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기술동향] 감염병 방역기술
분류 생명공학/바이오 판매자 나혜선 조회수 55
용량 2.43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기술동향] 감염병 방역기술.pdf 2.43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5-30 
출처 : BRIC 
페이지 수 : 35 

< 목 차 >

제1장 개요

 

제2장 기술동향

 

제3장 산업동향

 

제4장 정책동향

 

제5장 R&D 투자동향

 

제6장 결론
 


 

1.1. 작성 배경 보건위생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감염병 위기대응 기술(진단・치료・백신・방역기술)이 발달했음에도 불구하고 감염병의 전 세계적 유행・확산이 반복되면서 많은 인명 피해와 함께 경제・사회적 손실이 발생 l 고대 시대 아테네 역병을 시작으로 중세 시대 흑사병, 근・현대 시대 스페인 독감 등 감염병은 인류의 역사와 함께 지속적으로 발생 - 흑사병으로 당시 유럽 인구의 약 30%가 희생되었고, 스페인 독감으로 전 세계 인구의 약 1~3%가 죽은 것으로 알려짐 l 과학기술이 발전하였음에도 전염병은 현대 시대에도 지속적으로 발병하였으며, 세계보건 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이하 WHO)는 21세기를 감염병의 시대로 규정 - 2002년 사스(SARS), 2009년 신종 플루, 2012년 메르스(MERS), 2014년 에볼라 바이러스, 2019년 코로나-19(COVID-19) 등 다양한 감염병이 유행 - 2020년 한 해 동안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로 인해 최소 5조 달러 국내총생산(GDP) 감소1) 교역과 교통의 발달로 국지적으로 유행하던 감염병이 광범위하고 빠르게 전파되기 시작하였으며, 이에 감염병의 발생, 유행을 미리 막는 방역의 중요성이 대두 l 지역 단위로 유행하던 감염병이 실크로드, 신항로 개척 등을 통해 대륙과 대륙 간으로 전파되기 시작되었으며 매우 느리게 확산이 이루어짐 - 흑사병, 천연두, 콜레라 등 과거 감염병은 새롭게 개척된 교역망을 통해 대륙과 대륙 간 전염이 시작되었으나, 교통수단의 미발달로 수년~수십 년에 걸쳐 전파가 진행됨l 최근 감염병은 기술의 발달과 국제화로 인해 전 세계적인 교역이 이루어짐에 따라 빠른 시일에 전 세계적으로 유행・확산이 이루어지고 있음 - 코로나-19의 경우 2019년 11월 중국에서 최초로 발생한 이후 2020년 3월 말까지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로 확산되었으며, 2021년 12월 기준 200개국 이상에서 환자가 발생함 ※ 출처: WHO Coronavirus(COVID-19) Dashboard(https://covid19.who.int) [그림 1] 전 세계 코로나-19 확진자 발생 현황(’21.12.1 기준) l 감염병 전파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치료제, 백신이 개발되기 전까지 유행・확산을 차단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인 방역의 중요성이 높아짐 - 방역이란 감염병이 발생하거나 유행하는 것을 미리 막는 일을 통틀어 의미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의료・방역의 한계 발생, 지역사회・집단감염 및 일상 공간에서 n차 감염 지속발생 등 방역전선 확대로 감염병 대응을 위한 다양한 분야의 방역기술 개발 중요성이 강조 l 감염병의 일상화 및 회복력 중시에 다른 감염병 상시 대응체계 마련, ICT 융・복합 기술 등을 통한 선제적인 방역체계 구축 필요성이 증대 - (진단・검사) 다양한 형태의 선별진료소 운영을 통해 신속한 검사 및 대응 가능 - (역학・추적) 해외 입국자의 검역과 격리를 통한 관리 강화를 바탕으로 국경을 봉쇄하지 않고 감염병 확산을 억제하였으며, 신속한 역학조사 결과 공유를 통해 감염병 유행을 통제- (격리・치료) 경증・중증 환자를 분리하여 의료붕괴를 막고 시민들의 자발적 방역지침 이행을 강조함으로써 감염병의 전파를 관리 가능한 수준으로 유지 - (정부위기대응) 코로나19 사태에서 감염병 대응 특수성과 전문성을 고려한 방역 컨트롤 타워를 운영하고 정부와 국민 간 소통체계의 활성화를 통해 위기상황에 대응 - (자원관리) 감염병의 대유행 및 장기화에 따라 안정적인 방역물품과 의료기기 수급이 필요 본 동향브리프에서는 감염병 방역기술의 단계별(예측・예방, 대비, 대응, 복구) 기술・산업 동향, 주요국의 정책과 R&D 투자 현황 등을 살펴보고, 감염병 방역 기술에 대한 정부의 역할과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85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레바논 경제위기 관련 최근 동향과 전망 1도토리 최민기
385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 호주 총선 결과와 시사점 3도토리 최민기
384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농업분야_주요국의 저탄소 농업정책 7도토리 최민기
3848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글로벌 통화정책 변화에 따른 위험요인과 시사점 1도토리 최민기
384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 금융회사와 빅테크 기업의 개인사업자신용평가업 진출 현황 1도토리 최민기
384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SEC의 상장기업 기후 공시 의무화 방안 1도토리 최민기
3845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ESG_탈세계화 시대, 지배구조 이슈화 분석 3도토리 최민기
384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터넷분야_추천 알고리즘 시대, 인터넷은 맞춤형으로 진화중 7도토리 한상윤
384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철강/화학 분야_미중용 배터리, 메탈 슬러그 1도토리 한상윤
384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에너지/유틸리티 분야_에너지 전환 동향 보고서 7도토리 한상윤
384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터넷/게임 분야_위기의 게임주, 투자전략 점검 1도토리 한상윤
384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그린솔루션/항공우주/스몰캡 분야_전쟁이 낳은 역설, 新 성장산업의 등장 7도토리 한상윤
383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ESG분야_에너지 전환, 안보이슈 태양광으로 이동 1도토리 한상윤
383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전기전자/배터리분야_모빌아이가 불러올 Future 7도토리 한상윤
3837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바이오분야_RNA치료제, 이제부터 시작 9도토리 한상윤
3836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의료기기분야_체외진단 산업의 중장기적 성장성 주목 7도토리 한상윤
383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반도체분야_수요 둔화 우려 속 아웃퍼폼한 아시아 Overweight 메모리 및 파운드리 1도토리 한상윤
383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그린산업분야_미국 주도 IPEF 참여로 국내의 재생에너지 확대 불가피 1도토리 한상윤
3833 생명공학/바이오 [기술동향] 재생의학분야의 세포 치료제 활용 1도토리 나혜선
» 생명공학/바이오 [기술동향] 감염병 방역기술 3도토리 나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