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최근 무역수지 적자 평가와 전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현상 조회수 108
용량 3.37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최근 무역수지 적자 평가와 전망.pdf 3.37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5-27 
출처 : KITA 
페이지 수 : 10 

< 목 차 >

 

Ⅰ. 최근 무역수지 적자 동향

 

Ⅱ. 무역수지 적자 원인

 

Ⅲ. 무역수지 적자 영향 평가

 

Ⅳ. 2022년 무역수지 추세 전망

 

Ⅴ. 결론 및 시사점
 


 

◉ 최근 무역수지 악화는 韓䞱獨䞱日 등 글로벌 제조업 수출국의 공통적인 현상  국제유가 상승과 함께 무역구조가 유사한 한국, 독일, 일본 등 주요 수출국 무역수지가 동시에 악화 - (한국) 작년 12월 이후 적자 기조로 전환되었으며, 올해 1~4월 중 61.4억 달러 적자 기록 - (독일) 올해 1분기 무역수지는 작년 1분기 대비 3분의 1 이하로 감소(656억 달러→208억 달러, -68.2%) - (일본) 작년 8월 이후 매월 적자가 이어지고 있으며, 올해 1~4월 중 351억 달러 대규모 적자 시현 (단위 : 억달러) (단위 : 억달러, 달러/배럴) 자료 : K-stat 주 : 유로䞱엔화는 달러화 월평균환율 적용 자료 : WTO, K-stat, 獨통계청, 日재무성, 한국은행, 페트로넷 ◉ 수출 호조에도 불구 원유 등 에너지 수입증가로 무역수지는 크게 악화  (수출물량) 우리나라의 대세계 수출물량은 지난해 10월 이후 매월 지속적으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음  (수입비중) 4대 에너지(원유, 천연가스, 유연탄, 나프타) 수입비중은 2021년 20%에서 올해 1~4월 27%로 증가  (수입기여율) 올해 수입 증가는 원유(기여율 28.7%)를 중심으로 에너지 수입증가에 60% 이상 기인 (단위 : 전년동기대비%) (단위 : 비중%, 전년동기대비%) 품목 (MTI6) 2021년 2022년 1~4월 수입비중 수입증가율 수입비중 수입기여율 원유 10.9 78.1 13.7 28.7 천연가스 4.1 113.9 6.8 17.2 유연탄 2.2 157.7 3.2 9.5 나프타 3.0 61.5 3.2 5.9 4大소계 20.2 90.9 26.9 61.3 총수입 100.0 26.5 100.0 100.0 주 : 물량은 한은 수출물량지수, 금액은 통관수출액 기준 자료 : K-stat, 한국은행 주 : 기여율 = (품목별 수입증가액)/(총수입 증가액) *100 자료 : K-statⅡ 무역수지 적자 원인 ◉ 올해 무역적자 현상은 경기변동 및 구조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 ① 경기변동 요인  (원자재) 작년 하반기부터 경기회복 기대감이 확산되면서 원유䞱비철 등 국제원자재 수요䞱가격 상승을 견인 - (원유) 올해 1~4월 중 국내 도입물량과 단가가 동시에 상승하면서 원유 수입이 큰 폭으로 상승 - (비철) 구리, 아연, 니켈 등 주요 비철 시세도 4월까지 크게 상승하다가 5월에는 다소 하향 조정세 (단위 : 달러/배럴, 백만 배럴, 전년동기대비%) (단위 : 달러/톤)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1~4월 5월 구리 6,005 6,169 9,315 10,035 9,344 아연 2,549 2,265 3,005 3,900 3,732 알루미늄 1,792 1,702 2,475 3,265 2,825 니켈 13,907 13,773 18,478 27,916 27,816 주 : 도입물량은 월별 도입물량의 4개월 평균 기준 자료 : petronet,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22.5) 주 : LME 평균 가격, 5월은 현물가 평균 기준(5/3~5/25) 자료 : 한국비철금속협회  (재고) 공급난 병목으로 소진된 재고량을 회복하기 위한 수입 수요 확대도 총수입 확대에 영향 - 지난해 9월 이후 제조업 재고율은 플러스로 전환되었으며, 올해 2월부터는 재고율이 두 자릿수로 확대 - 작년 4분기부터 올해 1월까지 산업생산이 큰 폭으로 확대되면서 활발한 생산활동이 이어지고 있음 (단위 : 전년동월대비%) (단위 : 전년동월대비%) 주 : 재고율=(계절조정재고지수/계절조정출하지수)×100 자료 : 통계청 자료 : 한국은행 TRADE BRIEF 04 ② 구조적 요인  (러䞱우 사태)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유가가 폭등하면서 수입이 급증해 무역수지가 단기간에 빠르게 악화 - 러시아 군사배치(12/3)로 유가가 급등해 올해 1월 무역수지 적자(△47.4 억 달러) 원인으로 작용 - 러䞱우 전면전 개시(2/24) 직후 유가가 배럴당 최고 128달러까지 폭등(3/9)했으나, 추가 상승 없이 배럴 당 107달러 수준에서 횡보* 중 * 두바이유 가격($/b) : (`21.10) 81.6 (11) 80.3 (12) 73.2 (`22.1) 83.5 (2) 92.4 (3) 110.9 (4) 102.8 (5/1~5/25) 106.9 (단위 : 달러/배럴) 자료 : petronet  (천연가스) 친환경䞱저탄소 수요 확대에 따른 천연가스 수입 증가는 무역수지 악화를 가속하는 요인 - 작년 하반기 이후 천연가스 물량* 및 수입 비중이 본격적으로 확대 추세 * 천연가스 수입물량(만톤) : (`21.2Q) 936 (3Q) 1,120 (4Q) 1160 (`22.1Q) 1,343 - 올해 천연가스 수입단가가 원유보다 빠르게 상승하고 있어 무역수지 악화 요인으로 작용 (단위 : 비중 %) (단위 : 전년동월대비%) 주 : 총수입액 대비 비중(품목 비중 누적 그래프) 자료 : K-stat 주 : 수입단가지수=수입금액지수/수입물량지수 자료 : 한국은행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74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터넷분야_추천 알고리즘 시대, 인터넷은 맞춤형으로 진화중 7도토리 한상윤
374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철강/화학 분야_미중용 배터리, 메탈 슬러그 1도토리 한상윤
374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에너지/유틸리티 분야_에너지 전환 동향 보고서 7도토리 한상윤
374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터넷/게임 분야_위기의 게임주, 투자전략 점검 1도토리 한상윤
374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그린솔루션/항공우주/스몰캡 분야_전쟁이 낳은 역설, 新 성장산업의 등장 7도토리 한상윤
374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ESG분야_에너지 전환, 안보이슈 태양광으로 이동 1도토리 한상윤
374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전기전자/배터리분야_모빌아이가 불러올 Future 7도토리 한상윤
3742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바이오분야_RNA치료제, 이제부터 시작 9도토리 한상윤
3741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의료기기분야_체외진단 산업의 중장기적 성장성 주목 7도토리 한상윤
374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반도체분야_수요 둔화 우려 속 아웃퍼폼한 아시아 Overweight 메모리 및 파운드리 1도토리 한상윤
373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그린산업분야_미국 주도 IPEF 참여로 국내의 재생에너지 확대 불가피 1도토리 한상윤
3738 생명공학/바이오 [기술동향] 재생의학분야의 세포 치료제 활용 1도토리 나혜선
3737 생명공학/바이오 [기술동향] 감염병 방역기술 3도토리 나혜선
373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특허권 중심의 개방형혁신 현황 분석과 시사점 3도토리 민준석
373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R&D 기업의 효율성 결정적 요인_산업별 특허효과를 중심으로 1도토리 민준석
373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주요국의 탄소중립 기술 정책 및 지식재산 3도토리 민준석
3733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스포츠 환경에서 과학기술 융합의 역사, 다가올 인공지능 기술 활용의 방향성 1도토리 민준석
373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글로벌 AI 경쟁 및 디지털 통상규범의 의의 1도토리 민준석
373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 물류 빅데이터 기반 해외 시장제공 시스템 분석과 시사점 1도토리 조현상
3730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임상시험 수탁기관(CRO) 서비스 시장의 전망 1도토리 조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