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정책분석] 디지털 전환의 미래사회 위험이슈 및 대응 전략, 인공지능 역기능을 중심으로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현상 조회수 102
용량 1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정책분석] 디지털 전환의 미래사회 위험이슈 및 대응 전략, 인공지능 역기능을 중심으로.pdf 1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5-17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페이지 수 : 34 

< 목 차 >

 

I. 작성 배경

 

II. 디지털 전환의 정의 및 파급효과

 

III. 디지털 전환의 미래사회 위험이슈

 

Ⅳ. 디지털 전환 관련 미래사회 위험이슈 대응 정책 동향

 

Ⅴ. 디지털 전환의 미래사회 위험이슈 대응 정책 제안

 

Ⅵ. 결론

 


 

작성 배경 디지털 전환은 경제ㆍ사회 발전을 촉진하는 유용한 도구로 작용하지만, 자칫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도 있는 양면성을 내포 정부는 경쟁력 및 기술 패권 확보 등을 위하여 디지털 전환 촉진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반면, 디지털 전환의 위험에 대한 이해와 이를 방지할 수 있는 정책 추진은 상대적으로 더딘 경향 정부는 디지털 전환에 대한 이해도 제고를 통한 정책 범주 명확화, 디지털 전환의 세부 위험 파악, 대응 정책 수단 검토 및 방향 설정 등을 통해 디지털 전환 미래사회 위험 대응 방안을 마련할 필요 문제 정의 및 분석 디지털 전환의 개념 정리 및 파급효과 분석 (문헌연구) 디지털 전환이 초래할 수 있는 미래사회 위험이슈 구체화 (국내외 뉴스 데이터 기반 Embedded Topic Modeling) 주요국의 디지털 전환 역기능 대응 정책 동향 정리 (문헌 연구) 디지털 전환 역기능 대응 정책에 대한 법적 검토 및 규제수준별 정책수단 제시/분석결론 및 정책제언 디지털 전환의 학술적ㆍ실무적 정의 및 개념을 종합하여 정책 범주 명확화 관련 언론기사들을 대규모로 수집하고, Embedded Topic Modeling 분석을 적용하여 최근 이슈화되고 있는 국내외 디지털 전환 역기능 세부 위험들을 규명 및 분류 한국을 포함한 주요국 정부의 대응 정책 동향 분석디지털 전환의 미래사회 위험이슈 및 대응 전략: 인공지능 역기능을 중심으로 ii 디지털 전환 핵심기술인 인공지능에 대한 정부 규제 타당성 검토 및 향후 정책적 대응 근거 확보 향후 정부가 선택 가능한 규제 수준별 정책 수단 제시 및 분석 정책 수단 규제강도 내용 장/단점 전문가 윤리적 접근 가장 낮음 관련 기술 개발자/서비스 제공자가 전문가 집단의 참여/협력을 통해 자발적으로 통제를 추구하는 방식 ∙ (장점) 자율기반의 관련 기술/생태계 발전 촉진 ∙ (단점) 전문가 위원회 구성에 대한 객관성 결여 위험, 예측 못한 문제 발생 시 법적 책임 모호 인증체계 구축 다소 낮음 정부가 이해관계자에게 자발적인 인증 획득을 유도하여 관련 분야 위험 대응 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유인하는 방식 ∙ (장점) 물리적인 대응 체계 구축/운영 가능 ∙ (단점) 인증 주체 지정, 인증 수준 및 절차에 대한 이해관계자 합의에 오랜 시간 소요 개인적 권리 설정 다소 높음 정부가 이용자들에게 알고리즘 구조 및 결과에 대한 설명을 기술개발자/서비스 제공자들에게 요구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방식 ∙ (장점) 인공지능 기술/제품/서비스 개발자가 딥러닝의 인과관계 모호성을 최소화하여 제품/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유도 ∙ (단점) 기업 부담 가중, 설명 수준에 대한 규정 등을 설정하는데 상당한 시간 소요 직접적인 행정 규제 설정 매우 높음 정부가 기술개발/서비스 제공 가능 영역을 설정하고, 이외 영역에 대해서는 법적 규제를 가하는 방식 ∙ (장점) 역기능의 피해 및 법적 분쟁 최소화 ∙ (단점) 진화하고 있는 인공지능 기술 을 법으로 명확하게 규제하기 어려 운 측면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700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러시아 천연가스 수출규제조치의 주요 내용 및 시사점 1도토리 김민성
3699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Tbps급 무선통신 기술 1도토리 김민성
369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메타버스 및 디지털 트윈 1도토리 김민성
3697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자영업자까지 포괄하는 고용안전망의 구축방향 1도토리 민준석
3696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스마트 컨트랙트 모니터링 기술 1도토리 민준석
369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ICT 산업의 사업체 동학 현황 및 경제적 영향 분석 1도토리 조정희
369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1년 소셜 빅데이터 기반 보건복지 이슈 및 동향 분석 7도토리 조정희
3693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동향] 우크라이나 사태의 국제곡물 시장 동향 3도토리 조정희
3692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메디컬 섬유소재 기술동향 3도토리 조정희
3691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전자파 안전 국민 소통체계 구축방안과 사회·경제적 효과 분석 7도토리 조정희
3690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서비스형 기계학습(MLaaS)시장 동향과 기능 요구사항 표준 1도토리 조정희
3689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임베디드 시스템을 위한 딥러닝 연산 가속 기술 방향 1도토리 조정희
368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서버 전력효율성 평가를 위한SPECpower 벤치마크 소개와 분석 1도토리 나혜선
368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지식재산 산업의 생산 및 고용 중심으로 1도토리 나혜선
368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AI의 경제적 영향 측정 방법론 사례와 시사점 3도토리 나혜선
3685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우리 수출기업의 친환경 소비트렌드 대응현황 및 시사점 3도토리 나혜선
3684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中 봉쇄조치에 시나리오별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1도토리 나혜선
3683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포용성장과 지속가능성 관련 식품제조업 분야 실태조사 결과 7도토리 조현상
3682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탈중앙화 신원관리 서비스 모델 1도토리 민준석
368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AI 중심사회의 도래와 보안 및 이슈 분석 3도토리 한상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