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ESG분야_에너지 전환, 안보이슈 태양광으로 이동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한상윤 조회수 58
용량 1.16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ESG분야_에너지 전환, 안보이슈 태양광으로 이동.pdf 1.16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5-30 
출처 : 증권사 
페이지 수 : 20 

EU, REPowerEU 계획 발표 지난 2 월 24 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하여 유럽을 향하던 러시아의 에너지원 공급에 차질이 빚게 되자 유럽의 에너지 안보는 심각한 위기에 직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지난 3 월 8 일 EU 집행위원회는 2030 년 이전에 대러시아 화석연료 의존으로부터의 탈피를 위한 제안을 발표하였다. 이러한 제안은 지난 3 월 25 일 EU 지도자들의 동의를 획득한 이후 EU 집행위원회는 구체적인 계획안 제출을 요구받아 5 월 18 일 일종의 입법 예고 형태의 REPowerEU 계획안을 발표하였다. REPowerEU 는 당초 2030 년까지 유럽의 순온실가스 배출을 1990 년 대비 55% 이상 줄이겠다는 목표하에 2021 년 7 월 발표된 Fit for 55 Packages 와 같은 유럽 그린 딜에 기반 위에서 러시아산 에너지 독립에 초점을 맞춰 강화한 것이다. 이에 따라 REPowerEU 에서는 러시아로부터의 에너지 의존도를 줄이는 동시에 EU 의 친환경 전환을 가속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에너지 공급망 다각화가 주된 내용으로 포함되어 있다. 태양광 중심으로 한 신재생에너지 확대 REPowerEU 계획에서는 Fit for 55 Packages 에서 제시한 2030 년 신재생에너지 목표를 40%에서 45%로 올리기로 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2030 년까지 EU 의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을 Fit for 55 Packages 에서 제시한 1,067GW에서 1,236GW로 늘려야 한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로 유럽지역 가스 공급에 비상이 걸리는 등 에너지 안보 이슈가 부상함에 따라 자급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은 에너지 독립의 수단으로 전략적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REPowerEU 에서는 태양광을 중심으로 한 신재생에너지 확충 등을 통해 2027 년까지 러시아산 화석 에너지 의존에서 벗어나겠다는 계획이다. 즉, EU 태양광 전략에 따라 2025 년 태양광 발전 용량을 320GW(2020 년 대비 두 배 이상)로 늘리고, 2030 년까지 600GW 로 확대할 예정이다. 또한 지붕 태양광 이니셔티브에 의거하여 신규 공공 및 상업용 건물과 주거용 건물에 대한 태양광 패널 설치 의무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에너지 공급망 다각화 EU 집행위원회와 EU 회원국은 가스, LNG, 수소의 자발적 공동 구매를 위한 에너지 플랫폼을 만들었으며, 동 에너지 플랫폼은 수요 취합, 인프라 최적화,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와 장기 협력 프레임워크 체결 등 국제협력에 초점을 맞춤 예정이다. 이후 EU 집행위원회서는 참여 회원국들을 대신하여 총 가스 수요 등을 바탕으로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와 협상하고 계약을 체결하는 공동 구매 매커니즘 개발 등을 검토할 계획이다. 이와 같은 에너지 공급망 다각화 이외에도 에너지 절약 측면에서 지난해 7 월 발표한 에너지효율 지침(Energy Efficiency Directive: EED) 개정을 통해, 2030 년까지 2020 년 대비 EU 에너지 소비를 기존 9% 감축하는 목표를 제안한 바 있는데, 이를 다시 한 번 13%로 높이는 것을 제안하였다Ⅰ. EU 에너지 안보를 위한 첫걸음을 내딛다 1. EU, REPowerEU 계획 발표 지난 2 월 24 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하여 유럽을 향하던 러시아의 에너지원 공급에 차질이 빚게되자 유럽의 에너지 안보는 심각한 위기에 직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지난 3 월 8 일 EU 집행위원회는 2030 년 이전에 대러시아 화석연료 의존으로부터의 탈피를 위한 제안을 발표하였다. 이러한 제안은 지난 3 월 25 일 EU 지도자들의 동의를 획득한 이후 EU 집행위원회는 구체적인 계획안 제출을 요구받아 5 월 18 일 일종의 입법 예고 형태의 REPowerEU 계획안을 발표하였다. REPowerEU 는 당초 2030 년까지 유럽의 순온실가스 배출을 1990 년 대비 55% 이상 줄이겠다는 목표하에 2021 년 7 월 발표된 Fit for 55 Packages 와 같은 유럽 그린 딜에 기반 위에서 러시아산 에너지 독립에 초점을 맞춰 강화한 것이다. 이에 따라 REPowerEU 는 러시아로부터의 에너지 의존도를 줄이는 동시에 EU 의 친환경 전환을 가속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에너지 공급망 다각화가 주된 내용으로 포함되어 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ESG분야_에너지 전환, 안보이슈 태양광으로 이동 1도토리 한상윤
383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전기전자/배터리분야_모빌아이가 불러올 Future 7도토리 한상윤
3837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바이오분야_RNA치료제, 이제부터 시작 9도토리 한상윤
3836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의료기기분야_체외진단 산업의 중장기적 성장성 주목 7도토리 한상윤
383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반도체분야_수요 둔화 우려 속 아웃퍼폼한 아시아 Overweight 메모리 및 파운드리 1도토리 한상윤
383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그린산업분야_미국 주도 IPEF 참여로 국내의 재생에너지 확대 불가피 1도토리 한상윤
3833 생명공학/바이오 [기술동향] 재생의학분야의 세포 치료제 활용 1도토리 나혜선
3832 생명공학/바이오 [기술동향] 감염병 방역기술 3도토리 나혜선
383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특허권 중심의 개방형혁신 현황 분석과 시사점 3도토리 민준석
383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R&D 기업의 효율성 결정적 요인_산업별 특허효과를 중심으로 1도토리 민준석
382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주요국의 탄소중립 기술 정책 및 지식재산 3도토리 민준석
3828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스포츠 환경에서 과학기술 융합의 역사, 다가올 인공지능 기술 활용의 방향성 1도토리 민준석
3827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의료 분야에서의 인공지능과 데이터 활용 동향 1도토리 민준석
382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글로벌 AI 경쟁 및 디지털 통상규범의 의의 1도토리 민준석
382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 물류 빅데이터 기반 해외 시장제공 시스템 분석과 시사점 1도토리 조현상
3824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임상시험 수탁기관(CRO) 서비스 시장의 전망 1도토리 조현상
382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중국의 성장전략 전환과 우리기업의 대응전략 7도토리 조현상
382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최근 무역수지 적자 평가와 전망 1도토리 조현상
3821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추억의 레트로, 미래 금융에서 비긴어게인 1도토리 조현상
3820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기업구조조정시장의 플레이 메이커, 사모펀드 1도토리 조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