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동향] 미국 인플레이션 동향과 주요 대응정책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최민기 조회수 46
용량 725.8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동향] 미국 인플레이션 동향과 주요 대응정책.pdf 725.8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5-27 
출처 : KOTRA 
페이지 수 :

Ⅰ. 미국 인플레이션 동향 □ 미국 노동부 소비자물가지수 발표 ◦ 미국 노동부, 전년 동월 대비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 8.3% 상승 발표(5.11) - 40여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한 3월(8.5%) 보다는 상승세가 둔화된 수치이나기존WSJ 등이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 8.1% 보다는 큰 폭의 상승률 - 노동통계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이번 4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최근8개월만에처음으로 오름폭이 둔화된 것으로 전월 대비 0.3% 오른 것으로 집계 - 식품·에너지 등을 제외한 근원 소비자물가지수(Core Consumer Price Index)는전월보다는0.6% 상승했으며 전년 동월보다는 6.2% 오른 것으로 집계◦ 4월 미국 CPI 상승 주요 요인은 식품과 에너지, 자동차, 항공 가격 변동- 4월 식품 가격은 17개월 연속 상승하며 전월보다 0.9%, 전년 대비 9.4% 상승했고, 베이커리와 육류·계란 가격은 전월보다 각각 1.1%, 1.4% 상승하여전년동월 대비 10.3%, 14.3% 상승 - 에너지 가격은 휘발유 가격의 6.1% 하락으로 인해 전월 대비 2.7% 하락했으나전년 동월 대비 30.3% 상승한 가격으로 여전히 높은 수치 - 중고차와 트럭 가격은 전월 대비 0.4% 하락했으나 전년 동월 대비 22.7%상승, 신차 가격은 전달 대비 1.1%, 전년 대비 13.2% 상승으로 물가 상승견인- 항공 운임 역시 전월 대비 18.6% 상승했으며 전년 동월 대비 33.3% 수준 [자료: 미국 노동통계국] [자료: 미국 노동통계국] □ (참고) 미국 상무부 3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 지수 ◦ 미국 3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는 전년 같은 기간 보다 6.6% 상승- 이는 40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 수치로 에너지 가격은 33.9%, 식료품가격도 9.2% 급등세, 근원 PCE는 2월 5.3%, 3월 5.2% 상승 - 2021년12월5.8%, 2022년1월6.0%, 2월6.3%, 3월6.6%로4월PCE는5월27일공개예정Ⅱ. 바이든 행정부, 인플레이션 주요 대응 정책 □ 인플레이션 주요 대응책으로 백악관 성명 잇따라 발표 ◦ 바이든 행정부는 백악관 성명을 통해 인플레이션 대응 마련을 경제정책최우선순위로 거듭 강조하며 연방준비제도와 더불어 재정적자 관리 방안 계획 발표* The Biden-Harris Inflation Plan: Lowering Costs and Lowering the Deficit (백악관, 5.10) - 미국 인플레이션 대응 노력으로 리사 쿡(Lisa Cook) 연준 이사*를 임명하고금리인상과 관련한 연준의 독립성 보장과 연방 정부의 재정적자 관리를강조* 미시간 주립대 경제학자 겸 국제관계학 교수로 재무부, 백악관(경제자문위원회) 등 근무- 아울러, 미국 내 에너지 독립성 확보를 위한 가스 및 에너지 비용 절감 정책, 일상비용절감 정책을 발표하며 다방면으로 인플레 완화 노력 분 야 주요 내용 비고가스및에너지 비용절감 전략비축유(Strategic Petroleum Reserve) 100만 배럴 방출, 동맹국 및 협력국 석유 수출망 확보, 바이오 연료(E15) 사용 확대 등 에너지독립성확보청정에너지 및 차량 세금 공제 확대, 청정에너지 혁신 가속화 촉구, 국내 청정에너지 및 청정 운송 공급망 강화 차량 연비 표준 발전, 충전인프라 확대, 전기자동차 장려 등 일상 비용 절감 가족 보험료 세금 공제, 인플레이션 가격과 비교한 제약회사 물가 안정, 의회 처방약 비용 및 의료 보험료 인하 제안 세계식량위기대응, 물가안정등일상비용절감노력미국 농산품 공급 안정화, 육류 및 사육조류 가공 불법 가격 담합 단속, COVID-19 중소기업 및 농업 종사자 구호금 제공 인프라, 공급망 병목 현상 해결 노력, 팬데믹 기간 동안 인플레이션을 유발한 주요 상품에 대한 신규 투자 촉진 아이 돌봄(Child Care) 및 장기 요양비용 절감, 보육 투자 확대 신규 주택 건설을 위한 연방 재정 확대 노력(별도 성명 발표) 기 타 억만장자 최소 소득세 도입 노력 연방예산적자감소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03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항공분야_대한항공의 진에어 지분 취득 1도토리 조정희
403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우주분야_누리호 2차 발사, 우주산업 성장 신호탄 1도토리 조정희
4034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대출증가 둔화에도 이자이익 증가세 유지 전망 1도토리 조정희
403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항공분야_주가동향 1도토리 조정희
403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필수생산재와 원자재 이집트 신용장 의무화 조치에서 제외, 세부 품목 리스트 공개 1도토리 조정희
403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정책동향] 미얀마 외화 강제 환전 조치의 현황과 전망 1도토리 조정희
4030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싱가포르 국제 커피 및 차 전시회(ICT Asia 2022) 방문기 1도토리 조정희
402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영국 국제 시설관리 전시회 참관기 1도토리 조정희
402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미국 플라스틱 사출 성형 디자인 엑스포 참관기 1도토리 조정희
4027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터키 치과기자재 전시회 IDEX 2022 참관기 1도토리 조정희
402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경제동향] 2021년 통계로 보는 한국의 북마케도니아 수출 특징 1도토리 조현상
402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경제동향] 방글라데시, 환율 및 물가 상승으로 주요 경제지표 악화 우려 1도토리 조현상
402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중국, 전국 단위의 조업 재개 움직임 1도토리 조현상
402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스마트시티 아시아 2022 참관기 1도토리 조현상
402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정책동향] 美, 중국 신장위구르산 제품 수입 전면 금지 예정 1도토리 조현상
402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 협상 출범에 따른 현지 반응 및 시사점 1도토리 조현상
402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이집트 COP27 개최 준비에 박차, 환경 프로젝트 각광 1도토리 조현상
4019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InterFood Caspian Agro 전시회 현장 인터뷰 1도토리 조현상
401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일본, 아연도금철선에 대한 반덤핑 관세 조사 기간 연장 1도토리 조현상
401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말레이시아 글로벌 공급망(GVC) 산업 동향 1도토리 조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