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정책분석] 농업분야_주요국의 저탄소 농업정책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최민기 조회수 113
용량 2.12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정책분석] 농업분야_주요국의 저탄소 농업정책.pdf 2.12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5-27 
출처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페이지 수 : 82 

< 목 차 >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 방법

3. 선행연구 검토 및 차별성 ·

 

제2장 EU의 저탄소농업 정책

1. 농업 부문 온실가스 배출현황 및 감축 수단

2. 농업 부문 온실가스 감축 정책

3. 시사점

 

제3장 미국의 저탄소농업 정책

1. 농업 부문 온실가스 배출현황 및 감축 수단

2. 농업 부문 온실가스 감축 정책

3. 시사점

 

제4장 일본의 저탄소농업 정책

1. 농업 부문 온실가스 배출현황 및 감축 수단

2. 농업 부문 온실가스 감축 정책

3. 시사점

 

제5장 결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1. 연구 필요성 ❍ 농림업 부문에서 탄소중립의무 이행과 환경 위기 극복, 그리고 성장 동력 확 보를 위해 그린뉴딜 전략을 통한 녹색경제로의 전환이 필요함. ❍ 녹색경제를 보다 구체적으로 얘기하면 화석연료의 사용을 단계적으로 축소 하고 녹색기술과 녹색산업을 육성함으로써 국가경쟁력을 강화하고 지속가능 한 발전을 추구하는 경제를 말함(「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제22조). 따라서 녹색기술과 녹색산업을 육성하는 것이 핵심이며, 농림업 부문의 녹색기술과 녹색산업은 저탄소 농업기술, 친환경농업, 자원순환농업, 신재생에너지산업 등을 예로 들 수 있음.❍ 그린뉴딜 전략을 통한 녹색경제로의 성공적인 전환을 위해서는 관련 정책의 효과를 따져서 선별적 투자가 이루어져야 하며, 과거의 관련 정책 추진에 있 어 저해요인을 평가·반영하고, 각종 관련 제도의 개선점을 도출하여 실행할 필요가 있음. ❍ 녹색기술 이용 활성화 관련 정책은 효과평가를 근거로 추진되지 않고 있으며, 2019년 기준 농업 부문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 추진실적을 보면, 2050년 탄 소중립 실현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임. - 비용 대비 효과적인 기술 수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구체적인 실행계획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현재 기술보급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 ❍ 따라서 농림업 부문의 녹색기술과 녹색산업 육성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분석 하고, 녹색경제 활성화의 저해요인을 파악하며, 새로운 정책 프로그램을 발굴 하는 등 녹색경제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는 연구가 긴요함. 녹색경제 활성화를 위해 농업 부문의 녹색기술 및 녹색산업의 활성화 효과를 분석할 필요가 있으 며, 주요 문제점 및 요소를 파악하여야 함. 또한 녹색경제 정책의 효율적 추진 을 위해 해외 주요국의 사례 조사 및 분석이 필요함. ❍ EU, 미국, 일본 등 선진국은 농림업 부문의 녹색경제 전환을 추진하고 있으 며, 이러한 정책 사례는 한국 농업에 많은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됨. 이에 EU, 미국, 일본의 녹색기술 및 온실가스 감축 정책 등에 대한 연구를 추진하게 됨.1.2. 연구 목적 ❍ EU, 미국, 일본 등 주요 선진국의 농업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현황, 감축 기술 과 정책현황을 조사·분석함. ❍ 주요국 사례 조사·분석 결과를 기초로 우리 농업의 녹색기술 이용 활성화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함. 2. 연구 방법 ❍ 본 연구의 주요 연구 방법 및 내용은 아래의 로 구성하여 제시함.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768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인공지능분야_인공지능 통계체계 구축을 위한 기획분석 7도토리 김민성
376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소프트웨어분야_ SW안전분야 기업성장 지원정책 방안 및 연구 7도토리 김민성
376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소프트웨어분야_2022년 SW산업 10대 이슈 및 전망 3도토리 김민성
3765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EU의 지속가능금융 정책 추진동향 및 시사점 1도토리 김민성
3764 생명공학/바이오 [기술동향] 바이오분야_항암제 신약 개발을 위한 효율적 개발전략 동향 3도토리 김민성
3763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통신분야_최근 국내 이동통신서비스 이용행태 동향 1도토리 류지원
3762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고해상도 3D 데이터 생성 기술 분석과 연구 동향 1도토리 류지원
3761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MPEG-I Immersive Audio 표준화 및 기술 분석 1도토리 류지원
3760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저궤도 군집 통신위성 탑재체 기술 분석 1도토리 류지원
3759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전자파 세포노출장치 기술 분석 1도토리 류지원
3758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5G 모바일 프론트홀 광전송 기술 분석 1도토리 류지원
3757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실리콘 포토닉스 기반 광트랜시버 기술 분석 1도토리 류지원
3756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개방형 5G 프론트홀 기술 분석 1도토리 류지원
375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지털분야_디지털 역기능 3대 이슈 쟁점및 과제 3도토리 류지원
»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농업분야_주요국의 저탄소 농업정책 7도토리 최민기
3753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글로벌 통화정책 변화에 따른 위험요인과 시사점 1도토리 최민기
375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 금융회사와 빅테크 기업의 개인사업자신용평가업 진출 현황 1도토리 최민기
375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SEC의 상장기업 기후 공시 의무화 방안 1도토리 최민기
3750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ESG_탈세계화 시대, 지배구조 이슈화 분석 3도토리 최민기
374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터넷분야_추천 알고리즘 시대, 인터넷은 맞춤형으로 진화중 7도토리 한상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