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시장동향] 우크라이나 사태의 국제곡물 시장 동향
분류 생명공학/바이오 판매자 조정희 조회수 118
용량 1.63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시장동향] 우크라이나 사태의 국제곡물 시장 동향.pdf 1.63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3-31 
출처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페이지 수 : 25 

< 목 차 >

01 국제곡물 시장 동향

 

02 우크라이나, 러시아의 곡물 수출

 

03 국제곡물 시장 영향 분석

 

04 국내 영향 분석

 

05 대응 및 시사점

 


 

1.1. 가격 동향 2020년 하반기부터 상승세를 보이던 국제곡물 가격은 우크라이나 사태 악화에 따라 흑해 지역 수출 비중이 높은 밀, 옥수수, 보리를 중심으로 급등함. 국제곡물 가격은 우크라이나 사태의 시작과 함께 급등하였으며 이후 전쟁의 장기화 우려와 러시아에 대한 미국, EU, 일본 등의 금융제재가 시작되면서 급등세가 지속됨. • 국제곡물 가격은 금년 2월 우크라이나 사태 악화와 전쟁 발발로 급등한 이후, SWIFT 결제망에서 러 시아 은행 차단, 자산 동결 등 미국, 영국, EU, 일본 등의 對러시아 금융제재가 본격화되고 전쟁 장기 화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면서 급등세가 3월까지 유지됨. • 코로나19로 인한 물류 차질과 곡물 주산지 이상기상 발생에 따른 수급 상황 악화 등으로 2020년 하 반기부터 상승세로 전환됨. 즉, 최근의 우크라이나 사태는 국제곡물 수급이 여유롭지 못한 상황에서 발생하여 국제곡물 가격에 대한 영향이 매우 크게 나타남. 주요 곡물 CBOT 선물가격 추이 단위: 달러/톤 550 500 450 400 350 300 250 200 10일11일14일15일16일17일18일22일23일24일25일28일 1일 2일 3일 4일 7일 8일 9일 10일11일14일15일16일17일18일 2월 돈바스 지역 교전 3월 640 630 620 610 600 590 580 570 560 550 540 밀(좌축) 옥수수(좌축) 대두(우축) 우크라이나 침공 푸틴, 파병 지시 對러시아 금융제재 시작 자료: 시카고 상품거래소(CBOT). “선물가격.”(http://www.krei.re.kr:18181/new_sub01, 검색일: 2022. 3. 21.). 농정포커스 3 3월 국제곡물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밀 82.0%, 옥수수 36.7%, 콩 18.9%, 전월 대비 각각 43.9%, 14.9%, 5.8% 상승하였으며, 특히 밀은 역대 최고 가격을 기록함. • 밀, 옥수수, 콩의 금년 3월 선물가격은 평년 3월 대비 각각 137.7%, 102.1%, 72.0% 상승하였으 며1), 상승세가 본격화된 2021년 3월 대비 각각 82.0%, 36.7%, 18.9% 상승함. 전월 대비로는 밀 43.9%, 옥수수 14.9%, 대두 5.8% 상승함. • 이러한 급등으로 3월 밀 선물가격은 역대 최고치를 경신하였으며 옥수수와 콩(대두) 가격도 2008년 의 역대 최고치에 근접하는 수준으로 상승함. 2022년 3월 곡물 선물가격 증감률 82.0% 137.7% 43.9% 36.7% 102.1% 14.9% 18.9% 72.0% 5.8% 평년 대비 전년 동월 대비 전월 대비 밀 옥수수 대두 주: 2022년 3월 가격은 3월 18일까지의 평균 가격임. 평년은 최근 5개년(2017~2021년)에서 최대, 최소를 제외한 평균임. 자료: 시카고 상품거래소(CBOT). “선물가격.”(http://www.krei.re.kr:18181/new_sub01, 검색일: 2022. 3. 21.). 전쟁으로 인한 흑해 지역 곡물 수출량 감소 우려에 더하여 주요 곡물 수출입국의 수출제한 조치도 최근 국제곡 물 가격 상승의 요인으로 판단됨. • 우크라이나는 3월 5일, 수출 허가 및 수출물량 할당제 대상 품목에 밀 등을 새로 추가함에 따라 밀, 옥 수수, 해바라기유는 수출 시 허가가 필요함.2) • 러시아는 자국 내 물가 안정을 목적으로 3월 15일부터 6월 30일까지 유라시아경제연합(Eurasian Economic Union: EEU)국에3) 밀, 보리, 옥수수 등 주요 곡물의 수출을 일시적으로 금지함. • 아르헨티나는 3월 13일에 대두유, 대두박 및 기타 관련 제품의 수출 판매등록을 별도의 지시가 있기 전까지 중단할 것으로 발표. 이 외에도 이집트(밀과 밀 가공식품), 헝가리(모든 곡물), 불가리아(밀) 등 이 수출 금지 혹은 제한 조치를 3월부터 발동함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74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반도체분야_수요 둔화 우려 속 아웃퍼폼한 아시아 Overweight 메모리 및 파운드리 1도토리 한상윤
373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그린산업분야_미국 주도 IPEF 참여로 국내의 재생에너지 확대 불가피 1도토리 한상윤
3738 생명공학/바이오 [기술동향] 재생의학분야의 세포 치료제 활용 1도토리 나혜선
3737 생명공학/바이오 [기술동향] 감염병 방역기술 3도토리 나혜선
373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특허권 중심의 개방형혁신 현황 분석과 시사점 3도토리 민준석
373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R&D 기업의 효율성 결정적 요인_산업별 특허효과를 중심으로 1도토리 민준석
373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주요국의 탄소중립 기술 정책 및 지식재산 3도토리 민준석
3733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스포츠 환경에서 과학기술 융합의 역사, 다가올 인공지능 기술 활용의 방향성 1도토리 민준석
373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글로벌 AI 경쟁 및 디지털 통상규범의 의의 1도토리 민준석
373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 물류 빅데이터 기반 해외 시장제공 시스템 분석과 시사점 1도토리 조현상
3730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임상시험 수탁기관(CRO) 서비스 시장의 전망 1도토리 조현상
372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중국의 성장전략 전환과 우리기업의 대응전략 7도토리 조현상
372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최근 무역수지 적자 평가와 전망 1도토리 조현상
3727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추억의 레트로, 미래 금융에서 비긴어게인 1도토리 조현상
3726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기업구조조정시장의 플레이 메이커, 사모펀드 1도토리 조현상
372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일하는 방식의 하이브리드 시대, 원격 리더십 부상 1도토리 조현상
372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새로운 정부 디지털자산 정책...위기일까 기회일까 1도토리 조현상
3723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국제통상환경의 변화,디지털 기술패권 경쟁 7도토리 조현상
3722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미국의 금리인상 및 한국의 정책대응 1도토리 조현상
372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데이터 공유·연계를 통한 디지털 사회 발전 및 시사점 3도토리 조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