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포스트코로나 시대 여행보험시장 전망 및 과제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이지훈 조회수 120
용량 259.06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포스트코로나 시대 여행보험시장 전망 및 과제.pdf 259.06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5-16 
출처 : 보험연구원 
페이지 수 :

2021년 여행보험시장은 일상속의 여행 수요의 확대에 따라 국내여행보험 중심으로 회복되는 모습임.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라 여행시장의 패러다임이 ① 일상에서 여가 활동 중심, ② 유연・편리함 추구로 전환됨. 포스트코로나 시대 국내 여행보험시장의 활력을 위해서는 여행보험상품에 일상과 연계된 ‘생활 여행’을 위한 여가・레저 보장을 확대하고, 여행의 유연・편리함을 위한 여행 취소・중단 보장을 제공할 필요가 있음○ 우리나라 여행산업은 2020년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유례없는 침체기를 겪었으나, 2021년부터 국내여행 중심으로 여행수요가 회복되는 모습을 보임( 참고) ∙ 내국인 해외여행자 수는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 저비용항공사 성장 등에 힘입어 2019년까지 연평균 12%의 높은 성장세를 보여왔으나,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2020년과 2021년 각각 85%, 71% 감소 등 2년 연속 크게 감소함∙ 내국인 국내여행자 수 또한 사회적 거리두기 시행 등으로 2020년 크게 감소하였으나, 2021년에는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라 해외여행 수요를 흡수하면서 코로나19 발생 이전 수준으로 회복된 것으로 추정됨○ 코로나19 장기화로 일상 속에서 안전한 여행을 추구함에 따라 여행보험시장은 국내여행보험 중심으로 점차 회복되는 모습을 나타냄( 참고) ∙ 2021년 국내여행보험 신계약건수는 17만 91건으로 2020년(11만 3,915건) 대비 49.3% 증가하면서 높은 회복세를 나타냈으며, 국내여행보험 원수보험료는 49.1억 원으로 2020년(38.2억 원) 대비 소폭 증가함 ∙ 여행보험시장은 특히 2021년 2/4분기를 기점으로 점진적인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2022년에는 사회적 거리두기 의무화 전면 해제 등으로 회복세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함 국내 여행보험시장 분기별 추이(신계약건수 기준) (단위: 만 건) 자료: 6개 손해보험회사 통계(2019년 신계약건수 기준 국내 여행보험시장 90.2% 점유) ○ 한편, 여행시장의 패러다임이 ① 일상에서 여가 활동 중심, ② 유연하고 편리함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전환됨∙ 재택근무 확산에 따른 업무와 여행의 결합(워케이션(Work+Vacation)), 이동을 최소화하기 위한 한 지역에 머무르며 체험하기(Slow tourism), 사회적 거리두기가 용이한 야외 및 레저 활동 등에 대한 여행수요가 증가함 - 근거리의 자연 친화적 공간에서 가족과 함께 안전하게 야외 활동을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해지면서, 생활권역 내에서 일상과 연계되거나 캠핑, 차박, 골프, 등산 등의 활동을 결합한 여행에 대한 수요가 확대됨 ∙ 또한, 갑작스러운 거리두기 단계 상승 등으로 항공권이나 숙소 예약을 취소하거나 여행 중 일정이 변경되는 변수를 경험하게 되면서,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도 여행 일정 변경이나 취소가 유연하고 편리한 여행상품을 추구함 ○ 최근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여행제한 조치 단계적 완화 등으로 코로나19로 위축되었던 여행보험시장의 점진적 회복이 전망됨에 따라, 해외 보험회사들은 신상품 개발을 통해 새로운 여행보장수요에 대응하는 모습임 ∙ 2020년 글로벌 해외여행자 수는 전년 대비 73%로 크게 감소하였으나, 2021년에는 7.4% 소폭 증가함2) - 2022년 1월 한 달간 글로벌 총 해외여행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약 1,800만 명 증가하여 지난 2021년 연간 증가 폭인 1,500만 명을 빠르게 넘어섬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760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저궤도 군집 통신위성 탑재체 기술 분석 1도토리 류지원
3759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전자파 세포노출장치 기술 분석 1도토리 류지원
3758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5G 모바일 프론트홀 광전송 기술 분석 1도토리 류지원
3757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실리콘 포토닉스 기반 광트랜시버 기술 분석 1도토리 류지원
3756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개방형 5G 프론트홀 기술 분석 1도토리 류지원
375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지털분야_디지털 역기능 3대 이슈 쟁점및 과제 3도토리 류지원
375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농업분야_주요국의 저탄소 농업정책 7도토리 최민기
3753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글로벌 통화정책 변화에 따른 위험요인과 시사점 1도토리 최민기
375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 금융회사와 빅테크 기업의 개인사업자신용평가업 진출 현황 1도토리 최민기
375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SEC의 상장기업 기후 공시 의무화 방안 1도토리 최민기
3750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ESG_탈세계화 시대, 지배구조 이슈화 분석 3도토리 최민기
374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터넷분야_추천 알고리즘 시대, 인터넷은 맞춤형으로 진화중 7도토리 한상윤
374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철강/화학 분야_미중용 배터리, 메탈 슬러그 1도토리 한상윤
374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에너지/유틸리티 분야_에너지 전환 동향 보고서 7도토리 한상윤
374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터넷/게임 분야_위기의 게임주, 투자전략 점검 1도토리 한상윤
374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그린솔루션/항공우주/스몰캡 분야_전쟁이 낳은 역설, 新 성장산업의 등장 7도토리 한상윤
374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ESG분야_에너지 전환, 안보이슈 태양광으로 이동 1도토리 한상윤
374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전기전자/배터리분야_모빌아이가 불러올 Future 7도토리 한상윤
3742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바이오분야_RNA치료제, 이제부터 시작 9도토리 한상윤
3741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의료기기분야_체외진단 산업의 중장기적 성장성 주목 7도토리 한상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