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정책분석] 주요국의 탄소중립 기술 정책 및 지식재산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민준석 | 조회수 | 61 | |
---|---|---|---|---|---|---|
용량 | 2.37MB | 필요한 K-데이터 | 3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정책분석] 주요국의 탄소중립 기술 정책 및 지식재산.pdf | 2.37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2-05-30 |
---|---|
출처 : | 한국지식재산연구원 |
페이지 수 : | 33 |
< 목 차 >
Ⅰ. 검토배경
Ⅱ. 탄소중립에서 지식재산의 중요성
Ⅲ. 주요국의 탄소중립 기술 정책
Ⅳ. 요약 및 시사점
2021년 교토의정서가 만료되고 新기후체제의 막을 여는 파리협정 시행 교토의정서의 감축 의무국가는 37개 선진국과 EU뿐으로 탄소배출량이 많은 중국과 인도 등 개발도상국의 감축 의무가 없으며, 교토의정서를 비준하지 않은 미국, 캐나다, 일본, 러시아 등이 제2차 공약기간 활동에 불참하였다는 점이 한계로 지적되어옴1) 선진국에만 온실가스 감축 의무를 부과하고 ‘감축’에만 초점을 맞춘 교토의정서와는 달리, 파리협정은 모든 당사국에 감축 의무를 부여하고, 적응, 재원, 기술이전, 역량배양, 투명성 등의 내용을 담은 보편적・ 포괄적 기후체제임 파리협정에 따라 전 세계 각국은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감축 목표 및 목표달성을 위한 정책 마련2) 2021년 6월 기준, 137개국이 탄소중립을 선언하였으며 호주, 싱가포르 등 5개국을 제외하고는 모두 2050년 이전에 탄소중립을 달성할 것을 목표로 설정 137개국 중 미국, 중국, 독일 등 24개국이 기후목표 관련 정책을 수립하였고, 영국, 프랑스 등 6개국이 탄소중립 목표를 법제화하였으며, 캐나다, EU 등 5개국이 법안을 상정함 [표1] 주요국의 탄소중립 목표 선언 내용 연도 일본 EU 영국 미국 중국 2030년 2013년 대비 46% 감축, 50% 달성 노력 (지구온난화대책본부 회의 및 기후서밋에서 총리 표명) 1990년 대비 최소 55% 감축 (NDC) 1990년 대비 최소 68% 감축 (NDC) 2005년 대비 50~52% 감축 (NDC) 203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 감소 전환 (UN연설) 2050년 탄소중립 (법제화) 탄소중립 (장기 전략) 탄소중립 (법제화) 탄소중립 2060년 탄소중립 (UN연설) * 출처 : 일본 경제산업성 자원에너지청, 「에너지백서 2021」, 2021 주요국은 탄소중립 관련 기술 혁신과 신기술 확보 전략을 마련하였으며, 관련 기술 분야에 대한 투자를 지속 확대 2030년까지 탄소중립 기술 연구개발 등에 미국 1,870조 원, EU 1,320조 원, 일본 178조 원을 투자할 예정이나 우리나라의 예산은 11조 9천억 원(2022년 기준)으로 미국의 5.7%에 불과3전 세계적으로 자국산업 보호 정책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지식재산은 탄소중립 기술 혁신을 위한 촉매 역할 최근 미국과 유럽 주도의 탄소국경세 추진으로 자국산업 보호 정책이 심화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자국 산업을 보호하는 동시에 탄소중립 시대에 글로벌 기술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정책 지원 필요4) - 탄소국경세는 환경 분야의 무역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우리 기업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을 전망 우리 기업의 제품 저탄소화 및 공정의 저탄소 전환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기술 개발을 적극 장려하고 개발된 기술이 신속하게 보호되기 위한 정책 마련이 필요 본 연구는 주요국의 탄소중립 관련 기술정책을 분석하여 탄소중립 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한 국가전략 수립에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이하에서는 탄소중립 시대에 지식재산이 가지는 중요성을 파악하여 지식재산 전략의 필요성을 도출하고, 탄소중립 관련 기술의 특허 경쟁력이 높은 미국, 일본, 중국의 탄소중립 관련 기술 및 지식재산 정책을 분석하고자 함세계 각국의 탄소중립 선언으로 전 세계 산업구조가 탈탄소・저탄소화로 재편되면서 관련 기술의 중요도가 증대 세계지식재산기구(WIPO) 프란시스 거리(Fransis Gurry) 前사무총장은 “기후변화는 전 세계인에게 심각한 영향을 미치며, 녹색기술의 혁신은 이러한 글로벌 문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하는 열쇠가 될 것” 이라고 표명5)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기후변화 대처를 위한 녹색기술 혁신 촉진에 있어 지식재산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환경 기술에 대한 특허를 ‘녹색성장지표(green growth indicator)’에 포함하고 회원국의 녹색기술 투자 및 특허 관련 데이터를 발표6) 주요국은 탄소중립 등 기후위기 대응을 비용이나 제약으로 여기는 것이 아니라 성장 기회로 간주하고 정부 주도 하에 발 빠르게 기술 혁신 및 선점 노력 미국, 독일 등 전통적인 기술 강국들은 탄소중립 관련 첨단기술 및 에너지 기술에 막대한 정부예산을 투입할 계획임을 발표 [표 2] 주요국의 탄소중립 관련 투자 현황 국가 주요내용 미국 ∙ 인프라, 연구개발에 8년간 약 2조 달러 투자(일자리 계획) - 디지털, 그린 등 연구개발에 1,800억 달러를 투자하고 ARPA-C 설립 - 기후변화 연구에 350억 달러, 우선 실증 과제(에너지 저장, CCS, 수소, 첨단 원자력, 해상 풍력, 바이오 연료, 입자 컴퓨팅, EV 등)에 150억 달러 투자 유럽 ∙ 10년간 민관이 1조 유로 규모 투자(그린딜) - 7년간 EU 예산으로 총 사업비 5,500억 유로를 ‘그린 리커버리(Green Recovery)’에 투입 - 부흥 기금으로 총 사업비 2,775억 유로를 그린 분야에 투입 ※ EU 부흥기금 중, 기후변화・그린 분야에 독일 115억 유로, 프랑스 208유로 제안 중이며, 독일은 충전 인프라, 클린 자동차 분야에 55억 유로, 프린스는 건축물의 에너지 절약에 58억 유로를 중점적으로 투입할 예정 독일 ∙ 첨단기술 지원을 통한 경기부양책 529억 유로 중, 수소 관련 기술에 70억 유로, 충전 인프라에 25억 유로, 녹색기술 개발에 93억 유로 투입 프랑스 ∙ 청정에너지, 인프라 등 에코로지 대책에 300억 유로를 투자하며, 녹색기술 개발(수소, 바이오, 항공 등)에 82억 유로 투자 ※ 전체 1,000억 유로 중 30%를 녹색 분야에 할당 영국 ∙ 2030년까지 정부 지출 120억 파운드, 민간투자 420억 파운드 계획(2023년~2032년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효과 1.8억톤) ∙ 해상 풍력, 수소, 원자력, EV, 대중교통, 항공・해상교통, 건축물, CCUS, 자연보호, 파이낸스・이노베이션의 10대 분야에 투자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