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글로벌 기업들의 케냐 창업생태계 진출 확대
분류 생명공학/바이오 판매자 조현상 조회수 140
용량 296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글로벌 기업들의 케냐 창업생태계 진출 확대.pdf 296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5-16 
출처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페이지 수 :

글로벌 기업의 케냐 창업생태계 진출 확대- 2022. 05. 16., 글로벌성장전략팀 이종현 책임 (5515, jonghyun@nipa.kr) - □ 개요 ㅇ 최근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VISA 등 글로벌 기업이 아프리카 시장진출의교두보로 케냐를 활용하고 있어, 케냐의 주요 지표, 창업생태계 동향, 글로벌 기업의 진출 동향을 공유하고자 함 □ 케냐의 주요 지표 ㅇ (경제) 케냐는 약 5,620만 명의 인구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3위 수준의 GDP인 988억 달러를 기록하고 있는 동아프리카 대표적인 경제 국가지표 데이터 연도 출처 Economy Index GDP 98.84 billion USD 2020 World Bank GDP growth (annual %) -0.30% 2020 World Bank S&P Credit Rating B 2021 S&P Population 56.2 Million 2020 World Bank Unemployment Rate 6.6% 2021 Kenya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Youth Unemployment Rate 12.9% 2019 ILO ㅇ (ICT) 모바일 가입자는 100명 기준 114명이며, 94% 이상이 3G 모바일이커버 가능 등 아프리카 내에서 인터넷 활용 환경이 매우 우수한 편지표 데이터 연도 출처 ICT Index Individuals using the Internet(% of population) 22.5 2020 ITU Mobile cellular subscriptions (per 100 people) 114 2020 ITU Active mobile-broadband subscription(per 100 people) 42 2020 ITU Population covered by a mobile-cellular network 96% 2020 ITU Population covered by at least a 3G mobile network 94% 2020 ITU Population covered by at least a 4G mobile network 77% 2020 ITUㅇ (비즈니스 및 스타트업) 국가경쟁력, 혁신지수, 부패지수 등의 지표에서는80위~120위권이나, 스타트업 생태계 순위는 61위로 상대적으로 높은 편지표 데이터 연도 출처Business & Start-ups Index Entrepreneurship and Business Statistics 109th 2018 GEDI Competitiveness Rank 95th 2019 WEF Innovation Index 85th 2021 WIPO Corruption Rank 124th 2020 Transparency International Ease of Doing Business 56th 2019 World Bank Global Startup Ecosystem Report -Emerging (by city) #71-80 2021 Startup Genome Global Startup Ecosystem Index Report (by country) 61st 2021 Startup Blink □ 케냐의 창업생태계 ㅇ 케냐는 정부뿐만 아니라, 국제기구 등의 경제활동이 활발하며, 이에 관련 임팩트 스타트업도 활발한 특징 - 아프리카에서 가장 잘 알려진 모바일 뱅킹 솔루션인 M-Pesa 핀테크 스타트업을 비롯하여, 푸드, 교통, 에너지 등의 분야의 기업이 활발- 대표적으로 ‘Kenya Industry and Entrepreneurship Project(KIEP)’는 케냐의산업통상협동조합부(MoITC)가 세계은행의 지원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영국의 DFID, 일본의 JICA 등 개발 원조기구에서도 창업 프로그램을 지원ㅇ 케냐 정부의 주도로 나이로비 외곽에 ‘Konza Technopolis’라는 산학연연구단지를 ‘아프리카의 실리콘밸리’라는 목표로 2013년부터 구축하고 있음- 한국수출입은행은 케냐 정부와 과학기술혁신 금융협력 양해각서를 2016년에 체결하고, 한국과학기술원(KAIST)의 케냐과학기술원(KAIST) 건립 등 프로젝트 진행 중 - 유무상 원조자금뿐만 아니라, 화웨이, 구글 등 글로벌 기업들이 투자 의향 제출 ㅇ 스타트업 생태계 전문기관인 Startup Genome에 의하면, 투자 지표는 높은 편이나, 퍼포먼스, 시장, 역량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편으로 나타남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700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러시아 천연가스 수출규제조치의 주요 내용 및 시사점 1도토리 김민성
3699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Tbps급 무선통신 기술 1도토리 김민성
369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메타버스 및 디지털 트윈 1도토리 김민성
3697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자영업자까지 포괄하는 고용안전망의 구축방향 1도토리 민준석
3696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스마트 컨트랙트 모니터링 기술 1도토리 민준석
369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ICT 산업의 사업체 동학 현황 및 경제적 영향 분석 1도토리 조정희
369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1년 소셜 빅데이터 기반 보건복지 이슈 및 동향 분석 7도토리 조정희
3693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동향] 우크라이나 사태의 국제곡물 시장 동향 3도토리 조정희
3692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메디컬 섬유소재 기술동향 3도토리 조정희
3691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전자파 안전 국민 소통체계 구축방안과 사회·경제적 효과 분석 7도토리 조정희
3690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서비스형 기계학습(MLaaS)시장 동향과 기능 요구사항 표준 1도토리 조정희
3689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임베디드 시스템을 위한 딥러닝 연산 가속 기술 방향 1도토리 조정희
368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서버 전력효율성 평가를 위한SPECpower 벤치마크 소개와 분석 1도토리 나혜선
368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지식재산 산업의 생산 및 고용 중심으로 1도토리 나혜선
368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AI의 경제적 영향 측정 방법론 사례와 시사점 3도토리 나혜선
3685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우리 수출기업의 친환경 소비트렌드 대응현황 및 시사점 3도토리 나혜선
3684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中 봉쇄조치에 시나리오별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1도토리 나혜선
3683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포용성장과 지속가능성 관련 식품제조업 분야 실태조사 결과 7도토리 조현상
3682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탈중앙화 신원관리 서비스 모델 1도토리 민준석
368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AI 중심사회의 도래와 보안 및 이슈 분석 3도토리 한상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