, 사명을 메타(Meta)로 전환하는 등 메타버스를 인터넷의 다음 버전, 인터넷의 후계자로 명명하며 새로운 혁신의 시대를 준비하고 있다. 글로벌 메타버스 시장 규모는 2028년 804.65 Billion 달러로 성장 전망이며, 이는 2020년 47.69 Billion 달러에서 연평균 42.4% 속도로 성장한 수치이다1). [그림 1] 메타버스 시장 전망 세부 사항 출처: EMERGEN RESEARCH, Metaverse market trend analysis and segment forecast, 2021; https://www.emergenresearch.com/industry-report/metaverse-market 비대면 일상화, MZ세대 부상, 가상경제 관심의 증가는 메타버스를 확산시키는 주요 요인이다.2)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이 일상화되면서 가상에서 소통하고, 일하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메타버스 플랫폼이 등장하며 주목받고 있다. 또한, 가상세계가 익숙한 MZ세대들이 부상하면서 메타버스에서 이루어질 다양한 사회, 경제활동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어렸을 때부터 SNS를 통해 가상에서 새로운 자아를 만드는 데 익숙한 MZ세대는 디지털 세상 속 새로운 자아, 즉 멀티 페르소나를 통해 다양한 부캐를 만들고 자신을 표현한다. 예컨대 링크드 인에선 나의 전문성을, 인스타그램에서는 호화로운 일상을 강조하듯, Z세대는 네이버Z의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와 엔씨소프트의 팬 커뮤니티 위버스에서 각각 다른 페르소나를 보여준다.3) 앱 분석기업 센서타워(Sensortower)에 따르면 2020년 미국의 10대들은 로블록스에서 하루에 156분의 시간을 보냈으며, 유튜브는 54분, 인스타그램 35분, 페이스북 21분 순서이다. 또한, 로블록스의 설문 조사에 따르면 미국 10대의 52%가 현실 친구를 만난 시간보다 로블록스를 비롯한 온라인 플랫폼에서 보낸 시간이 더 많다고 답했고, 미국의 10세~17세 청소년의 40%가 매주 한 번 이상 포트나이트에 접속해 전체 여가 시간의 25%를 보내고 있다. 뱅크 오브 아메리카는 Z세대의 경제력이 모든 세대 중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고 밝혔는데, 이 세대들이 노동시장에 진입하면서 발생하는 소득이 2030년까지 33조 달러(약 3경 6,699조 원)로, 세계 소득의 25% 이상을 차지한 뒤 2031년에는 밀레니얼 세대의 소득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했다.4)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87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미디어분야_중국 정부, 미성년자 인터넷 라이브 방송 이용 규제 정책 동향 1도토리 김민성
3870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저성장-고물가 함정에 빠진 한국의 경제동향 3도토리 김민성
3869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인공지능분야_인공지능 신뢰체계 정립방안 분석 7도토리 김민성
»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메타버스분야_메타버스 활성화 전략 분석 7도토리 김민성
3867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인공지능분야_인공지능 통계체계 구축을 위한 기획분석 7도토리 김민성
386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소프트웨어분야_ SW안전분야 기업성장 지원정책 방안 및 연구 7도토리 김민성
386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소프트웨어분야_2022년 SW산업 10대 이슈 및 전망 3도토리 김민성
3864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EU의 지속가능금융 정책 추진동향 및 시사점 1도토리 김민성
3863 생명공학/바이오 [기술동향] 바이오분야_항암제 신약 개발을 위한 효율적 개발전략 동향 3도토리 김민성
3862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통신분야_최근 국내 이동통신서비스 이용행태 동향 1도토리 류지원
3861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고해상도 3D 데이터 생성 기술 분석과 연구 동향 1도토리 류지원
3860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MPEG-I Immersive Audio 표준화 및 기술 분석 1도토리 류지원
3859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저궤도 군집 통신위성 탑재체 기술 분석 1도토리 류지원
3858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전자파 세포노출장치 기술 분석 1도토리 류지원
3857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5G 모바일 프론트홀 광전송 기술 분석 1도토리 류지원
3856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실리콘 포토닉스 기반 광트랜시버 기술 분석 1도토리 류지원
3855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개방형 5G 프론트홀 기술 분석 1도토리 류지원
385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지털분야_디지털 역기능 3대 이슈 쟁점및 과제 3도토리 류지원
385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일본 경제안전보장법의 주요 내용과 쟁점 분석 1도토리 최민기
385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미국 인플레이션 동향과 주요 대응정책 1도토리 최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