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정책동향] EU의 지속가능금융 정책 추진동향 및 시사점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김민성 조회수 43
용량 702.67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정책동향] EU의 지속가능금융 정책 추진동향 및 시사점.pdf 702.67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5-31 
출처 : KDB 미래전략연구소 
페이지 수 : 18 

파리협정 이행 시기 도래로 글로벌 新기후체제가 본격화되면서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국제사회의 움직임이 더욱 확산되고 있다. EU, 미국 등 주요국은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녹색성장 패러다임을 국가의 장기적인 성장전략이자 발전기회로서 추진하고 이를 바탕으로 글로벌 영향력을 확대하는 추세이다. EU는 유럽 그린딜을 통해 최초의 기후중립 대륙을 지향하는 목표를 발표 하고 선도적으로 전 세계의 기후변화 대응을 주도하고 있다. 1조유로 규모의 그린딜 투자계획, 유럽기후법 제정 및 관련 법안패키지 발표 등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경제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체계적인 제도 마련에 앞장서고 있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대규모 자금이 친환경 프로젝트와 E 금융상품으로 유입되면서 그린워싱(위장친환경행위) 리스크도 동반 증가함에 따라, EU를 필두로 녹색경제활동 분류체계 및 관련 제도 수립에 대한 국제적인 논의가 활발하다. EU는 사회가 지속가능한 발전으로 향하는 데 필수적인 기반이자 녹색경제 활동으로 흐름을 유도할 주요한 수단으로서 지속가능금융 프레임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유럽의 녹색경제화를 유도할 뿐 아니라 전 세계의 녹색경제 전환을 독려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 EU의 녹색분류체계의 구체화, 지속가능성에 대한 공시규정 개선 등 지속가능금융에 대한 규제 정비가 가속화됨에 따라 향후 글로벌 금융환경에도 상당한 변화가 예상된다. 이러한 변화를 경쟁력 강화의 기회로 삼기 위해서는 글로벌 표준이 확립되어 가는 과정을 주시하고 신속히 반영해 나갈 필요가 있다.Ⅰ. EU의 기후행동과 지속가능금융 1. 배경 ❑ 2015년 UN의 지속가능개발목표 및 파리협정 채택 이후 지속가능발전과 이를 위한 기후변화 대응 및 탄소중립에 대한 국제적 관심이 확산 ❍ UN은 2015.9월 제70차 UN총회에서 ‘Transforming our world: the 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를 채택하고 SDGs17(Sustainable Development Goals17) 발표를 통해 지속가능발전 패러다임을 구체화 - ‘지속가능발전’은 사회 및 경제발전과 더불어 환경보호를 통해 미래의 필요를 충족시킬 능력을 저해하지 않고 현재 세대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개념1) - UN 회원국은 만장일치로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목표 수립에 합의하고 이행 주체를 모든 회원국 및 공공, 민간을 포함한 모든 참여자로 설정❍ 2015.12월 파리협정을 거치며 전 세계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루기 위해 기후 변화 대응 및 탄소중립을 추구하는 글로벌 공조가 확대 - 파리협정에서 모든 당사국은 ‘지구의 평균온도 상승을 산업화 이전 대비 2℃이하로 유지하고, 1.5℃로 제한하기로 노력’하는 목표 설정에 합의 - 선진국 중심의 교토의정서2)를 넘어서 모든 당사국이 참여하는 글로벌 新기후 체제를 수립하며 전 세계적으로 협정 이행에 대한 논의가 가속화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87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미디어분야_중국 정부, 미성년자 인터넷 라이브 방송 이용 규제 정책 동향 1도토리 김민성
3870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저성장-고물가 함정에 빠진 한국의 경제동향 3도토리 김민성
3869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인공지능분야_인공지능 신뢰체계 정립방안 분석 7도토리 김민성
386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메타버스분야_메타버스 활성화 전략 분석 7도토리 김민성
3867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인공지능분야_인공지능 통계체계 구축을 위한 기획분석 7도토리 김민성
386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소프트웨어분야_ SW안전분야 기업성장 지원정책 방안 및 연구 7도토리 김민성
386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소프트웨어분야_2022년 SW산업 10대 이슈 및 전망 3도토리 김민성
»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EU의 지속가능금융 정책 추진동향 및 시사점 1도토리 김민성
3863 생명공학/바이오 [기술동향] 바이오분야_항암제 신약 개발을 위한 효율적 개발전략 동향 3도토리 김민성
3862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통신분야_최근 국내 이동통신서비스 이용행태 동향 1도토리 류지원
3861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고해상도 3D 데이터 생성 기술 분석과 연구 동향 1도토리 류지원
3860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MPEG-I Immersive Audio 표준화 및 기술 분석 1도토리 류지원
3859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저궤도 군집 통신위성 탑재체 기술 분석 1도토리 류지원
3858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전자파 세포노출장치 기술 분석 1도토리 류지원
3857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5G 모바일 프론트홀 광전송 기술 분석 1도토리 류지원
3856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실리콘 포토닉스 기반 광트랜시버 기술 분석 1도토리 류지원
3855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개방형 5G 프론트홀 기술 분석 1도토리 류지원
385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지털분야_디지털 역기능 3대 이슈 쟁점및 과제 3도토리 류지원
385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일본 경제안전보장법의 주요 내용과 쟁점 분석 1도토리 최민기
385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미국 인플레이션 동향과 주요 대응정책 1도토리 최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