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그린솔루션/항공우주/스몰캡 분야_전쟁이 낳은 역설, 新 성장산업의 등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한상윤 조회수 42
용량 4.53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그린솔루션&항공우주&스몰캡_전쟁이 낳은 역설, 新 성장산업의 등장.pdf 4.53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5-31 
출처 : 증권사 
페이지 수 : 59 

< 목 차 >

제 1장. 전쟁이 낳은 역설, 신성장산업의 등장

 

제 2장. 다시 시작된 군비경쟁

 

제 3장. 기업분석

 


 

전쟁이 낳은 역설, 신성장산업의 등장 - 세계 각국 국방예산 증액 움직임 본격화, 미국 진짜 천조국(仟兆國) 반열 올라 - 자국 우선/보호주의 확산 및 미중 갈등심화 속 우크라이나 전쟁까지 더해져 - 올해 연초부터 우리나라 방산 업체들, 해외 수출 소식 연이어 들리는 상황 - 해외 수출 증가하며 실적/주가 강세 보였던 2013~2016년의 향수 자극 -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부각된 우주(宇宙)의 가치, 새로운 성장 산업으로 부각될 것 2022-05-31 Summary 올해 2 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개시 이후 지금까지도 우크라이나 전쟁은 끝 날 기미가 보이지 않습니다. 지난 2 년여의 시간 동안 코로나19 를 극복하기 위해 세 계 각국에서 확장적 통화 정책을 실시함에 따라 물가 상승의 우려가 함께 커지고 있 었는데, 우크라이나 전쟁의 발발과 지속은 불 난 집에 기름 붓는 물가 상승 압력을 높이는 계기로 작용하는 중입니다. 어느덧 '코로나'와 '전쟁'이라는 키워드가 이제는 익숙하게 느껴질 정도입니다. 표면적으로는 우크라이나 전쟁이 자리하고 있지만, 사실 세계 각국의 국방력 강화 움직임은 2010 년대 중반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세계 최고 군사 강국으로 평가받는 미국은 자국 우선주의 기조 아래 2010 년대 후반부터 지금까지 국방예산을 꾸준히 증액해왔습니다. 그리고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여전히 이어지면서 남중국해 및 필리 핀해 주권 다툼이 더욱 거세 졌고, 이는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국방예산 증액으로 이 어지고 있습니다. 여기에 우크라이나 전쟁까지 발발하면서 유럽 지역 내 NATO 가 입 국가 중심의 국방예산 증액 압력도 더욱 커지는 상황입니다. 이와 같은 상황은 우리나라 방산기업들에게는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 중인데, 실제 로 올해 연초부터 해외 수출 소식이 연이어 전해지고 있습니다. 그만큼 해외에서도 우리나라의 국방 기술을 인정하기 시작했다는 것인데, 이는 해외 수출이 증가하면서 국내 방산 업체들의 실적 및 주가가 강세를 보였던 2013~2016 년을 떠올리게 합니 다. 올해 우리나라 방산 기업들에 대한 관심을 높여야 하는 가장 큰 이유입니다. 전쟁은 인류에 큰 상처와 피해를 남기는, 있어서는 안 될 일임은 분명합니다. 하지 만 역설적이게도 전쟁은 과학 기술의 발전을 야기하고, 새로운 성장 산업의 등장을 촉발하는 것도 사실입니다. 지금껏 인류가 치룬 전쟁의 역사에서 확인할 수 있고, 앞 으로 있을 전쟁도 역설적인 산물을 남길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 진행 중인 우크라 이나 전쟁에서는 우주 통신/우주 데이터의 가치가 새롭게 부각되었고, 앞으로는 우 주를 향한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합니다.전쟁이 낳은 역설, 신성장산업의 등장 철기시대를 연 최초의 전쟁 전쟁(戰爭)이란 사전적으로 '국가와 국가, 또는 단체와 단체간 무력을 사용하여 싸우 는 것'이라 정의되어 있다. 지구 상에 인류가 등장한 이후 무리나 공동체를 이루어 생활 하고, 보다 큰 집단이 결성되고, 국가라는 개념이 탄생하고 정착되는 과정에서 어찌 보 면 전쟁은 불가피하게 수반될 수밖에 없는 당연한 것이었는지도 모른다. 예로부터 전쟁 은 자연재해보다 더 무섭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우리 삶을 파괴하는 비극이었다. 생업 을 포기해야 했고, 강제로 징용되어 죽거나 다치는 사람이 발생하고, 생활 기반 시설이 모두 파괴됨에 따라 전쟁을 하는 기간뿐만 아니라 그 이후 오랜 시간을 복구와 회복에 사용해야만 했다. 하지만 정말 역설적이게도 전쟁은 새로운 성장산업의 시발점이 되기 도 했다. 전쟁이 낳은 역설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서는 인류가 기록으로 남긴 최초의 전 쟁, 기원전 13 세기에 벌어진 카데시 전투(Battle of Kadesh)로 거슬러 올라간다. 카데시 전투는 기원전 13 세기경 오늘날 레바논 국경과 가까운 시리아 카데시 지역 에서 발생한 이집트(Egypt)와 히타이트(Hittite)의 간의 다툼이다. 아라비아 반도의 패 권을 두고 다투던 이집트와 히타이트는 수많은 전투를 벌였지만, 카데시 전투가 오늘날 가장 많이 거론되는 이유는 기록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전쟁이기 때문 이다. 대부분 승자의 기록으로 후세에 전해지는 전쟁 역사의 특성 상 더 많은 기록이 남아있는 이집트가 전쟁을 승리한 것처럼 보일 수 있으나, 오늘날 카데시 전투와 이집 트/히타이트 역사를 전공하는 역사학자들의 의견으로는 히타이트가 승리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하고 있다. 가장 큰 이유는 당시 히타이트인들이 보유했던 ‘철기 제조 기술’ 때문이다. 카데시 전투(Battle of Kadesh) 카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03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항공분야_대한항공의 진에어 지분 취득 1도토리 조정희
403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우주분야_누리호 2차 발사, 우주산업 성장 신호탄 1도토리 조정희
4034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대출증가 둔화에도 이자이익 증가세 유지 전망 1도토리 조정희
403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항공분야_주가동향 1도토리 조정희
403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필수생산재와 원자재 이집트 신용장 의무화 조치에서 제외, 세부 품목 리스트 공개 1도토리 조정희
403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정책동향] 미얀마 외화 강제 환전 조치의 현황과 전망 1도토리 조정희
4030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싱가포르 국제 커피 및 차 전시회(ICT Asia 2022) 방문기 1도토리 조정희
402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영국 국제 시설관리 전시회 참관기 1도토리 조정희
402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미국 플라스틱 사출 성형 디자인 엑스포 참관기 1도토리 조정희
4027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터키 치과기자재 전시회 IDEX 2022 참관기 1도토리 조정희
402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경제동향] 2021년 통계로 보는 한국의 북마케도니아 수출 특징 1도토리 조현상
402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경제동향] 방글라데시, 환율 및 물가 상승으로 주요 경제지표 악화 우려 1도토리 조현상
402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중국, 전국 단위의 조업 재개 움직임 1도토리 조현상
402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스마트시티 아시아 2022 참관기 1도토리 조현상
402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정책동향] 美, 중국 신장위구르산 제품 수입 전면 금지 예정 1도토리 조현상
402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 협상 출범에 따른 현지 반응 및 시사점 1도토리 조현상
402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이집트 COP27 개최 준비에 박차, 환경 프로젝트 각광 1도토리 조현상
4019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InterFood Caspian Agro 전시회 현장 인터뷰 1도토리 조현상
401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일본, 아연도금철선에 대한 반덤핑 관세 조사 기간 연장 1도토리 조현상
401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말레이시아 글로벌 공급망(GVC) 산업 동향 1도토리 조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