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한국의 경상수지 흑자 원인 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현상 조회수 39
용량 7.12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한국의 경상수지 흑자 원인 분석.pdf 7.12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11-30 
출처 : 한국은행 
페이지 수 : 25 

[ 목 차 ]

 

Ⅰ. 머릿말

Ⅱ. 경상수지 동향

Ⅲ. 경상수지 흑자 확대 요인 분석

Ⅳ. 맺음말

 


 

우리나라의 경상수지는 2000년 이후 흑자기조를 지속하고 있다. 특히 2012 년부터 흑자폭이 크게 확대되면서 우리나라의 GDP 대비 경상수지 흑자 비율 은 2000~2011년중 연평균 1.5%에서 2012~2021년중 5%대로 약 3.5%p 상승 하였다. 본고에서는 우리나라의 경상수지 흑자가 큰 폭으로 확대된 요인을 실증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중장기 시계에서 향후 우리나라의 경상수지 추이를 전망해 보았다. 본고의 분석은 49개국 패널자료를 이용하고 있으며, 경 상수지 분석에 널리 활용되고 있는 국가패널모형 중 IMF의 External Balance Assessment(EBA) 모형을 준용하되 최근 연구들에서 중시하고 있는 GVC 참여 도, 제조업 의존도 등의 변수를 추가로 감안하였다. 국가패널모형을 이용한 실증분석 결과 우리나라의 경상수지 흑자가 2012년 이후 큰 폭으로 확대된 데는 장기 구조적 요인과 중기 거시경제 여건에 상당 부 분 기인한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특히 2018년 이후에는 경상수지 흑자 대부분 이 이러한 중장기 요인에 의해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 구조적 요인의 흑자 기여도는 핵심저축인구 비중 상승 등 인구구성 변화(정적효과)뿐만 아니 라 급속한 고령화 등에 따른 노후대비 저축유인 증대(동적효과)에 기인하여 추 세적으로 확대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중기적 흐름에서는 순대외자산 플러스 전환에 따른 본원소득 확대, 선진국 대비 양호한 재정수지, GVC 참여도 확대 등 이 흑자 요인으로 가세하고 있다. 반면 경기·일시적 요인(GDP갭과 국제유가)의 Ⅰ. 머릿말 Ⅱ. 경상수지 동향 Ⅲ. 경상수지 흑자 확대 요인 분석 Ⅳ. 맺음말 우리나라의 경상수지 흑자 요인 분석 17 ▪ 본고의 작성과 관련하여 유익한 논평을 해주신 송승주 부국장, 이홍직 국제무역팀장, 유진혁 차장, 윤영진 과장, 서울대학교 김소영 교수께 감사드립니다. ▪본 자료의 내용은 한국은행의 공식견해가 아니라 집필자 개인의 견해라는 점을 밝힙니다. 따라서 본 자료의 내용을 보도하거나 인용할 경우에는 집필자명을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기여도는 별다른 추세 없이 등락하고 있으며 환율 등 금융 요인의 기여도는 크 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고의 패널모형은 국별 고유의 특이요인이 감 안되지 않아 국별 분석시 적지 않은 구간에서 잔차(residuals)가 큰 경향이 있는 데, 우리나라의 경우 IT경기가 동 잔차를 상당 부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증분석의 결론을 바탕으로 중장기 경상수지의 기조적인 흐름을 전망한 결 과, 최근 우리나라 경상수지 흑자를 상당부분 설명하는 인구구조와 재정수지 의 흑자 기여도가 향후에는 점진적으로 축소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인구구조의 흑자 기여도는 현재 정점 부근에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향후 고령화 진전에 따 른 노년부양률 상승 등이 가계 저축률 하락을 야기하면서 완만한 감소세로 전 환될 전망이다. 재정수지의 흑자 기여는 사회보장지출 확대 등에 따라 완만하 게 축소될 전망이다. 반면, 순대외자산은 경상수지 흑자 누증의 영향으로 흑자 기여가 점차 확대되면서 인구구조·재정수지의 기여도 축소를 일부 상쇄할 것 으로 보인다. 최근의 경상수지 흑자폭 확대는 대부분 중·장기적 요인에 기인하고 있는 만 큼 금년중 경상수지 흑자 규모도 GDP 대비 5% 수준에 이를 것으로 보이며, 앞 으로 경제가 코로나 충격에서 벗어나 정상화되더라도 대규모 흑자 기조가 단기 간내 약화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경상수지 흑자가 경제의 불균형을 시 사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과도한 흑자는 해소될 필요가 있겠으나 대외의존도가 높은 비기축통화국이라는 우리나라의 특수성을 감안할 때 이러한 흑자 기조는 대외안정성을 제고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539 성장동력산업 VR 영상 기반 멀미 예측 및 가시화 기술 1도토리 조현상
538 성장동력산업 실감 현장 체감형 VR 시뮬레이터 기술 1도토리 조현상
537 성장동력산업 비디오 의미 구간 탐지 기술 1도토리 조현상
536 성장동력산업 우리나라와 미국의 주요 물가 동인 점검 1도토리 조현상
535 생명공학/바이오 빅데이터 기반 응급·중환자실 관리 시스템 [KHIDI 디지털 헬스케어 리포트] 1도토리 조현상
534 생명공학/바이오 글로벌 유전체 이니셔티브 현황과 동의 모델 특징 [KHIDI 디지털 헬스케어 리포트] 1도토리 조현상
533 생명공학/바이오 의료 인공지능의 신뢰성과 안전성 [KHIDI 디지털 헬스케어 리포트] 1도토리 조현상
532 생명공학/바이오 인공지능 기반 인구집단 건강관리를 통한 만성질환 관리 [KHIDI 디지털 헬스케어 리포트] 1도토리 조현상
531 성장동력산업 우리나라의 F&B 소비재 수출 동향 1도토리 조현상
530 성장동력산업 Digital Transformation(DX), 철강산업에서의 意味와 事例 1도토리 조현상
529 성장동력산업 2050 탄소중립 및 배출권거래제의 활성화 3도토리 조현상
528 성장동력산업 코로나19의 지속과 자영업의 업종별 경영상황 분석 1도토리 조현상
527 성장동력산업 조선산업 패러다임 전환의 핵심, 기자재 국산화와 상용화 전략 1도토리 조현상
526 성장동력산업 리사이클 섬유산업 현황과 정책과제 1도토리 조현상
525 성장동력산업 코로나19 발생 이후 제조업 고용 변화: 중간 점검 1도토리 조현상
524 성장동력산업 지역혁신협의회 운영현황과 발전뱡향 1도토리 조현상
523 성장동력산업 베트남 유통산업의 ENT(경제적 수요심사)와 시사점 1도토리 조현상
522 성장동력산업 EU의 에너지 가격 급등 대응현황 및 시사점 1도토리 조현상
521 성장동력산업 무충전 무선 체온센서 기술 1도토리 조현상
520 성장동력산업 음성자막 콘텐츠 제작 소프트웨어 기술 1도토리 조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