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기술분석] AI Index 2022의 주요 내용 및 시사점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현상 조회수 106
용량 1.09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기술분석] AI Index 2022의 주요 내용 및 시사점.pdf 1.09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5-04 
출처 :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페이지 수 : 44 

< 목 차 >

 

Ⅰ. AI Index 2022 개요
 

Ⅱ. 주요 내용
 

III. 요약 및 시사

 


 

1. AI Index 2022 개요 1. 보고서 개요 및 특징 □ AI Index는 미국 스탠퍼드大 HAI1)에서 2017년부터 글로벌 인공지능(AI) 관련 연구개발, 기술 수준, 경제, 고용, 정책 동향 관련 자료와 데이터를 분석․ 종합한 연례보고서 ◦ 학술단체, 민간, 비영리기관 등의 발행 자료들을 정량화해 국가 간 비교가 가능한 지수(index)로 표시하여 AI 관련 연구자, 정책입안자, 및 이해관계자들에게 다양한 정보 제공 □ 이번 보고서의 특징은, AI 기술 및 AI 신뢰성 검증을 위한 벤치마크, 25개국에서 수집한 입법 동향 등이 추가 ◦ 특히, 윤리적 인공지능, 신뢰할 만한 인공지능 기술 검증을 위한 여러 벤치마크 및 기술적 평가 지표를 활용한 연구 동향을 심층 분석 2. 주요 내용 요약 □ AI 분야의 민간투자는 ’21년 935억 달러로 ’20년 대비 두 배 성장 □ 연구 분야에서는 미·중이 주도하고 있는 가운데 양국 간 협력 연구도 증가□ 기술 측면에서 언어모델의 성능이 향상되었으나 편향성 문제도 동시에 증가□ 전반적으로 AI 윤리 이슈가 부각되어 산업계에서도 AI의 공정성, 투명성 관련 연구 증가 □ AI 기술이 점차 고성능·저비용화되어 연구 장벽이 완화되는 추세 □ AI에 대한 입법 활동은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법제화는 미진II. 주요 내용 2.1. 연구개발 □ 연구개발(R&D) 동향 분석2)은 연구개발의 성과를 다양한 형태의 출판물 (Publication)3)과 특허 데이터를 활용해 분석 1. 연구개발 성과 □ 연구개발은 AI 발전을 이끄는 핵심 동력으로, 2021년에도 AI 연구개발 성과의 출판은 지속적 성장세를 보임 ※자료: Stanford HAI, AI Index Report 2022 [그림 2-1-1] 전 세계 인공지능 관련 출판물 증가 추이(2010-2021) ◦ 출판물 형태(type)로는 저널 논문과 온라인 사전출판4)이, 세부 분야(sector)로는 패턴인식, 머신러닝 분야의 성장*이 두드러짐 * 2021년 출판된 전체 저널 논문 중에서 2.5%(’10년 1.5%)를, 전체 컨퍼런스 논문중에서 17.8%(’10년 약 12%), 전체 온라인사전출판 논문 중에서 15.3%(’10년 약 1%)를 차지하는 등 높은 점유율과 빠른 성장세가 관찰됨 □ AI 특허 출원이 급격히 성장하며, 실용적 측면에서 AI 활용 가치에 대한 기대가 고조 ◦ 2021년 AI 특허 출원 건수는 2015년 대비 30배 이상 증가해 연평균 76.9% 성장했으며, 이는 중국의 급격한 특허 출원 증가로 인한 것임– 미국, 중국, 유럽·영국의 3개 지역이 전 세계 AI 출원 특허(72.5%)와등록 특허(53.1%)의 절반 이상을 차지 ※자료: Stanford HAI, AI Index Report 2022 [그림 2-1-2] 인공지능 특허 출원 추이(2010-2021) 2. 연구개발 주체 □ 대학은 AI 연구개발의 핵심 주체이며, 다른 유형의 연구기관과의 협력에서 구심점으로 작동 ◦ 대학은 AI 출판물의 약 60% 수준을 담당하며, 비영리기관(11.3%), 기업(5.2%), 정부(3.2%) 등 다른 주체와 현격한 격차를 보임 – 기관별 연구 협력에 있어, 상위 3개의 협력유형*에 모두 대학이 포함될 만큼 대학은 AI 연구개발 협력의 구심점 역할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700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러시아 천연가스 수출규제조치의 주요 내용 및 시사점 1도토리 김민성
3699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Tbps급 무선통신 기술 1도토리 김민성
369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메타버스 및 디지털 트윈 1도토리 김민성
3697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자영업자까지 포괄하는 고용안전망의 구축방향 1도토리 민준석
3696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스마트 컨트랙트 모니터링 기술 1도토리 민준석
369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ICT 산업의 사업체 동학 현황 및 경제적 영향 분석 1도토리 조정희
369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1년 소셜 빅데이터 기반 보건복지 이슈 및 동향 분석 7도토리 조정희
3693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동향] 우크라이나 사태의 국제곡물 시장 동향 3도토리 조정희
3692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메디컬 섬유소재 기술동향 3도토리 조정희
3691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전자파 안전 국민 소통체계 구축방안과 사회·경제적 효과 분석 7도토리 조정희
3690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서비스형 기계학습(MLaaS)시장 동향과 기능 요구사항 표준 1도토리 조정희
3689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임베디드 시스템을 위한 딥러닝 연산 가속 기술 방향 1도토리 조정희
368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서버 전력효율성 평가를 위한SPECpower 벤치마크 소개와 분석 1도토리 나혜선
368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지식재산 산업의 생산 및 고용 중심으로 1도토리 나혜선
368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AI의 경제적 영향 측정 방법론 사례와 시사점 3도토리 나혜선
3685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우리 수출기업의 친환경 소비트렌드 대응현황 및 시사점 3도토리 나혜선
3684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中 봉쇄조치에 시나리오별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1도토리 나혜선
3683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포용성장과 지속가능성 관련 식품제조업 분야 실태조사 결과 7도토리 조현상
3682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탈중앙화 신원관리 서비스 모델 1도토리 민준석
368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AI 중심사회의 도래와 보안 및 이슈 분석 3도토리 한상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