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R&D 기업의 효율성 결정적 요인_산업별 특허효과를 중심으로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민준석 조회수 33
용량 1.88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R&D 기업의 효율성 결정적 요인_산업별 특허효과를 중심으로.pdf 1.88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5-16 
출처 : 한국지식재산연구원 
페이지 수 : 19 

저성장의 고착화, 혁신의 역설(Innovation Paradox), 그 원인  지금까지 우리경제는 투입 극대화*를 통해 빠른 성장을 이루었으나, 높은 혁신 투입에도 불구하고 지속 되는 성장률 둔화는 우리 경제가 혁신의 역설에 빠졌다는 우려를 낳고 있음 * GDP대비 기업의 연구개발비 비중 세계 2위, 인구 천 명당 연구개발 인력 세계 3위(IMD, 2021) - 최근, 코로나19 등으로 인해 ‘21~’22년 잠재성장률1)은 2.0%로 낮아졌는데, 잠재성장률이 2% 수준으로 낮아졌다는 것은 나라경제가 사실상 정체상태에 돌입할 것임을 예고한다고 볼 수 있음 ※ 혁신의 역설(The Innovation Paradox)이란, 혁신을 위한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생산성은 그만큼 증가 하지 않는 상황을 의미 [그림 1] 경제성장률, 잠재성장률 요인별 기여도 출처: 한국은행  우리경제의 성장률 및 잠재성장률 둔화의 주 원인은 총요소생산성의 하락으로, 이는 노동 및 자본 투입 대비 산출 수준을 결정하는 효율성이 사회 전반적으로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함 ※ 국내 기업의 생산성・효율성은 세계 31위(IMD, 2021)로 전년대비 상승했지만(2019~2020년 38위) 여전히 투입 측면에서의 순위와 상당한 격차 기업 성장을 위한 혁신 투입의 확대는 지속되어야 하지만, 투자 대비 효율성 확보 또한 고려해야 할 시점임  Lieberman & Montgomery(1988)는 R&D 투자의 규모보다 R&D 성과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잘 활용 하느냐에 따라 기업의 성패가 결정된다고 논의하였음  즉, 투입과 이를 통한 성과의 절대 규모 뿐만 아니라 혁신을 위한 투입을 실제 성과로 연결하는 측면의 효율성 또한 중요한 문제기업의 생산성 및 효율성 관련 선행연구  기존 연구들은 주로 기업의 생산성에 초점을 두고, 생산성을 결정하는 다양한 요인에 대한 연구를 진행 • Bozeman and Albert(1983)는 R&D 투자와 생산성 간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미국 제조업 기업 329개를 대상으로 Cobb-Douglas 생산함수를 이용하여 생산성을 측정, R&D 비용이 기초연구와 공정관련 연구인 경우 생산성증가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 • Griliches and Mairesse(1984)는 미국기업 133개를 대상으로 1966년부터 1977년까지 R&D투자와 매출액 및 생산성 간의 관계를 추정, R&D투자와 생산성 간에는 강한 양의 관계, R&D 투자의 매출액에 대한 탄력성은 0.05-0.3으로 추정 • Cuneo(1984)는 1972-1977년 기간 동안 프랑스의 제조업 기업 182개를 대상으로 R&D투자가 제조업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R&D스톡이 1% 증가할 때 노동생산성은 0.2% 증가하며, 연구 집약적인 기업일수록 이러한 연구개발의 기여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 • Goto and Kazuyuki(1989)는 일본의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R&D 투자가 생산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 한계수익률에서 R&D 스톡이 기여하는 비중은 40%로 분석 • Sharma(2012)는 인도의 제약기업을 대상으로 1994-2006년 동안 R&D투자가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R&D투자는 기업의 생산성에 강한 양(+)의 영향을 미치고 산출물에 대한 탄력성은 10-13%인 것으로 나타남 • 이경석 외(2006)는 1980-2003년 기간동안 국내기업을 대상으로 R&D 투자가 총요소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R&D투자가 총요소생산성에 양(+)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밝힘  기업의 효율성은 투입(input) 대비 성과(output) 비율을 기반으로 측정된다는 측면에서 생산성과 공통점이 있어 여러 문헌에서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어 왔으나, 엄밀한 의미에서 차이가 존재 - 생산성은 투입대비 성과의 비율로 측정하지만, 효율성은 주어진 투입 수준으로부터 달성 가능한 최대 산출인 생산변경(production frontier)에 비해 해당 기업의 투입대비 산출 수준이 상대적으로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나타냄 - 즉, A 기업이 B 기업에 비해 투입대비 성과의 비율, 즉 생산성이 더 높다고 하더라도 해당 투입물의 수준을 고려했을 때 효율성이 오히려 더 낮을 수 있고, 반대로 기술적으로 효율적인 기업이라도 하더라도 투입물 의 양을 변화시켜 생산성을 더 높일 수 있음  국가, 산업, 기업 수준에서의 생산성을 분석한 연구에 비해 규모의 경제를 고려한 상대적 효율성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함 • Barua et al.(2004)은 DEA를 이용하여 인터넷기업의 상대적 효율성을 분석 • Das & Patel(2013)은 인도 제약기업의 효율성을 분석하여 상위기업 일수록 효율성이 높은 것을 보여줌 • 함시창(2006)은 국내 통신 기업들의 효율성을 분석하여 규모가 큰 기업이 효율성이 높음을 보여줌 • 하귀룡・최석봉(2011)은 국내 ICT 중소기업 전체의 효율성을 분석한 결과 효율성이 0.8 이상인 기업의 비율이 2006년 17.2%에서 2009년 10.3%로 감소함을 보여주며, 국내 중소기업들이 전반적으로 비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논의 • 손민정・김하나(2020)는 국내 ICT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효율성을 분석한 결과 개방형 혁신을 하는 기업의 효율성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높음을 보임 • Tripathy et al.(2009)은 인도 제약기업의 효율성을 분석, R&D 투자 집중도가 높은 기업일수록 효율성이 높은 것을 발견 • 김근령・김기홍(2015)은 국내 제약기업의 효율성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 R&D 투자의 중요성을 강조 • 신범철・이의영(2010), 사공진・김정규(2015), 황경윤・구종순(2016), Wang & Wong(2012), 황경연(2013), Tripathy et al.(2009) 등은 매출액 대비 R&D투자의 비율인 연구개발집중도가 기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요인 중 하나인 것을 보여줌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83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특허권 중심의 개방형혁신 현황 분석과 시사점 3도토리 민준석
»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R&D 기업의 효율성 결정적 요인_산업별 특허효과를 중심으로 1도토리 민준석
382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주요국의 탄소중립 기술 정책 및 지식재산 3도토리 민준석
3828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스포츠 환경에서 과학기술 융합의 역사, 다가올 인공지능 기술 활용의 방향성 1도토리 민준석
3827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의료 분야에서의 인공지능과 데이터 활용 동향 1도토리 민준석
382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글로벌 AI 경쟁 및 디지털 통상규범의 의의 1도토리 민준석
382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 물류 빅데이터 기반 해외 시장제공 시스템 분석과 시사점 1도토리 조현상
3824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임상시험 수탁기관(CRO) 서비스 시장의 전망 1도토리 조현상
382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중국의 성장전략 전환과 우리기업의 대응전략 7도토리 조현상
382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최근 무역수지 적자 평가와 전망 1도토리 조현상
3821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추억의 레트로, 미래 금융에서 비긴어게인 1도토리 조현상
3820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기업구조조정시장의 플레이 메이커, 사모펀드 1도토리 조현상
381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일하는 방식의 하이브리드 시대, 원격 리더십 부상 1도토리 조현상
3818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새로운 정부 디지털자산 정책...위기일까 기회일까 1도토리 조현상
381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국제통상환경의 변화,디지털 기술패권 경쟁 7도토리 조현상
381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미국의 금리인상 및 한국의 정책대응 1도토리 조현상
3815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바이든 행정부의 제조업 육성정책 및 글로벌 기업 동향 7도토리 조현상
381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데이터 공유·연계를 통한 디지털 사회 발전 및 시사점 3도토리 조현상
3813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주요국의 핵융합 R&D 정책과 시사점 1도토리 노민우
3812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포용적 혁신성장 기반 선도적 선진경제 확립을 위한 정책방향 1도토리 노민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