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ESG분야_에너지 전환, 안보이슈 태양광으로 이동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한상윤 조회수 57
용량 1.16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ESG분야_에너지 전환, 안보이슈 태양광으로 이동.pdf 1.16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5-30 
출처 : 증권사 
페이지 수 : 20 

EU, REPowerEU 계획 발표 지난 2 월 24 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하여 유럽을 향하던 러시아의 에너지원 공급에 차질이 빚게 되자 유럽의 에너지 안보는 심각한 위기에 직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지난 3 월 8 일 EU 집행위원회는 2030 년 이전에 대러시아 화석연료 의존으로부터의 탈피를 위한 제안을 발표하였다. 이러한 제안은 지난 3 월 25 일 EU 지도자들의 동의를 획득한 이후 EU 집행위원회는 구체적인 계획안 제출을 요구받아 5 월 18 일 일종의 입법 예고 형태의 REPowerEU 계획안을 발표하였다. REPowerEU 는 당초 2030 년까지 유럽의 순온실가스 배출을 1990 년 대비 55% 이상 줄이겠다는 목표하에 2021 년 7 월 발표된 Fit for 55 Packages 와 같은 유럽 그린 딜에 기반 위에서 러시아산 에너지 독립에 초점을 맞춰 강화한 것이다. 이에 따라 REPowerEU 에서는 러시아로부터의 에너지 의존도를 줄이는 동시에 EU 의 친환경 전환을 가속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에너지 공급망 다각화가 주된 내용으로 포함되어 있다. 태양광 중심으로 한 신재생에너지 확대 REPowerEU 계획에서는 Fit for 55 Packages 에서 제시한 2030 년 신재생에너지 목표를 40%에서 45%로 올리기로 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2030 년까지 EU 의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을 Fit for 55 Packages 에서 제시한 1,067GW에서 1,236GW로 늘려야 한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로 유럽지역 가스 공급에 비상이 걸리는 등 에너지 안보 이슈가 부상함에 따라 자급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은 에너지 독립의 수단으로 전략적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REPowerEU 에서는 태양광을 중심으로 한 신재생에너지 확충 등을 통해 2027 년까지 러시아산 화석 에너지 의존에서 벗어나겠다는 계획이다. 즉, EU 태양광 전략에 따라 2025 년 태양광 발전 용량을 320GW(2020 년 대비 두 배 이상)로 늘리고, 2030 년까지 600GW 로 확대할 예정이다. 또한 지붕 태양광 이니셔티브에 의거하여 신규 공공 및 상업용 건물과 주거용 건물에 대한 태양광 패널 설치 의무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에너지 공급망 다각화 EU 집행위원회와 EU 회원국은 가스, LNG, 수소의 자발적 공동 구매를 위한 에너지 플랫폼을 만들었으며, 동 에너지 플랫폼은 수요 취합, 인프라 최적화,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와 장기 협력 프레임워크 체결 등 국제협력에 초점을 맞춤 예정이다. 이후 EU 집행위원회서는 참여 회원국들을 대신하여 총 가스 수요 등을 바탕으로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와 협상하고 계약을 체결하는 공동 구매 매커니즘 개발 등을 검토할 계획이다. 이와 같은 에너지 공급망 다각화 이외에도 에너지 절약 측면에서 지난해 7 월 발표한 에너지효율 지침(Energy Efficiency Directive: EED) 개정을 통해, 2030 년까지 2020 년 대비 EU 에너지 소비를 기존 9% 감축하는 목표를 제안한 바 있는데, 이를 다시 한 번 13%로 높이는 것을 제안하였다Ⅰ. EU 에너지 안보를 위한 첫걸음을 내딛다 1. EU, REPowerEU 계획 발표 지난 2 월 24 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하여 유럽을 향하던 러시아의 에너지원 공급에 차질이 빚게되자 유럽의 에너지 안보는 심각한 위기에 직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지난 3 월 8 일 EU 집행위원회는 2030 년 이전에 대러시아 화석연료 의존으로부터의 탈피를 위한 제안을 발표하였다. 이러한 제안은 지난 3 월 25 일 EU 지도자들의 동의를 획득한 이후 EU 집행위원회는 구체적인 계획안 제출을 요구받아 5 월 18 일 일종의 입법 예고 형태의 REPowerEU 계획안을 발표하였다. REPowerEU 는 당초 2030 년까지 유럽의 순온실가스 배출을 1990 년 대비 55% 이상 줄이겠다는 목표하에 2021 년 7 월 발표된 Fit for 55 Packages 와 같은 유럽 그린 딜에 기반 위에서 러시아산 에너지 독립에 초점을 맞춰 강화한 것이다. 이에 따라 REPowerEU 는 러시아로부터의 에너지 의존도를 줄이는 동시에 EU 의 친환경 전환을 가속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에너지 공급망 다각화가 주된 내용으로 포함되어 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03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항공분야_대한항공의 진에어 지분 취득 1도토리 조정희
403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우주분야_누리호 2차 발사, 우주산업 성장 신호탄 1도토리 조정희
4034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대출증가 둔화에도 이자이익 증가세 유지 전망 1도토리 조정희
403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항공분야_주가동향 1도토리 조정희
403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필수생산재와 원자재 이집트 신용장 의무화 조치에서 제외, 세부 품목 리스트 공개 1도토리 조정희
403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정책동향] 미얀마 외화 강제 환전 조치의 현황과 전망 1도토리 조정희
4030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싱가포르 국제 커피 및 차 전시회(ICT Asia 2022) 방문기 1도토리 조정희
402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영국 국제 시설관리 전시회 참관기 1도토리 조정희
402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미국 플라스틱 사출 성형 디자인 엑스포 참관기 1도토리 조정희
4027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터키 치과기자재 전시회 IDEX 2022 참관기 1도토리 조정희
402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경제동향] 2021년 통계로 보는 한국의 북마케도니아 수출 특징 1도토리 조현상
402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경제동향] 방글라데시, 환율 및 물가 상승으로 주요 경제지표 악화 우려 1도토리 조현상
402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중국, 전국 단위의 조업 재개 움직임 1도토리 조현상
402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스마트시티 아시아 2022 참관기 1도토리 조현상
402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정책동향] 美, 중국 신장위구르산 제품 수입 전면 금지 예정 1도토리 조현상
402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 협상 출범에 따른 현지 반응 및 시사점 1도토리 조현상
402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이집트 COP27 개최 준비에 박차, 환경 프로젝트 각광 1도토리 조현상
4019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InterFood Caspian Agro 전시회 현장 인터뷰 1도토리 조현상
401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일본, 아연도금철선에 대한 반덤핑 관세 조사 기간 연장 1도토리 조현상
401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말레이시아 글로벌 공급망(GVC) 산업 동향 1도토리 조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