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동향] 미국 인플레이션 동향과 주요 대응정책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최민기 조회수 47
용량 725.8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동향] 미국 인플레이션 동향과 주요 대응정책.pdf 725.8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5-27 
출처 : KOTRA 
페이지 수 :

Ⅰ. 미국 인플레이션 동향 □ 미국 노동부 소비자물가지수 발표 ◦ 미국 노동부, 전년 동월 대비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 8.3% 상승 발표(5.11) - 40여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한 3월(8.5%) 보다는 상승세가 둔화된 수치이나기존WSJ 등이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 8.1% 보다는 큰 폭의 상승률 - 노동통계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이번 4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최근8개월만에처음으로 오름폭이 둔화된 것으로 전월 대비 0.3% 오른 것으로 집계 - 식품·에너지 등을 제외한 근원 소비자물가지수(Core Consumer Price Index)는전월보다는0.6% 상승했으며 전년 동월보다는 6.2% 오른 것으로 집계◦ 4월 미국 CPI 상승 주요 요인은 식품과 에너지, 자동차, 항공 가격 변동- 4월 식품 가격은 17개월 연속 상승하며 전월보다 0.9%, 전년 대비 9.4% 상승했고, 베이커리와 육류·계란 가격은 전월보다 각각 1.1%, 1.4% 상승하여전년동월 대비 10.3%, 14.3% 상승 - 에너지 가격은 휘발유 가격의 6.1% 하락으로 인해 전월 대비 2.7% 하락했으나전년 동월 대비 30.3% 상승한 가격으로 여전히 높은 수치 - 중고차와 트럭 가격은 전월 대비 0.4% 하락했으나 전년 동월 대비 22.7%상승, 신차 가격은 전달 대비 1.1%, 전년 대비 13.2% 상승으로 물가 상승견인- 항공 운임 역시 전월 대비 18.6% 상승했으며 전년 동월 대비 33.3% 수준 [자료: 미국 노동통계국] [자료: 미국 노동통계국] □ (참고) 미국 상무부 3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 지수 ◦ 미국 3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는 전년 같은 기간 보다 6.6% 상승- 이는 40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 수치로 에너지 가격은 33.9%, 식료품가격도 9.2% 급등세, 근원 PCE는 2월 5.3%, 3월 5.2% 상승 - 2021년12월5.8%, 2022년1월6.0%, 2월6.3%, 3월6.6%로4월PCE는5월27일공개예정Ⅱ. 바이든 행정부, 인플레이션 주요 대응 정책 □ 인플레이션 주요 대응책으로 백악관 성명 잇따라 발표 ◦ 바이든 행정부는 백악관 성명을 통해 인플레이션 대응 마련을 경제정책최우선순위로 거듭 강조하며 연방준비제도와 더불어 재정적자 관리 방안 계획 발표* The Biden-Harris Inflation Plan: Lowering Costs and Lowering the Deficit (백악관, 5.10) - 미국 인플레이션 대응 노력으로 리사 쿡(Lisa Cook) 연준 이사*를 임명하고금리인상과 관련한 연준의 독립성 보장과 연방 정부의 재정적자 관리를강조* 미시간 주립대 경제학자 겸 국제관계학 교수로 재무부, 백악관(경제자문위원회) 등 근무- 아울러, 미국 내 에너지 독립성 확보를 위한 가스 및 에너지 비용 절감 정책, 일상비용절감 정책을 발표하며 다방면으로 인플레 완화 노력 분 야 주요 내용 비고가스및에너지 비용절감 전략비축유(Strategic Petroleum Reserve) 100만 배럴 방출, 동맹국 및 협력국 석유 수출망 확보, 바이오 연료(E15) 사용 확대 등 에너지독립성확보청정에너지 및 차량 세금 공제 확대, 청정에너지 혁신 가속화 촉구, 국내 청정에너지 및 청정 운송 공급망 강화 차량 연비 표준 발전, 충전인프라 확대, 전기자동차 장려 등 일상 비용 절감 가족 보험료 세금 공제, 인플레이션 가격과 비교한 제약회사 물가 안정, 의회 처방약 비용 및 의료 보험료 인하 제안 세계식량위기대응, 물가안정등일상비용절감노력미국 농산품 공급 안정화, 육류 및 사육조류 가공 불법 가격 담합 단속, COVID-19 중소기업 및 농업 종사자 구호금 제공 인프라, 공급망 병목 현상 해결 노력, 팬데믹 기간 동안 인플레이션을 유발한 주요 상품에 대한 신규 투자 촉진 아이 돌봄(Child Care) 및 장기 요양비용 절감, 보육 투자 확대 신규 주택 건설을 위한 연방 재정 확대 노력(별도 성명 발표) 기 타 억만장자 최소 소득세 도입 노력 연방예산적자감소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859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저궤도 군집 통신위성 탑재체 기술 분석 1도토리 류지원
3858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전자파 세포노출장치 기술 분석 1도토리 류지원
3857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5G 모바일 프론트홀 광전송 기술 분석 1도토리 류지원
3856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실리콘 포토닉스 기반 광트랜시버 기술 분석 1도토리 류지원
3855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개방형 5G 프론트홀 기술 분석 1도토리 류지원
385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지털분야_디지털 역기능 3대 이슈 쟁점및 과제 3도토리 류지원
385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일본 경제안전보장법의 주요 내용과 쟁점 분석 1도토리 최민기
»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미국 인플레이션 동향과 주요 대응정책 1도토리 최민기
385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레바논 경제위기 관련 최근 동향과 전망 1도토리 최민기
385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 호주 총선 결과와 시사점 3도토리 최민기
384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농업분야_주요국의 저탄소 농업정책 7도토리 최민기
3848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글로벌 통화정책 변화에 따른 위험요인과 시사점 1도토리 최민기
384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 금융회사와 빅테크 기업의 개인사업자신용평가업 진출 현황 1도토리 최민기
384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SEC의 상장기업 기후 공시 의무화 방안 1도토리 최민기
3845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ESG_탈세계화 시대, 지배구조 이슈화 분석 3도토리 최민기
384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터넷분야_추천 알고리즘 시대, 인터넷은 맞춤형으로 진화중 7도토리 한상윤
384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철강/화학 분야_미중용 배터리, 메탈 슬러그 1도토리 한상윤
384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에너지/유틸리티 분야_에너지 전환 동향 보고서 7도토리 한상윤
384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터넷/게임 분야_위기의 게임주, 투자전략 점검 1도토리 한상윤
384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그린솔루션/항공우주/스몰캡 분야_전쟁이 낳은 역설, 新 성장산업의 등장 7도토리 한상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