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공공장소 와이파이 구축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김민성 조회수 47
용량 2.61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공공장소 와이파이 구축.pdf 2.61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5-09 
출처 : 한국개발연구원 
페이지 수 : 159 

< 목 차 >

 

제Ⅰ장 사업계획 적정성 재검토의 개요
 제1절 사업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사업의 내용
 제3절 사업계획 적정성 재검토의 배경 및 내용

제Ⅱ장 기초자료 분석 및 검토의 주요 쟁점
 제1절 기초자료 분석
 제2절 상위 및 관련계획
 제3절 사업계획 적정성 재검토의 주요 쟁점

제Ⅲ장 경제사회 환경 분석
 제1절 경제사회 여건 분석
 제2절 경제사회 영향 분석
 제3절 재정의 지속 가능성

제Ⅳ장 사업설계의 적정성 분석
 제1절 사업목표의 적절성 및 시급성
 제2절 수혜대상지의 적절성
 제3절 추진방법의 적절성
 제4절 운영체계의 적절성

제Ⅴ장 비용 추정
 제1절 비용 추정의 전제
 제2절 유형별 구축비 추정
 제3절 기대효과의 적절성 검토

제Ⅵ장 종합결론 및 정책제언
 제1절 종합결론
 제2절 정책제언

 


 

제Ⅰ장 사업계획 적정성 재검토의 개요 1. 사업의 개요 □ 사업의 배경 및 목적 ◦ 사업의 배경 - 정부는 2012년부터 가계통신비 경감, 지역주민들의 디지털 정보격차 해소 등을 목적으로 국민들이 주로 이용하는 주민센터, 도서관 등 전국 공공장소에 공공 와이파이 구축을 추진 중 - 2019년 이후 전 세계 코로나 펜데믹(Pandemic)으로 인해 원격교육, 화상회의 등이 보편화되고 있는 상황에 따라, 2022년까지 공공장소 와이파이 구축 사 업(이하 ‘본 사업’)을 확대(사업기간 2021~2022년)할 필요성 제기 ◦ 사업의 목적 - 공공와이파이 인프라 구축을 통해 서민들의 통신비 부담을 경감하고 무선 인 터넷 이용 격차를 해소하여 국민들의 통신접근성을 확대 ◦ 사업의 기대효과 - 무선 인터넷 수요가 늘어나는 상황에서 국민 누구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공공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여 서민들의 가계통신비 절감 - 국민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전국 공공장소에서 공공와이파이를 제공하여 지역주민들의 통신 접근성을 강화하고 디지털 격차 해소에 기여 -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여 통신 강국 대한민국의 위상을 높이고 국가 브랜드 파워 강화2 「공공장소 와이파이 구축」 사업계획 적정성 재검토 □ 사업의 추진 경위 ◦ 2013년 5월: 박근혜정부 국정과제 선정(20. 정보통신 최강국 건설) ◦ 2014년 3월: 경제혁신 3개년 계획 실행과제(무료 공공와이파이 확대) ◦ 2012~2017년: 전국 공공장소에 공공와이파이 구축 및 상용와이파이 개방 추진 - 전국에 공공와이파이 10,969개소 구축 완료 ◦ 2017년 7월: 문재인정부 100대 국정과제 선정(31-5-6. 공공와이파이 확대) ◦ 2018~2023년: 전국 시내버스 내 무료 공공와이파이 구축⋅운영1) ◦ 2019~2020년: 전국 공공장소에 공공와이파이 구축 사업2) 추진 중 - 2019년 7,150개소(2020년 6월 구축 완료) / 2020년 10,000개소 구축 추진 중 ◦ 2020년 5월: 공공지역 와이파이 구축 사업계획 적정성 재검토 의뢰3) ◦ 2020년 9월: 사업계획 변경4) ◦ 2020년 10월: 사업계획 미비에 따른 사업계획 적정성 재검토 일시 중지 요청5) - 사업위치 미정 등 근거자료 부족, 가(假)수요 마련을 위한 일시 중지 ◦ 2021년 5월: 사업계획 적정성 재검토 재개 요청6) - 공원 33개소, 도서관 9개소, 마을회관 15개소, 버스정류장 28개소, 체육시설 15개소 등 총 100개소를 표본(가수요)으로 현장실사 및 설계내역을 제시□ 사업의 주요 내용(사업계획 변경 기준) ◦ 사업위치: 미정(수요조사를 통해 공공장소7) 설치 장소 선정 예정) ◦ 사업규모: 31,000개소에 신규 공공와이파이(개방형) 구축 ◦ 사업기간: 2021~2022년 ◦ 총사업비: 247,380백만원 - 신규 구축: 31,000개소 × 600만원(1개소 평균 구축 단가) = 186,000백만원 - 월 회선료: 31,000개소 × 3.3만원(지자체 부담 / 5년간) = 61,380백만원 ◦ 사업주체 / 시행주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 재원분담: 국가 52.6%, 지자체 24.8%, 민간 22.6%8) - 국가 130,200백만원, 지자체 61,380백만원, 민간 55,800백만원 □ 사업계획 변경 전⋅후 비교 항목 변경 전 (최초 총사업비 조정요구 2020년 5월 기준) 변경 후 (사업계획 변경 2020년 9월 기준) 사업기간 2021~2022년 총사업비 307,600 247,380 사업내용 - 신규 구축: 34,000개 - 기 구축 공공와이파이 장비교체 및 추가구축 AP - 신규 구축: 31,000개 사업계획 변경 내역 (단위: 백만원) 주: 자료의 내용을 연구진이 재구성함. 자료: 기획재정부 타당성심사과-290(2020.05.29.), 기획재정부 타당성심사과-590(2020.09.16.)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272 성장동력산업 한ㆍ러 경협 활성화를 위한 중소기업의 역할과 과제 7도토리 나혜선
3271 성장동력산업 탄소중립 시대, 에너지전환 과정에서의 LNG 역할 1도토리 조정희
3270 성장동력산업 2022 KB 부동산 보고서 7도토리 조정희
3269 성장동력산업 KIET 경제 산업 동향 3도토리 조정희
3268 성장동력산업 국내 경제 전망 1도토리 조정희
3267 성장동력산업 주파수 경매 제도의 사회‧경제적 후생효과 분석 7도토리 조정희
3266 성장동력산업 탄소중립 실천, 학교에서 시작합니다 1도토리 조정희
3265 성장동력산업 무인기(드론) 비행을 20km까지 확장가능한 통신기술 개발 착수 1도토리 조정희
3264 성장동력산업 코로나19 및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인공지능(AI) 역할 120도토리 김민성
3263 성장동력산업 주요 산업별 인공지능(AI) 사용 현황과 시사점 120도토리 김민성
3262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AI)이 만들어갈 가까운 미래 120도토리 김민성
3261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AI)을 국가 통계에 도입 및 활성화 방안 분석 120도토리 김민성
3260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AI) 시장분석과 뉴노멀 시대의 인공지능 역할 120도토리 김민성
3259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AI) 관련 주요 국가별 시장 및 정책동향 120도토리 김민성
3258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인공지능(AI) 전략분야 산업 및 시장분석 120도토리 김민성
3257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인공지능(AI) 시장분석과 기업의 비즈니스 활용 과제 120도토리 김민성
3256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인공지능(AI) 관련 특허 동향 120도토리 김민성
3255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인공지능(AI) 관련 기술 분석 120도토리 김민성
3254 성장동력산업 국내 인공지능(AI) 산업 현황 조사 120도토리 김민성
325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인공지능(AI) 연구지수 측정(AI Research Index)과 시사점 120도토리 김민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