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임상시험 수탁기관(CRO) 서비스 시장의 전망
분류 생명공학/바이오 판매자 조현상 조회수 139
용량 1.08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임상시험 수탁기관(CRO) 서비스 시장의 전망.pdf 1.08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4-29 
출처 : KISTI 
페이지 수 :

1. 임상시험수탁기관(CRO)은 신약개발 단계에서 제약사의 의뢰를 받아 임상시험 진행의 설계, 컨설팅, 모니터링, 데이터관리, 허가대행 등의 업무를 대행하는 에이전시이며, 의료기기의 임상 관련 질병을 찾는 능력 및 치료 능력을 입증하는 임상시험 연구를 아웃소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2. 전 세계 제약산업 시장규모는 2019년 약 1조 2,504억 달러로 전년대비 3.8% 증가하였으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성장률(CAGR)은 4.7%로 증가추세에 있다. 전 세계 제약산업 연구개발(R&D) 규모는 2019년 약 1,860억 달러로, 전년대비 3.0%증가하였고, 최근 5년간 연평균 성장률은 6.5%로 증가추세에 있다. 3. 전방산업인 제약산업의 성장에 힘입어 전 세계 임상시험수탁기관(CRO) 서비스 시장은 2019년 453억 8천 달러에서 연평균 7.7% 성장하여 2024년에는 657억 5천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4. 국내 임상시험수탁기관(CRO) 시장은 2019년 15억 2,768만 달러에서 연평균 10.4% 증가하여 2024년 33억 1,737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5. 최근 감염병 이슈 속에서 긴급 임상시험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임상 정보의 신속한 교류의 중요성이 대두되었고, 환자 온라인 비대면 진단, 원격 처방, 웨어러블 진단기기 활용 등 분산형 임상시험(Decentralized Clinical Trials, DCT)의 활성화로 임상시험 정보 수집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도 조성되어 향후 비대면 임상시험 정보의 수집이 더욱 용이해 질 것으로 전망된다1) 임상시험수탁기관(CRO) 개요 코로나19 팬데믹이 백신 및 치료제 개발 등 바이오의약품의 중요성 을 부각시키면서 전 세계적으로 기업과 정부의 R&D 투자 확대를 견인 하고 있다. 감염병 이외에도 중대질환인 암 치료제, 항암제 등의 개발 추세는 지속될 전망이다. 이처럼 바이오 의약품 산업의 성장을 통해 최 근 신약개발에 대한 시장이 더욱 확대되고 있는데, 이러한 중심에 임상 시험수탁기관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임상시험수탁기관(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 CRO)이란 제약회사가 신약개발에 드는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임상시험 연구를 아웃소싱 하는 기관을 말한다. 의약품 임상시험관리기준(KGCP)에서는 임상시험수탁기관을 다음 과 같이 정의한다. 임상시험수탁기관은 신약개발 단계에서 제약사의 의뢰를 받아 임 상시험 진행의 설계, 컨설팅, 모니터링, 데이터관리, 허가대행 등의 업무를 대행하는 에이전시이며, 의료기기의 임상 관련 질병을 찾는 능력 및 치료 능력을 입증하는 임상시험 연구를 아웃소싱하는 역할 도 수행한다.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의 2020년 한국 임상시험 산업 정보 통계 집에 따르면 국내 임상시험수탁기관 수는 약 65개로 45개는 국내기 업, 20개는 외자기업 형태이다.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 CRO 시장은 약 2.3% 수준에 불과하지만 최근 정부 중심으로 정책·제도적인 신 약개발 지원이 확대되고 있으며, 국내 대형제약사 중심으로 ‘미래먹 거리’를 신약으로 보고 대대적인 투자가 이어지고 있어 높은 성장성 이 기대되고 있다. 다만 숙련된 인력이 부족하거나 희귀질환, 전문 의약품 임상시험 경험 및 현지 규제 이해 부족 등으로 성장이 저해될 수 있는 만큼, 전문인력 양성 등에 집중적인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분석된다. 과거 CRO는 기능적 서비스 제공을 하는 업체에 머물렀지 만 이제는 제약사와의 유익한 공생관계를 형성하는 원스톱 솔루션 제공 업체로 거듭날 것으로 예상되며, 강력한 임상 파이프라인과 변 화하는 임상연구로 CRO의 비즈니스 모델은 더욱 혁신해나갈 것으 로 전망된다. 2) 국내외 제약시장 시장 동향 임상시험수탁기관(CRO)의 시장 동향을 알아보기 위한 전제로 전 방산업인 제약산업에 대한 동향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전 세계 제 약산업 시장규모는 2019년 1조 2,504억 달러(약 1,383조 원)로 전년대비 3.8% 증가하였으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성장률(CAGR) 은 4.7%로 증가추세에 있다. 한국의 제약산업 시장규모는 2019년 161억 달러(약 17조 6,066억 원)로, 전년대비 1.9% 증가하였으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성장률은 7.0%로 증가추세에 있다. 한국의 글로 벌 시장 점유율은 약 1.3%로 세계 12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83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특허권 중심의 개방형혁신 현황 분석과 시사점 3도토리 민준석
383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R&D 기업의 효율성 결정적 요인_산업별 특허효과를 중심으로 1도토리 민준석
382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주요국의 탄소중립 기술 정책 및 지식재산 3도토리 민준석
3828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스포츠 환경에서 과학기술 융합의 역사, 다가올 인공지능 기술 활용의 방향성 1도토리 민준석
3827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의료 분야에서의 인공지능과 데이터 활용 동향 1도토리 민준석
382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글로벌 AI 경쟁 및 디지털 통상규범의 의의 1도토리 민준석
382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 물류 빅데이터 기반 해외 시장제공 시스템 분석과 시사점 1도토리 조현상
»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임상시험 수탁기관(CRO) 서비스 시장의 전망 1도토리 조현상
382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중국의 성장전략 전환과 우리기업의 대응전략 7도토리 조현상
382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최근 무역수지 적자 평가와 전망 1도토리 조현상
3821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추억의 레트로, 미래 금융에서 비긴어게인 1도토리 조현상
3820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기업구조조정시장의 플레이 메이커, 사모펀드 1도토리 조현상
381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일하는 방식의 하이브리드 시대, 원격 리더십 부상 1도토리 조현상
3818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새로운 정부 디지털자산 정책...위기일까 기회일까 1도토리 조현상
381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국제통상환경의 변화,디지털 기술패권 경쟁 7도토리 조현상
381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미국의 금리인상 및 한국의 정책대응 1도토리 조현상
3815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바이든 행정부의 제조업 육성정책 및 글로벌 기업 동향 7도토리 조현상
381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데이터 공유·연계를 통한 디지털 사회 발전 및 시사점 3도토리 조현상
3813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주요국의 핵융합 R&D 정책과 시사점 1도토리 노민우
3812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포용적 혁신성장 기반 선도적 선진경제 확립을 위한 정책방향 1도토리 노민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