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2022 국외 스마트그리드 산업동향(1분기)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정희 조회수 130
용량 1.33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2022 국외 스마트그리드 산업동향(1분기).pdf 1.33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3-31 
출처 : 한국전력거래소 
페이지 수 : 34 

< 목 차 >

 

Ⅰ. 해외 스마트그리드 산업동향

1. 미국

1.1 공공 부문

1.2 민간 부문

2. 유럽

3. 기타

 

Ⅱ. ‘스마트그리드 관련 MI 로드맵’ 분석

1. 요약

2. 서론

3. 본론

3.1 제1장 Green Powered Future Mission

3.2 제2장 VRE 100% 시스템을 위한 3가지 핵심영역

3.3 제3장 로드맵: 글로벌 혁신의 우선순위 및 이행방안

4. 주요 메시지 및 향후 행보

 


 

1. 미국 1.1 공공 부문 1.1.1 EV 인프라 산업 미국은 정부 주도로 전기차 전환 및 충전 인프라 구축을 통해 클린에너지마켓(Clean-Energe Market)에서 미국의 경쟁력을 제고하려 하고 있다. 바이든 행정부는 미국 전역에 EV 충전기 개발 및 배치 지원을 위한 실행계획 발표하였으며 초당적 인프라 법안(Bipartisan Infrastructure Law)을 통해 50만 개의 EV 충전시설 구축 투자할 예정이다. 이는 미 역사상 가장 큰 EV 충전 투자이다. 행정부는 EV 전환과 관련한 팩트 시트를 발표하고, EV 이해관계자들은 이를 지지하는 성명을 발표하였으며 ‘30년까지 미국 EV 판매 점유율 50% 달성을 위한 로드맵 설정하여, EV 공급망 확보에 70억 달러 이상 투자할 예정이다. 미국 에너지부(DOE)와 미국 교통부(DOT)가 에너지 및 교통 합동 사무국(Joint Office of Energy and Transportation)의 창설을 통해 EV충전 인프라 구축을 위한 공동 노력을 하고 있으며, DOE와 DOT는 NEVI(National Electric Vehicle Infrastructure) 구축 공식 프로그램에 따라 5년간(‘22~‘26년) 전국 EV 충전 네트워크 구축에 50억 달러 투자를 발표했다. EV 전략 핵심 요소는 EV 배터리의 자국 내 생산 확대와 부품 역시 미국 내 제작 및 가공을 지원하는 것이다. 1.1.2 전력계통 미 에너지부(DOE: Department of Energy)는 전력계통 탈탄소화를 진행하기 위하여 관련 연구개발 및 사업 투자 지원을 시행하고 있다. 분산 전원 활성화 그리드 연구개발에 4,500만 달러, 흐름 전지사업에 1,790만 달러, 첨단 그리드용 EV 배터리에 29.1억 달러를 각각 투자한다. - 2 - 구분 내용 ①그리드연구개발 신재생에너지는 미국 내 가장 큰 신규 전력 공급원이 될 예정이므로, 신재생에너지의 전력 계통 연결을 원활히 하고, 계통 복원력 강화 목적으로 투자 ②사업지원(흐름전지) 흐름전지* 및 장기 ESS의 미국 내 제조를 활성하기 위한 R&D 프로젝트 지원 * 외부적으로 저장된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기화학적 배터리 ③EV배터리(그리드용) 첨단 그리드(Advanced Grid)용 EV배터리에 대해 재료 정제 및 생산, 배터리 셀 및 팩 제조시설, 재활용 시설 등 그리드 이니셔티브 구축(Building Better Grid Initiative)을 시작하며 200억 달러 이상의 연방 자금 조달을 통해 극심한 기상 이변에 직면한 전력망을 안정적이고 탄력적으로 만들며 ‘35년까지 100% 청정에너지, ‘50년까지 탄소배출 제로 목표를 달성하고자 한다. 바이든 정부의 ‘Bipartisan Infrastructure Law(초당적 인프라 법안)’을 기반으로 전국의 고용량 송전선로 개발 및 장거리 HV시설 건설을 지원하여 국가 전력망의 현대화 촉진 도모한다. 현재 미국 송전선로와 변압기의 70% 이상은 25년 이상 노후화된 것이며 송전계통은 2050년까지 3배 확대를 필요로 한다. “America’s Strategy to Secure the Supply Chain for a Robust Clean Energy Transition”라는 보고서를 통해 에너지 자립도를 높이고, 청정에너지 제조 및 혁신에 글로벌 리더로서 미국의 역할을 확립하는 전략 발표하였다. 1.1.3 지자체의 대응 몇몇 지자체와 기업은 자체적으로 탈탄소사회 선제 대응 중이다. 일리노이주는 2050년까지 100% 청정에너지를 실현한다는 법안을 통과시켜 전력 부분의 탈탄소화를 진행하고, 캘리포니아는 신규 기후 관련법을 통해 가뭄, 해수면 상승 등 기후 위험으로부터 주 전역을 보호키 위한 투자로 150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진행하며, 이중 39억 달러를 무공해 차량 보급에 진행할 예정이다. ‘캘리포니아 청사진’을 통해 2022-23년 에너지, EV 분야에 예산 확대안을 발표하며 청정 운송에 60억 달러, 청정 에너지에 20억 달러 투자 제안했다. 뉴멕시코주 EMNRD(Energy Minerals & Natural Resource Dept)의 에너지 보존 및 관리부서(ECMD)는 향후 8년(‘22~‘30년)의 신뢰성, 보안, 경제성, 재생에너지 확대 등을 포함하는 그리드 현대화 로드맵 발표했다. 미시시피 PSC는 상계거래(Net metering) 프로그램 확대 및 중소소득(Low-to-Moderate Income, LMI) 고객에 태양광 계통 병입 우선 채택을 통해 주거용 옥상 태양광 설치 장려한다. 메릴랜드 에너지 관리국(MEA, Maryland Energy Administration)은 Resilient Maryland 프로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72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주요국의 핵융합 R&D 정책과 시사점 1도토리 노민우
371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포용적 혁신성장 기반 선도적 선진경제 확립을 위한 정책방향 1도토리 노민우
3718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미국의 스마트제조혁신 정책 분석 및 주요 현황과 시사점 7도토리 노민우
371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中,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공장 가동 중단, 글로벌 공급망 타격 1도토리 이지훈
371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삼성전자, 6세대 이동통신 비전 제시하며 리더십 추구 1도토리 이지훈
371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 박사후연구원의 현황 및 지원사업 분석 3도토리 이지훈
371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기술신용평가(TCB) 기반 중소기업 기술혁신역량 진단 및 시사점 3도토리 이지훈
371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구글 2022 HW 생태계 확장 본격화 1도토리 이지훈
371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헬스케어 데이터 플랫폼 활성화의핵심 과제 및 정책 제언 3도토리 이지훈
3711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D.N.A 기반 스마트 양식 정책 방향과 기술 표준화 동향 1도토리 이지훈
371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건설업 ESG 경영 실태와 대응 방안 3도토리 이지훈
3709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윤 정부, 균특회계 개편에 대한 정책제언 1도토리 이지훈
370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오픈뱅킹시스템의 성장 및 시사점 1도토리 이지훈
370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포스트코로나 시대 여행보험시장 전망 및 과제 1도토리 이지훈
370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보험산업에 미치는 영향 및 시사점 1도토리 김민성
3705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중국의 반도체 제조 설비 기술 개발 동향 3도토리 김민성
3704 생명공학/바이오 [기술동향] 중국 14・5 계획 바이오 기술혁신 분석 1도토리 김민성
370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인공지능 및 영화 1도토리 김민성
370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공공장소 와이파이 구축 7도토리 김민성
3701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자산으로서 우리나라 주택의 특징과 시사점 1도토리 김민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