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기술동향] 바이오 소부장의 기술개발 동향과 전망
분류 생명공학/바이오 판매자 한상윤 조회수 191
용량 747.48K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기술동향] 바이오 소부장의 기술개발 동향과 전망.pdf 747.48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5-11 
출처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페이지 수 : 18 

바이오 소부장 ★ 바이오산업은 생물공학기술을 바탕으로 생물체의 기능 및 정보를 활용하여 제품 및 서비스 등 다양한 고부가가치를 생산하는 산업으로 정의함. 바이오 소부장은 이러한 바이오산업의 연구개발, 제조, 생산, 서비스 단계에 활용하기 위한 소재·부품·장비를 총칭함. 소부장은 제조업의 뿌리가 되는 기초산업이며, 최근 모든 산업에 걸쳐 글로벌 공급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되고 있음 ★ 바이오산업은 코로나19 발생 이후 진단 및 치료제 솔루션 수요 증가에 따라 ’21년 5,041억 달러에서 ’27년 9,114억 달러로 연평균 7.7%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러한 성장세에 따라 바이오 소부장 역시 수요 확대 및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됨. 다만, 국내 바이오의약품을 생산하기 위한 소부장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글로벌 기업 위주의 독점 시장이 형성되어 국내 소부장 공급기업의 시장진출에 어려움이 있으나, 공급-수요기업간의 협력을 통해 일부 가시적인 성과가 도출되고 있음 시사점 및 정책제안 ★ 최근 코로나19 팬데믹 및 글로벌 패권경쟁은 국내 바이오산업이 한발 도약하는데 기회요인이 되었고, 백신, 항체의약품, 진단키트, 원부자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유례 없는 성장과 실적을 기록하였음 ★ 수요-공급기업, 민관 협력 기반 최신 소부장 선도기술 개발, 실증테스트 및 인허가 정책 지원 등 바이오 소부장 산업생태계를 구축을 위해 장기적 안목으로 바이오산업 전반으로 확대 투자한다면 좋은 성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함1. 바이오 소부장 정의 및 필요성 바이오산업 및 소부장의 정의 ★ 바이오산업은 건강·식량·환경 분야의 당면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미래 경제의 핵심 산업으로 크게 의약바이오, 융합바이오, 산업바이오로 분류함 - 바이오산업은 질병의 예방·치료 등을 위한 의약품을 개발, 생산하는 의약바이오분야와 바이오기술과 IT, NT 등의 융·복합으로 질병의 조기발견 및 개인별 체질에 맞는 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융합바이오분야, 식물 등 재생 가능한 자원을 이용해 화학제품 대체 및 저탄소 연료를 생산하는 산업바이오분야로 크게 나눌 수 있음 ★ 바이오산업은 생물공학기술을 바탕으로 생물체의 기능 및 정보를 활용하여 제품 및 서비스 등 다양한 고부가가치를 생산하는 산업으로 정의함. 바이오 소부장은 이러한 바이오산업의 연구개발, 제조, 생산, 서비스 단계에 활용하기 위한 소재·부품·장비를 총칭함. 소부장은 제조업의 뿌리가 되는 기초산업이며, 최근 모든 산업에 걸쳐 글로벌 공급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되고 있음 ★ 2008년 1월 31일부터 국가기술표준원이 제정한 바이오산업 분류체계(KSJ 1009)에 따라 바이오산업을 8개의 대분류로 코드화하였음. 이후 2016년 12월 29일 생명공학기술 및 바이오제품의 급속한 변화를 반영하여 아래 〈표 1〉과 같이 8개의 대분류와 51개의 중분류로 바이오산업 분류체계가 개정되었음 - 중분류는 생명공학기술이 이용되어 판매되는 재화나 생명공학기술을 이용해 제공하는 서비스의 유형으로 분류되며, 각 대분류의 산업 활동과 연계하여 분류하고 있음 | 표 1. 바이오산업 분류코드 | 분류코드 분류명 영문명 1 바이오의약산업 Biopharmaceutical Industry 1010 바이오항생제 Bio-antibiotics 1020 바이오저분자량의약품 Biologically manufactured low molecular medicine 1030 백신 Vaccines 1040 호르몬제 Hormones 1050 치료용항체 및 사이토카인제제 Therapeutic antibodies and cytokines 1060 혈액제제 Blood products 1070 세포기반치료제 Cell-based therapeutics 1080 유전자의약품 Gene therapeutics 1090 바이오진단의약품 Biological diagnostic products 1100 효소 및 생균의약품 Enzyme and live bacteria medicine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72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주요국의 핵융합 R&D 정책과 시사점 1도토리 노민우
371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포용적 혁신성장 기반 선도적 선진경제 확립을 위한 정책방향 1도토리 노민우
3718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미국의 스마트제조혁신 정책 분석 및 주요 현황과 시사점 7도토리 노민우
371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中,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공장 가동 중단, 글로벌 공급망 타격 1도토리 이지훈
371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삼성전자, 6세대 이동통신 비전 제시하며 리더십 추구 1도토리 이지훈
371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 박사후연구원의 현황 및 지원사업 분석 3도토리 이지훈
371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기술신용평가(TCB) 기반 중소기업 기술혁신역량 진단 및 시사점 3도토리 이지훈
371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구글 2022 HW 생태계 확장 본격화 1도토리 이지훈
371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헬스케어 데이터 플랫폼 활성화의핵심 과제 및 정책 제언 3도토리 이지훈
3711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D.N.A 기반 스마트 양식 정책 방향과 기술 표준화 동향 1도토리 이지훈
371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건설업 ESG 경영 실태와 대응 방안 3도토리 이지훈
3709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윤 정부, 균특회계 개편에 대한 정책제언 1도토리 이지훈
370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오픈뱅킹시스템의 성장 및 시사점 1도토리 이지훈
370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포스트코로나 시대 여행보험시장 전망 및 과제 1도토리 이지훈
370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보험산업에 미치는 영향 및 시사점 1도토리 김민성
3705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중국의 반도체 제조 설비 기술 개발 동향 3도토리 김민성
3704 생명공학/바이오 [기술동향] 중국 14・5 계획 바이오 기술혁신 분석 1도토리 김민성
370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인공지능 및 영화 1도토리 김민성
370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공공장소 와이파이 구축 7도토리 김민성
3701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자산으로서 우리나라 주택의 특징과 시사점 1도토리 김민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