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경제동향] ESG_탈세계화 시대, 지배구조 이슈화 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최민기 조회수 47
용량 1.21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경제동향] ESG_탈세계화 시대, 지배구조 이슈화 분석.pdf 1.21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5-02 
출처 : 증권사 
페이지 수 : 24 

< 목 차 >

 

Ⅰ. 탈세계화 시대, 주식시장에서는 ESG 중 지배구조(S)가 더욱 더 부각될 듯

1. ESG 는 지속가능발전목표를 위한 수단이다

2. 탈세계화 시대에는 무조건적인 추종이 아닌 리스크와 우리의 상황을 고려한 합리적인 ESG 정책 등이 마련되어야 함.

3. 기본(지배구조)이 되어야 다음 스텝으로 넘어갈 수 있다

 

Ⅱ. 지배구조(G) 이슈화 동향

1. 자사주 매입 및 소각(ft. SK, 삼성물산, 한샘)

2. 합병비율 산정 방식 논란(ft. 동원산업)

3. 물적분할 관련 상법 및 자본시장법 개정안 발의

 


 

1. ESG 는 지속가능발전목표를 위한 수단이다 지난 2015 년 193 개 유엔 회원국 정상들이 모여, 2016~2030 년까지 국제사회가 함께 달성해야 할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를 공식 채택하였다. 즉, 전 세계 정부, 기업, 시민사회 등 모든 이해관계자들의 폭넓은 의견수렴과 논의를 거쳐, 2030 년까지 달성해야 할 17 개 목표와 더불어 169 개 세부목표를 수립하였다. 이는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저개발국 등 모두가 보편적으로 적용하고 추진해야 할 광범위한 발전 목표이며,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모두의 발전을 원칙으로 한다. 지속가능발전목표의 17 개 목표는 사회발전, 경제성장, 환경보존 세 가지 축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17 개 목표 중 목표 1 부터 목표 6 은 사회발전 영역의 목표로, 이 목표의 달성을 통해 빈곤퇴치 및 불평 등을 해소하고 인간의 존엄성을 회복하고자 한다. 목표 8 부터 목표 11 은 경제성장을 달성하기 위한 목표이다. 무분별한 개발을 통한 경제규모의 성장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사람들이 양질의 일자리를 통해 적절한 수준의 생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포용적인 경제환경을 구축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 동력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목표 7, 12, 13, 14, 15 는 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한 목표이다. 현재 지구는 극심한 기후변화와 그로 인한 자연재해로 몸살을 앓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선진국에서의 대량 생산과 대량 소비는 환경을 오염 시키며 지구의 자원을 고갈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환경을 보호하고 지속 가능한 지구를 만들기 위한 목표가 여기에 포함되어 있다. 1 번부터 15 번까지의 목표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달성해야 하는 목표라면 16 번과 17 번은 이 목표들을 달성하기 위한 조건 및 방법을 담은 목표라고 할 수 있다. 16 번은 정의롭고, 평화로우며 효과적인 제도를 구축하는 것이며, 17 번 목표는 이 모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전 지구적인 협력이 필요하다는 내용이다.이렇듯 지속가능발전목표는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저개발국을 포함한 모든 국가가 인류의 번영을 위해 힘씀과 동시에 환경을 보호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무엇보다 이러한 지속가능발전목표를 다양한 국가적 상황에 따라 유연성을 발휘해 정부정책 및 관련법을 통해 반영하고 있는 중이다. 한편, 지속가능발전위원회(BSDC) 보고서에 따르면,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은 2030 년까지 최소 12 조 달러 가치에 준하는 경제적 기회와 3 억 8 천여 개의 일자리를 창출하며, 기업이 지속가능발전목표를 기업 전략에 통합할 경우 경제 전반에서 8 조 달러의 부가적인 가치가 발생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제사회는 기업이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루기 위해 주도적인 역할을 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며, 이미 기업들이 제시하는 다양한 솔루션들은 사회 문제해결 및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에 중요한 열쇠가 되고 있다. 지속가능발전목표 이행의 대전제는 기업의 규모, 업종, 활동 국가나 지역에 상관없이, 모든 기업은 현재와 미래 세대의 지속가능성을 저해하지 않도록 인권, 노동, 환경, 반부패와 관련된 법과 제도를 준수하며, 국제 기준들을 지지하고 이행해야 한다. 즉, 기업들은 지속가능발전목표를 비즈니스와 연계하고 이행해 나가면서 새로운 성장 및 비즈니스 기회를 발견하고 법, 평판, 사업 리스크를 줄이는 한편, 이해관계자와의 커뮤니케이션에도 매우 유용한 툴로 사용되어야 한다. 기업 내부적으로 효과적인 지속가능발전목표를 위해서 먼저, 기업의 밸류체인 전반에서 긍정적 영향을 극대화하는 영역과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영역을 산업별/지역별 특성에 맞게 파악하여, 기업이 중점을 두어야 할 지속가능발전목표의 우선 순위를 정해야 한다. 이러한 흐름 등으로 인하여 전 세계적으로 지속가능발전목표를 기업 전략에 내재화하는 추세로서 기업의 밸류체인에서 지속가능발전목표 수행을 통하여 창출하는 사회적 가치는 수익증가, 비용감소 등의 경로로 기업가치 향상의 원천이 되고 있다. 즉, 지속가능발전목표와 수익 창출 효과를 동시에 높이는 비즈니스 혁신을 실현함에 따라 사회적 가치 기반의 지속적인 비즈니스 성장을 위하여 구체적인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859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저궤도 군집 통신위성 탑재체 기술 분석 1도토리 류지원
3858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전자파 세포노출장치 기술 분석 1도토리 류지원
3857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5G 모바일 프론트홀 광전송 기술 분석 1도토리 류지원
3856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실리콘 포토닉스 기반 광트랜시버 기술 분석 1도토리 류지원
3855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개방형 5G 프론트홀 기술 분석 1도토리 류지원
385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지털분야_디지털 역기능 3대 이슈 쟁점및 과제 3도토리 류지원
385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일본 경제안전보장법의 주요 내용과 쟁점 분석 1도토리 최민기
385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미국 인플레이션 동향과 주요 대응정책 1도토리 최민기
385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레바논 경제위기 관련 최근 동향과 전망 1도토리 최민기
385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 호주 총선 결과와 시사점 3도토리 최민기
384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농업분야_주요국의 저탄소 농업정책 7도토리 최민기
3848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글로벌 통화정책 변화에 따른 위험요인과 시사점 1도토리 최민기
384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 금융회사와 빅테크 기업의 개인사업자신용평가업 진출 현황 1도토리 최민기
384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SEC의 상장기업 기후 공시 의무화 방안 1도토리 최민기
»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ESG_탈세계화 시대, 지배구조 이슈화 분석 3도토리 최민기
384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터넷분야_추천 알고리즘 시대, 인터넷은 맞춤형으로 진화중 7도토리 한상윤
384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철강/화학 분야_미중용 배터리, 메탈 슬러그 1도토리 한상윤
384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에너지/유틸리티 분야_에너지 전환 동향 보고서 7도토리 한상윤
384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터넷/게임 분야_위기의 게임주, 투자전략 점검 1도토리 한상윤
384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그린솔루션/항공우주/스몰캡 분야_전쟁이 낳은 역설, 新 성장산업의 등장 7도토리 한상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