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기술동향] EU(유럽연합)의 AI Watch Index 소개와 시사점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정한솔 조회수 93
용량 430.74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기술동향] EU(유럽연합)의 AI Watch Index 소개와 시사점.pdf 430.74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4-25 
출처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페이지 수 :

□ EU의 AI Watch 개요 ㅇ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는 EU의 기술 및 산업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주요 동인 중 하나로 AI의 개발 및 활용을 촉진하고 있음(주요경과) * (‘18년 4월) "Artificial Intelligence for Europe"에서 AI에 대한 유럽 전략을제시* (‘18년 12월) EU의 AI 개발에 관한 "인공지능에 대한 조정된 계획" 발표* (‘20년 2월) 디지털 혁신에 대한 비전 및 AI 프레임워크 백서 발표 * (‘21년 4월) AI의 우수성을 높이기 위한 일련의 조치와 해당 기술이 신뢰할수 있음을 보장하는 규정을 제안(AI Act) ㅇ 유럽연합 집행위원회는 EU회원국(27개) 내 AI 개발과 관련된여러 지표를 미국, 중국 등 AI 선도국과 비교하여 분석한 AI 개발지표 보고서인「AI Watch Index*」를 지난 3월 28일에 발표 * EU 회원국의 AI에 대한 산업, 기술 및 연구 역량을 모니터링하는 인덱스- AI Watch Index는 AI 관련 정책 이니셔티브, AI의 활용 및 기술개발, AI의영향에 대해 세계 및 유럽을 비교평가 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하여 EU가 AI 분야를 선도하기 위한 전략을 구축하는 데 그 목적이 있음 < AI Watch 인덱스 정량지표 별 주요내용 > 구분 주요 내용 ① AI 환경에 대한 글로벌 관점 AI의 글로벌 환경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를 제공하고 AI의 구성 및지리적 분포, AI 전문분야 및 EU에서의 AI 투자의 일반적인 측면② 산업 AI기업의 프로필을 제시하고 AI산업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로봇 공학 스타트업에 중점 ③ R&D R&D 활동의 다양한 측면(예: 특허, 간행물 및 EU 자금 지원 프로젝트)과협력 네트워크를 다루는 연구에서 EU의 능력과 강점에 대해 자세히 설명④ 기술 기술 이네이블러, AI 성능 및 표준화와 같은 측면에서 AI를범용 기술로 분석 ⑤ 사회적 측면 성별 다양성을 포함한 연구의 다양성과 AI의 고등교육 제공이라는 두 가지 하위 차원□ AI Watch 종합분석 ㅇ (미국) 글로벌 AI환경, AI산업 및 AI R&D 등 여러 AI영역에서 세계를 선도하고 있으며, R&D 활동(특허 및 프론티어 연구)에서 주도를 하고 있음. 미국 다음으로 중국과 EU 순으로 나타남 ㅇ (중국) AI 관련 정부정책과 특허출원의 낮은 기준으로 과도한 출원을 초래했으나, 1만 개 이상의 AI 플레이어*가 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함* AI 관련 산업, 혁신 또는 연구 활동에 관여하는 기업, 대학, 연구 센터 및 지방 정부 기관* 미국(13,770개), 중국(11,362개), EU(5,993개) - AI 시스템의 핵심인 (개인)데이터에 대한 접근 및 사용에 대한 법적 제한이적어 데이터에 방대한 접근이 가능한 점에 향후 발전 가능성이 큼 ㅇ (EU) R&D에서 우수한 성과, 특히 AI 서비스 및 산업용 로봇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AI 애플리케이션, 인프라, SW 및 플랫폼서비스 분야에서도 EU는 세계 평균보다 높은 비교우위를 가지고 있음- AI플레이어가 가장 많은 EU 회원국은 독일, 프랑스, 스페인 순(그림1. 참조) - AI에 대한 투자와 관련하여 ‘21년에 27개 EU 회원국 모두에서 민간 및 공공투자 수준이 증가함 < EU 회원국별 AI 플레이어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72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주요국의 핵융합 R&D 정책과 시사점 1도토리 노민우
371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포용적 혁신성장 기반 선도적 선진경제 확립을 위한 정책방향 1도토리 노민우
3718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미국의 스마트제조혁신 정책 분석 및 주요 현황과 시사점 7도토리 노민우
371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中,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공장 가동 중단, 글로벌 공급망 타격 1도토리 이지훈
371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삼성전자, 6세대 이동통신 비전 제시하며 리더십 추구 1도토리 이지훈
371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 박사후연구원의 현황 및 지원사업 분석 3도토리 이지훈
371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기술신용평가(TCB) 기반 중소기업 기술혁신역량 진단 및 시사점 3도토리 이지훈
371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구글 2022 HW 생태계 확장 본격화 1도토리 이지훈
371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헬스케어 데이터 플랫폼 활성화의핵심 과제 및 정책 제언 3도토리 이지훈
3711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D.N.A 기반 스마트 양식 정책 방향과 기술 표준화 동향 1도토리 이지훈
371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건설업 ESG 경영 실태와 대응 방안 3도토리 이지훈
3709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윤 정부, 균특회계 개편에 대한 정책제언 1도토리 이지훈
370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오픈뱅킹시스템의 성장 및 시사점 1도토리 이지훈
370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포스트코로나 시대 여행보험시장 전망 및 과제 1도토리 이지훈
370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보험산업에 미치는 영향 및 시사점 1도토리 김민성
3705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중국의 반도체 제조 설비 기술 개발 동향 3도토리 김민성
3704 생명공학/바이오 [기술동향] 중국 14・5 계획 바이오 기술혁신 분석 1도토리 김민성
370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인공지능 및 영화 1도토리 김민성
370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공공장소 와이파이 구축 7도토리 김민성
3701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자산으로서 우리나라 주택의 특징과 시사점 1도토리 김민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