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특허권 중심의 개방형혁신 현황 분석과 시사점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민준석 조회수 124
용량 4.3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특허권 중심의 개방형혁신 현황 분석과 시사점.pdf 4.3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3-29 
출처 : 한국지식재산연구원 
페이지 수 : 24 

< 목 차 >

 

Ⅰ. 연구의 필요성

 

Ⅱ. 특허 기반 개방형혁신이 매출액 증대에 미치는 영향

 

Ⅲ. 특허 기반 개방형 혁신 현황 실태조사

 

Ⅳ. 정책적 시사점

 


 

Ⅰ 연구의 필요성 제품・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니즈가 다양해지고 급변하면서 기술수명주기가 점차 짧아지고 있어, 기업들은 기술개발의 위험과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외부 아이디어를 활용한 혁신에 주목  빠르게 변하는 시장에 대응하고자, 다수 기업은 외부의 혁신역량까지 적극 활용하여 변화하려는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을 추구 * 기업에게 필요한 기술과 아이디어를 외부에서 조달하는 한편, 내‧외부 자원의 공유를 통해 제품 및 서비스의 혁신을 창출하는 전략(Chesbrough, 2003) [표1] 글로벌 기업의 개방형혁신 사례 - 필립스는 설계가 너무 복잡하여 상용화되지 못했던 ‘에어프라이어’를 네덜란드 스타트업 APDS社가 보유한 ‘Rapid Air’ 기술을 통해 상용화에 성공 - 소비재 거대기업 유니레버(Unilever)사는 홈페이지에 자사의 기술적 애로사항을 공개하고 해결책을 제시하는 파트너를 모집하는 외부협업을 적극적으로 시행 - P&G는 전동칫솔 개발을 위해 일본의 외부업체로부터 기술을 적극 수렴하여 신제품 출시를 5년에서 1년으로 앞당김  더욱이 최근 디지털전환 및 에너지전환, 기후위기 및 코로나위기 상황 속에서 기업 자체적으로 모든 기술적 역량을 구비하기에 한계가 있어 개방형혁신아 강조되고 있는 상황 - 선진국 및 글로벌 기업은 코로나 19 등으로 인한 경제위기에서 생존하기 위하여 내・외부 혁신역량을 적극 활용 中* * 코로나 19 이후 개방형 혁신의 효과성을 경험한 글로벌 기업에 대해, 빨라진 혁신의 속도를 확인한 투자자들이 개방형 혁신을 더욱 요구(IBM 짐 화이트허스트 사장, ’21.7) - 국내 기업에서도 최근 제약・바이오 분야*를 중심으로 개방형 혁신 생태계 구축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 중 * 한정된 역량과 리소스 상황에서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신약개발 과정에 생산성과 경쟁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전략으로서 개방형혁신을 선호 우리 정부도 개방형혁신 활성화를 위한 다수의 정책을 추진 중* * (중기부) 대・중소기업, 대학, 연구소 간 개방형 혁신・사업화 성공체계로 전환(’19.1.23) (산업부) 시장중심의 자율적・개방적 산업R&D 혁신방안 발표(’20.9.8) (과기부) 지역산업연계 대학 개방형 혁신연구실(Open-Lab) 육성 지원(’21.7.15)본 보고서는 국내 기업의 특허 기반 개방형혁신 현황을 분석하여 아이디어경제시대* 본격화에 대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 * 소수의 선별된 지식을 아이디어화했던 ‘지식경제시대’를 지나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지식이 사장(死藏)되지 않게 아이디어화하는 것이 중요한 ‘아이디어경제시대’가 가속화 되고 있음 [그림1] 경제 패러다임의 변화 양상  (분석 1) 특허 기반 개방형혁신이 매출액 증대에 미치는 영향 실증분석 ※ 통계청의 기업활동조사 데이터 활용 - 연도별 개방형혁신 참여현황 변화 분석 - 특허권 보유 및 개방형혁신 참여의 매출액 증대효과 분석  (분석 2) 특허 기반 개방형혁신 현황 실태조사 및 심층분석 ※ 발명진흥회 회원사 대상 실태조사 데이터 활용 - 개방형혁신 참여 목적 및 특허권 보유의 의미 조사 - 개방형혁신에서 특허권의 기여도 분석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756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개방형 5G 프론트홀 기술 분석 1도토리 류지원
375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지털분야_디지털 역기능 3대 이슈 쟁점및 과제 3도토리 류지원
375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농업분야_주요국의 저탄소 농업정책 7도토리 최민기
3753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글로벌 통화정책 변화에 따른 위험요인과 시사점 1도토리 최민기
375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 금융회사와 빅테크 기업의 개인사업자신용평가업 진출 현황 1도토리 최민기
375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SEC의 상장기업 기후 공시 의무화 방안 1도토리 최민기
3750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ESG_탈세계화 시대, 지배구조 이슈화 분석 3도토리 최민기
374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터넷분야_추천 알고리즘 시대, 인터넷은 맞춤형으로 진화중 7도토리 한상윤
374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철강/화학 분야_미중용 배터리, 메탈 슬러그 1도토리 한상윤
374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에너지/유틸리티 분야_에너지 전환 동향 보고서 7도토리 한상윤
374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터넷/게임 분야_위기의 게임주, 투자전략 점검 1도토리 한상윤
374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그린솔루션/항공우주/스몰캡 분야_전쟁이 낳은 역설, 新 성장산업의 등장 7도토리 한상윤
374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ESG분야_에너지 전환, 안보이슈 태양광으로 이동 1도토리 한상윤
374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전기전자/배터리분야_모빌아이가 불러올 Future 7도토리 한상윤
3742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바이오분야_RNA치료제, 이제부터 시작 9도토리 한상윤
3741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의료기기분야_체외진단 산업의 중장기적 성장성 주목 7도토리 한상윤
374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반도체분야_수요 둔화 우려 속 아웃퍼폼한 아시아 Overweight 메모리 및 파운드리 1도토리 한상윤
373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그린산업분야_미국 주도 IPEF 참여로 국내의 재생에너지 확대 불가피 1도토리 한상윤
3738 생명공학/바이오 [기술동향] 재생의학분야의 세포 치료제 활용 1도토리 나혜선
3737 생명공학/바이오 [기술동향] 감염병 방역기술 3도토리 나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