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 동향] 일본 경제안전보장법의 주요 내용과 쟁점 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최민기 조회수 51
용량 486.82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 동향] 일본 경제안전보장법의 주요 내용과 쟁점 분석.pdf 486.82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5-24 
출처 : KOTRA 
페이지 수 :

◈ 공급망 강화, 기간 인프라 안정성 확보 등 경제안전보장을 위한 법률안 국회 통과◈ 법률 운용의 모호함, 시장 자율성 및 중국과의 관계 저하 우려가 쟁점으로 부각◈ 구체적인 시행안은 기본방침, 정령으로 추후 확정될 계획, 지속적 모니터링 필요 □ 법안 추진 배경 및 경과 ◦ 기시다 정권의 대표정책인 경제안전보장법이 5월 11일 참의원 본회의에서가결되어 성립 - 동 법률안은 2월 25일 국회에 제출된 이후 중의원 본회의 가결(4.7일), 참의원 본회의 가결(5.11일)되어 국회 통과 ◦ 정부가 제출한 법안 그대로 통과되었으며, 사업자 자율성 존중등23개항목이 담긴 부대결의안*도 함께 통과 * 법안 시행 관련 의견이나 요망사항 ◦ 5월 법률 공포 이후 2023년부터 단계적 시행 예정 - 일본 정부는 향후 법의 운용 관련 기본방침을 정해 각의 결정한뒤, 경제계등의 의견을 수렴하여 규제 범위 등 구체적인 시행을 위한 정령및주무부처령을 수립할 예정 · 내각관방 국가안전보장국(NSS) 내 ‘경제반’ 신설(’20.4월) → ‘경제안전보장담당장관(고바야시 다카유키)’직 신설(’20.10월) → 내각관방 내 ‘경제안전보장법제준비실’ 개설(’21.11월) → 전문가 회의 제언 정리(’22.2월) → 정부 법안 국회제출(’22.2.25.) → 중의원 본회의 심의 개시(’22.3.17.) → 중의원 본회의 가결(’22.4.7.) → 참의원 내각위원회 가결(’22.5.10.) → 참의원 본회의 가결, 성립(’22.5.11□ 법안의 주요 내용 ◦ (배경) 최근 미·중 무역분쟁 등 국제정세 다변화, 급격한 사회경제변화에 따라 경제활동과 관련된 안전을 해치는 행위*에 대한 사전방지의중요성 증가 * (예시) 22년 3월 1일, 사이버 공격으로 도요타자동차 일본 14개 공장이 일시적으로 가동중지◦ (주요 내용) 총 7장, 99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공급망 강화, △기간인프라 안정성 확보, △첨단기술 민관협력, △특허 비공개등4가지핵심 내용으로 구성 ① (공급망 강화) 시행 공포 후 9개월 이내 시행 예정 - 국민생활이나 경제활동에 필수불가결한 중요물자를 ‘특정 중요물자’로지정* 반도체, 의약품, 희토류, 축전지 등 - 특정 중요물자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 공급망 확보 계획을 정부에제출하여정부가 인정한 사업자에 대해 재정 지원, 금리부담 경감 등 지원- 한편, 정부는 특정 중요물자를 생산·수입·판매하는 사업자에 대해조달처, 비축상황 등에 대한 보고와 자료 제출을 요구할 수 있음. - 공급망 계획을 허위로 기재하는 경우 등 위반 시 30만 엔 이하의벌금부과② (기간 인프라 안정성 확보) 시행 공포 후 1년 6개월∼9개월 이내시행예정- 전기, 가스, 석유, 수도, 전기통신, 방송, 우편, 금융, 신용카드, 철도, 화물자동차운송, 외항화물, 항공, 공항 등 14개 기간 인프라 분야의 사업자가 중요설비의도입 또는 유지·관리 위탁 시 정부의 사전심사 의무화 - 정부는 사이버 공격에 사용될 우려가 있는 외국 제품이 사용되고있는지심사해 결과에 따라 사업자에게 권고·명령 가능 - 기간 인프라 설비에 대한 허위 신청 등 위반 시 2년 이하 징역 또는100만엔이하 벌금 부과③ (첨단기술 민관협력) 시행 공포 후 9개월 이내 시행 예정 - 첨단 분야의 중요기술 연구개발 촉진 및 성과 활용에 관한 기본지침책정및 자금 지원, 민관협의회 설치를 통한 정보 공유, 싱크 탱크를 통한조사연구위탁 등을 실시 - 관계자의 기밀 누출 위반 시 1년 이하 징역 또는 50만 엔 이하 벌금부과④ (특허 비공개) 시행 공포 후 2년 이내 시행 예정 - 특허 공개 시 국가안전을 훼손할 우려가 있는 기술의 특허출원에대해출원의 공개절차 유보를 통한 정보 유출 방지 제도를 정비 * 핵 기술, 고도의 무기기술 등 - 위반 시 2년 이하 징역 또는 100만 엔 이하 벌금 부과 4대 핵심 주요 내용 주요 벌칙 불명확한 부분 시행일 공급망 강화 · 반도체 등 특정 중요물자 조달 관련 공장정비, 비축 등 재정지원 조달 처, 비축상황 등 관련 정부의 조사 권한 30만엔 이하 벌금 특정 중요 물자의 대상은 ‘상당히 압축한다’지만 구체적으로는 불명확 시행공포후9개월 이내기간 인프라 안정성 확보 · 전기, 가스, 석유, 수도, 전 기통신, 방송, 우편, 금융, 신용카드, 철도, 화물자동차 운송, 외항화물, 항공, 공항 등 14개 업종에서 중요 설비 도입 시 사전심사 및 권고·명령 2년 이하 징역 또는 100만엔 이하 벌금 대상 사업자는 ‘꼭 필 요한 것으로 한정하고’ 중소사업자는 대상에서 제외되지만, 예외도 있을 수 있음. 시행공포후1년6∼9개월이내 첨단기술 민관협력 · AI, 양자 등 연구개발 민 관협의회 설치 및 정보 공유, 기술 개발 지원 1년 이하 징역 또는 50만엔 이하 벌금 AI, 양자 등 연구를 상정하고 있으나, 방위기술과의 결부 우려도 있어 용도 예단이 어려움. 시행공포후9개월 이내특허 비공개 · 군사전용 우려가 있는 기 술의 특허출원 비공개 2년 이하 지역 또는 100만엔 이하 벌금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대상이 될 발명은 ‘충분히한정한다’지만불명확 시행공포후2년 이내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859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저궤도 군집 통신위성 탑재체 기술 분석 1도토리 류지원
3858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전자파 세포노출장치 기술 분석 1도토리 류지원
3857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5G 모바일 프론트홀 광전송 기술 분석 1도토리 류지원
3856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실리콘 포토닉스 기반 광트랜시버 기술 분석 1도토리 류지원
3855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개방형 5G 프론트홀 기술 분석 1도토리 류지원
385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지털분야_디지털 역기능 3대 이슈 쟁점및 과제 3도토리 류지원
»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일본 경제안전보장법의 주요 내용과 쟁점 분석 1도토리 최민기
385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미국 인플레이션 동향과 주요 대응정책 1도토리 최민기
385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레바논 경제위기 관련 최근 동향과 전망 1도토리 최민기
385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 호주 총선 결과와 시사점 3도토리 최민기
384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농업분야_주요국의 저탄소 농업정책 7도토리 최민기
3848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글로벌 통화정책 변화에 따른 위험요인과 시사점 1도토리 최민기
384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 금융회사와 빅테크 기업의 개인사업자신용평가업 진출 현황 1도토리 최민기
384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SEC의 상장기업 기후 공시 의무화 방안 1도토리 최민기
3845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ESG_탈세계화 시대, 지배구조 이슈화 분석 3도토리 최민기
384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터넷분야_추천 알고리즘 시대, 인터넷은 맞춤형으로 진화중 7도토리 한상윤
384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철강/화학 분야_미중용 배터리, 메탈 슬러그 1도토리 한상윤
384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에너지/유틸리티 분야_에너지 전환 동향 보고서 7도토리 한상윤
384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터넷/게임 분야_위기의 게임주, 투자전략 점검 1도토리 한상윤
384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그린솔루션/항공우주/스몰캡 분야_전쟁이 낳은 역설, 新 성장산업의 등장 7도토리 한상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