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기술동향] 메디컬 섬유소재 기술동향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조정희 | 조회수 | 81 | |
---|---|---|---|---|---|---|
용량 | 1.82MB | 필요한 K-데이터 | 3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기술동향] 메디컬 섬유소재 기술동향.pdf | 1.82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2-02-22 |
---|---|
출처 :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페이지 수 : | 37 |
제1장 개요
제2장 기술동향
제3장 산업동향
제4장 정책동향
제5장 정부 R&D 투자동향
제6장 결론
1.1 배경 및 필요성 우리나라는 섬유의 기술 수준이 他 국가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전통적 강호였으나, 최근 중국 등의 빠른 추격으로 인해 융복합・고부가가치화를 위한 산업 전환 필요 l ’60년대에 수출산업으로 전환되기 시작한 섬유는 ’60년대 중반 ~ ’70년대 우리나라 수출 총액의 30~50%를 차지할 정도로 급성장, ’87년에는 단일 품목 최초로 100억 달러 수출 달성1) l 우리나라 섬유의류 분야 기술은 생산 및 신제품 개발력 향상을 지속해왔으며, 향후 최고기술달성에 필요한 시간 또한 소재 관련 분야 중 가장 짧은 것으로 파악됨 소재 분야 선진 최고기술 대비 현재 수준 및 최고기술 달성 기간2) 기술분야 기술수준(%) 최고기술 달성 기간(년) 섬유의류 85.7 1.3 화학공정소재 86.4 1.6 세라믹 83.9 1.6 금속재료 80.2 2.1 l 국내 섬유산업은 발전기를 지나 성숙기 단계로 진입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IT, BT, NT 등 첨단기술과 접목하면서 융복합 산업으로 진화하고 있음 l 하지만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세계 섬유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중국과의 기술격차가 줄어들고 있어, 전략적이고 신속한 섬유산업의 고부가가치화의 필요 - 일본의 경우, 수요가 높은 고성능・고기능성 섬유, 나노섬유 등 고부가가치 산업용 섬유개발에 투자를 지속 확대하며 높은 기술 수준과 독자적 시장 영역을 유지하고 있음 - 국내 섬유산업의 근간으로 middle-stream에서 굳건하게 자리해온 대구염색산업단지 입주기업 127개사 가운데 98개사가 휴업, 부분휴업 또는 단축 조업을 실시(’20.4월 기준)3) 1) TIN뉴스(2016.11.15.), “섬유 단일 업종 최초 100억불 수출 30돌(1)” 2)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2018), “2017 산업기술수준조사” 2 KISTEP 브리프 03 메디컬 섬유소재 섬유산업의 한・중・일 기술수준 비교(일본 100 기준)4) 한국 중국 ’10 ’15 ’20 ’10 ’15 ’20 산업용 섬유 60 65 75 45 52 64 의류용 원사 75 80 85 59 68 77 제직 82 85 88 62 70 81 염색・가공 70 75 80 46 56 66 봉제 87 90 95 65 79 88 섬유산업 전체 75 79 85 55 65 75 “메디컬 섬유소재” 분야는 고령 인구 증가, 생활 수준의 향상,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로 인해 고부가가치화, 수요자 맞춤형 기술개발 등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됨l 인체 적용 시 안정성 확보 등 고도의 기술력이 요구되는 메디컬 섬유소재는 고부가가치 산업*이며, 따라서 R&D를 통해 국내 전통 섬유산업의 장기 위축을 해결할 수 있는 핵심기술확보가 시급 *백혈구 제거 필터 부가가치 : 약 1,500배, 인공혈관 부가가치 : 약 2,500배5) l 또한, 최근 코로나-19 상황에서의 개인보호장비(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이하 PPE) 수요 급증은 섬유소재의 메디컬 분야 적용을 위한 R&D 관심 유발 - 마스크, 방호복 등 개인보호장비의 국내 생산 및 수출이 급증하였으며, 코로나-19 장기화로인하여 제품의 성능고도화와 원가 절감을 위한 기술개발을 통해 산업 규모 유지 필요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