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 동향] 2022 호주 총선 결과와 시사점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최민기 조회수 36
용량 1.24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 동향] 2022 호주 총선 결과와 시사점.pdf 1.24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5-30 
출처 : KOTRA 
페이지 수 : 26 

< 목 차 >

 

Ⅰ. 총선 결과 및 평가

Ⅱ. 한-호 협력에 영향을 주는 주요정책

기후변화‧신재생에너지
핵심광물
인프라
방산
외교
의료‧바이오
세금‧경기부양
이민

Ⅲ. 시사점

 


 

□ 총선 결과 ◦ 2022년 호주 총선, 노동당의 정권 탈환 성공 - 5월 21일 실시된 호주 총선 결과, 노동당이 과반에 가까운 최대 의석 확보에 성공하여 8년 9개월 만의 정권 탈환이 확정 - 노동당은 개표 77.2% 기준 151의석 중 과반에 가까운 75석 확보, 유력 경쟁당 자유연립당은 57석(자유당: 26석, 자유국민당: 21석, 국민당: 10석, 자유국가당: 0석)만을 차지 * 5월 27일 오후 14시 확인기준- 이번 총선 사전 여론조사 및 출구 조사를 통해 이미 노동당의 승리가 확실시된 분위기로 개표 68% 지점에 승리가 확정* 호주 하원은 전체 의석 151석 중 절대 과반인 76석 이상을 확보한 정당이내각을 구성, 절대 과반 미만의 경우 최다 의석 확보당과 무소속 정당연정하에 내각 구성 가능. 최다 의석 보유당 당수가 총리가 됨.□ 선거 결과 평가 ◦ 노동당 주요 승리 요인은 진보적 기후변화 정책 및 경제 불안정성에 대한 적극적 대응으로 분석, 96.8%의 역대 최고 투표율 기록 (2019년92%) - (기후변화) CNN 등 주요 외신, ‘기후변화 대응’을 노동당의 공약 중자유연립당과 가장 차별화되는 공약이자 유권자의 주요 관심사로 분석- (경제회복)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2001년 이래 가장 가파른 인플레이션 및 집값 상승 현상*, 이에 대한 범정부적 대응이 관건 * 호주준비은행의 코로나19 發 경제 침체 대응 저금리 정책과 양적완화로 부동산, 금, 현금 등 현물 자산 수요 증가. 아울러 러-우 전쟁 및 중국의 공급망 불안정성 증대로물가 및 집값 상승 현상 초래 ◦ 자유연립당의 주요 패인으로는 코로나19 發 여론 악화에 기인- 모리슨 정부, 코로나19 장기간 고강도 봉쇄 조치로 경제 침체 초래, 비판 세력 확산에 따른 지지율 하락 영향 ◦ 한편 노동당은 친중 정권으로 여겨지던 이전 외교적 성향에서 선회, 기존 모리슨 정부의 방향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전망- 노동당은 집권 시 호주와 중국의 관계가 달라질 수 있다는 우려에 ‘호주의 대중 정책에는 어떠한 변화도 없을 것’이라 일축□ 탄소 배출량 감축 목표 강화 및 친환경 에너지 활성화 ◦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 감축 목표 43%로 상향조정(기존 목표 26~28%) - 저렴한 친환경 에너지 생산을 위해 760억 호주달러 투자 * 전력망 개발 통한 전기세 감소 기여, 2025년까지 가구당 연간 275 호주달러전기세 절감 추진, 60만개 일자리 창출 - 국가 재건 기금 중 30억 호주달러를 친환경 기술 활용 제조 기술에 투자 * 친환경 금속(Green Metals) 생산, 친환경 에너지 제조업, 수소 전해 기술및연료 대체, 산업용 메탄 사용량 및 쓰레기 배출량 감소 등 ◦ 전기차 사용 증진 통한 탄소 배출 감축 추진 - 전기차 가격 인하 및 국가 전기차 산업 전략(National Electric Vehicle Strategy) 추진에 향후 3년간 2억 호주달러 투자 - 전기차 수입 관세 인하 및 전기차에 대한 특별 세금 혜택 지원* 5만 호주달러 가치의 전기차 사용자에 연간 최대 9천 호주달러 혜택 제공 □ 신재생에너지 기술 및 인력 양성 ◦ 태양광 및 배터리 시스템 투자 확대 - 전역 85개 태양열 은행(Solar bank)* 설치 및 400개 대용량 배터리 시스템 구축* 지역 사회 구성원이 태양열 프로젝트 일부를 구입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로 구매자는관련프로젝트에서 생산된 전기 지분을 소유. 동 제도를 통해 부여받은 크레딧으로 가정에태양광패널을설치할필요없이일정용량의태양광에너지를구입해사용하는효과를지님 ◦ 미래 에너지 기술 개선 및 인재 양성 지원책 강화 - 울런공 지역 에너지 인력 양성을 위해 1,250만 호주달러 투자* 울런공 대학교(University of Wollongong) 미래 에너지 기술 센터에 1,000만 호주달러투자- 뉴캐슬 대학교(Newcastle University) 에너지 연구 및 실험 센터 건축에 1,600만 호주달러 지원 - 미래 에너지 견습생 10,000명 육성 부문에 1,000만 호주달러 투자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859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저궤도 군집 통신위성 탑재체 기술 분석 1도토리 류지원
3858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전자파 세포노출장치 기술 분석 1도토리 류지원
3857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5G 모바일 프론트홀 광전송 기술 분석 1도토리 류지원
3856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실리콘 포토닉스 기반 광트랜시버 기술 분석 1도토리 류지원
3855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개방형 5G 프론트홀 기술 분석 1도토리 류지원
385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지털분야_디지털 역기능 3대 이슈 쟁점및 과제 3도토리 류지원
385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일본 경제안전보장법의 주요 내용과 쟁점 분석 1도토리 최민기
385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미국 인플레이션 동향과 주요 대응정책 1도토리 최민기
385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레바논 경제위기 관련 최근 동향과 전망 1도토리 최민기
»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 호주 총선 결과와 시사점 3도토리 최민기
384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농업분야_주요국의 저탄소 농업정책 7도토리 최민기
3848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글로벌 통화정책 변화에 따른 위험요인과 시사점 1도토리 최민기
384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 금융회사와 빅테크 기업의 개인사업자신용평가업 진출 현황 1도토리 최민기
384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SEC의 상장기업 기후 공시 의무화 방안 1도토리 최민기
3845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ESG_탈세계화 시대, 지배구조 이슈화 분석 3도토리 최민기
384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터넷분야_추천 알고리즘 시대, 인터넷은 맞춤형으로 진화중 7도토리 한상윤
384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철강/화학 분야_미중용 배터리, 메탈 슬러그 1도토리 한상윤
384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에너지/유틸리티 분야_에너지 전환 동향 보고서 7도토리 한상윤
384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터넷/게임 분야_위기의 게임주, 투자전략 점검 1도토리 한상윤
384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그린솔루션/항공우주/스몰캡 분야_전쟁이 낳은 역설, 新 성장산업의 등장 7도토리 한상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