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인터넷/게임 분야_위기의 게임주, 투자전략 점검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한상윤 조회수 44
용량 732.16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인터넷&게임 분야_위기의 게임주, 투자전략 점검.pdf 732.16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5-19 
출처 : 증권사 
페이지 수 : 11 

최근 게임 기업들의 주가 약세 흐름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우리는 업체 별 개별 이슈 모멘텀을 정리하고 투자전략을 점검해 보았습니다. 신작 부재 및 지연, 비용 증가로 2분기 실적도 부진 전망 주요 게임 업체들의 주가는 1) 신작 부재와 2) 라이브 게임 매출 감소, 3) 비용 증가로 인해 연초 대비 평균 45% 하락했다. 4) P2E, 메타버스, 코인 관련 신사업에 대한 리스크가 부각되며 멀티플이 축소된 점도 주 가 부진의 이유다. 밸류에이션이 단기간에 급락한 상황이기 때문에, 일 부의 반전이 확인되면 주가 반등 가능성도 높다. 하지만 이러한 이슈는 상반기 내 해소될 수 있는 요인들은 아니라고 판단하기 때문에 당분간 게임 업종의 부진한 주가 흐름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한다. 기대작으 로 꼽히던 신작들의 출시 일정은 대체로 지연되고 있으며, 당장 2분기 에도 대작 출시는 부재하다. 상대적 매력이 높은건 중소형주 < 대형주 우리는 게임 업종에 대해 보수적인 대응을 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 지만, 상대적으로 대형주들에 대한 매력이 부각될 수 있는 시기라고 판 단한다. 엔씨소프트와 크래프톤이 이에 해당한다. 중소형 업체들의 주 가는 연초 이후 급락세를 나타낸 것이 비해, 엔씨소프트는 지난해 3분 기, 크래프톤은 지난해 4분기부터 주가가 먼저 빠지기 시작했다. 물론, 신작 흥행 부진과 개별 이슈로 인해 하락했지만, 올해 예상실적 기준 현재 밸류에이션은 엔씨소프트 16배, 크래프톤 17배로 경쟁사들 대비 부담스러운 수준이 아니다. 즉, 이익 성장과 신작 부재에 대한 우려가 대부분 반영된 밸류에이션 레벨에서는 일부의 반전 가능성이 나타날 때 단기적인 밸류에이션 확대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다. 대형주의 이익 체력과 밸류에이션 매력 부각 엔씨소프트와 크래프톤의 2분기와 3분기 이익 둔화는 불가피하지만, 조만간 연내 기대작 출시에 대한 구체화된 정보가 공개되면서 신작 기 대감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한다. 우리는 높았던 대형주들의 실적 눈높 이 하향 조정은 일단락 되었다고 판단하며, 라이브 게임의 안정적인 매 출 레벨을 확인했기 때문에 단기적으로는 신작 출시에 대한 구체화된 일정 공개 기대감에 따라 주가 모멘텀이 반영될 것으로 예상한다.주요 게임 업체들의 주가는 1) 신작 부재와 2) 라이브 게임 매출 감소, 3) 비용 증가로 인해 연초 대비 평균 45% 하락했다. 4) P2E, 메타버스, 코인 관련 신사업에 대한 리스크 가 부각되며 멀티플이 축소된 점도 주가 부진의 이유다. 밸류에이션이 단기간에 급락한 상황이기 때문에, 일부의 반전이 확인 되면 주가 반등 가능성도 높다. 하지만 이러한 이 슈는 상반기 내 해소될 수 있는 요인들은 아니라고 판단하기 때문에 당분간 게임 업종 의 부진한 주가 흐름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한다. 지난해 한차례 높아졌던 인건비 부담은 올해 더욱 가중될 것으로 예상한다. 커버리지 기업들의 2022년 인건비 증가율은 평균 30%에 달한다. 인력 충원과 연봉 및 상여 인상 으로 인해 인건비 증가는 불가피하지만, 이를 상쇄할만한 매출 성장이 나타나지 않는 것이 실적 부진이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하는 주요인이다. 게임 업체들의 밸류에이션이 높은 수준에서 형성되어 있는 이유는 신작 출시에 대한 기대감과 흥행에 성공했을 시 이익 레버리지가 큰 폭으로 나타난다는 점 때문이다. 하지만 기대작으로 꼽히던 신작들 의 출시 일정은 대체로 지연되고 있으며, 당장 2분기에도 대작 출시는 부재하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059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지주회사_주목해야 할 투자가치 7도토리 노민우
405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분야_2H22 반도체 산업 전망 3도토리 노민우
4057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High Yield 채권이 되어버린 은행주 3도토리 노민우
405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은행/증권/보험분야_2022 하반기 전망 7도토리 노민우
405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항공분야_펀더멘털, 안녕합니다 1도토리 노민우
4054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통신/지주 투자지표 1도토리 노민우
405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보험분야_2분기도 어닝서프라이즈 1도토리 노민우
405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유통분야_2022년 4월 유통업체 매출 동향 1도토리 노민우
4051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2분기 NIM 상승세 지속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5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인터넷/게임분야_1Q22 실적발표 이후 실적 전망치 변경률 VS 주가 변화율 1도토리 황세영
4049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리츠분야_REITs & Cash 7도토리 황세영
4048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음식료/담배분야_어려운 환경에서 어렵지 않은 답 찾기 7도토리 황세영
404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4월 은행 금리: 2분기 NIM도 높은 한 자릿수 확대 가능 1도토리 황세영
404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경제분야_4월 가중평균금리 동향 1도토리 황세영
404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증권분야_지표와 업황 모두 바닥권, 긍정적 신호에 탄력적으로 반응할 주가 1도토리 황세영
404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전기차분야_전기차관련 산업동향 1도토리 황세영
4043 생명공학/바이오 [기업분석] 유통분야_2022상반기 기업분석 1도토리 황세영
4042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은행/증권/보험분야_Rebalancing 1도토리 황세영
404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자동차분야_Safe Haven 1도토리 황세영
4040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화장품/의류분야_BACK TO BASIC 1도토리 황세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