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경제동향] 기준금리 상승이 주요 제조업에 미치는 영향 및 시사점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오민아 조회수 118
용량 393.15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경제동향] 기준금리 상승이 주요 제조업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pdf 393.15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4-04 
출처 : 산업연구원 
페이지 수 : 16 

높은 물가 상승 압력과 미국 금리 인상의 파급효과로 한국 기준금리는 연내 3회 이상 인상될 것으로 전망 l 한국의 금융시장은 은행 중심(Bank-based)으로 자금시장에서 간접금융이 큰 부분을 차지 ╺ 중소기업은 대기업에 비해 자금 조달 수단이 적어 간접금융에 크게 의존 l 통화정책 변화 시 중소기업의 대출금리 변화가 대기업의 대출금리 변화보다 민감 ╺ 통화정책 변화의 중소기업으로의 전가가 대기업으로의 전가보다 높은 것으로 추정 ╺ 장ㆍ단기적으로 금리 상승에 의한 중소기업의 이자 부담이 대기업보다 큰 폭으로 증가 l 낮은 유동성, 높은 인플레이션, 부정적 기업 체감 상황, 과도한 기업 대출 증가로 자금시장 위험도 증가 l 중소기업 비중이 높은 산업은 기준금리 상승 이후 이자보상배율이 크게 하락하고 산업 내 한계기업의 비중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 l 중소기업 비중이 높은 산업에 미치는 기준금리 상승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선제적 정책 필요 ╺ 섬유, 펄프 및 종이, 금속가공, 기타 제품 등의 경우 중소기업 비중과 산업 내 한계기업의 비중이 높게 나타남. ╺ 장ㆍ단기적으로 산업의 완만한 구조조정을 위한 한계기업 대상 선별적 지원정책과 자금 조달의 직접금융 비중을 늘리기 위한 채권시장 활성화 등의 정책이 필요▣ 대내외 여건 고려 시 3월 이후 한국 기준금리 연내 3회 이상 인상 전망 l 높아지는 물가 상승률로 인하여 목표 수준의 물가 수준에 안정될 수 있는 기준금리 인상에 대한 압박이 지속 ╺ 2022년 2월 소비자 물가 및 근원 물가는 각각 전년동월비 3.7%, 3.2% 증가 ╺ 2022년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수준(2.5%)을 상당폭 상회하는 3.1%대로 전망 l 미국 기준금리 연내 1.75~2.00%까지 인상 전망 ╺ 2022년까지 이어지는 높은 물가 상승률로 인하여 미국의 기준금리 상승에 대한 압박 증가1) ╺ 3월 연준(FED)은 연내 기준금리를 1.9%, 내년 말 2.8%로 예상2) ╺ 몇몇 투자은행(IB)의 경우 7회 이상의 기준금리 인상 전망3)4) l 대내외 여건 고려 시 3월 이후 한국 기준금리 연내 3회 이상 인상 전망 ╺ 에너지, 원자재가격 상승, 글로벌 공급 병목 등의 영향으로 물가 상승 압력이 여전히 지속 ╺ 미국 금리 인상의 파급효과로 인한 자본 유출, 환율 변동성 증대 등으로 인한 국내 금융시장 불안정성 존재 ╺ 1월 이후 높아진 국내 물가 상승률에 따라 중립금리가 2% 수준일 것으로 예상5) ╺ 연내 연준(FED)의 급격한 금리 인상 전망과 중립금리 고려 시 물가 안정 및 금융시장 안정 화를 위하여 현 1.25% 수준에서 25bp씩 3회 이상 인상을 전망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68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지식재산 산업의 생산 및 고용 중심으로 1도토리 나혜선
368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AI의 경제적 영향 측정 방법론 사례와 시사점 3도토리 나혜선
3685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우리 수출기업의 친환경 소비트렌드 대응현황 및 시사점 3도토리 나혜선
3684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中 봉쇄조치에 시나리오별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1도토리 나혜선
3683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포용성장과 지속가능성 관련 식품제조업 분야 실태조사 결과 7도토리 조현상
3682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탈중앙화 신원관리 서비스 모델 1도토리 민준석
368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AI 중심사회의 도래와 보안 및 이슈 분석 3도토리 한상윤
3680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자율주행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HMI)의 기술 동향 1도토리 한상윤
3679 생명공학/바이오 [기술동향] 바이오 소부장의 기술개발 동향과 전망 3도토리 한상윤
367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스마트공장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및 기술동향 3도토리 한상윤
367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인조흑연 소재산업의 동향과 기술개발 및 방향 1도토리 한상윤
367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액체수소 저장용 소재 기술개발 및 동향 1도토리 한상윤
367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뉴노멀시대의 글로벌 스마트시티 동향 1도토리 한상윤
367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2 아세안 주요국별 디지털화 전략 1도토리 한상윤
3673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인공지능 관련 소프트웨어 시장과 국제표준 동향 1도토리 정한솔
367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ICT 벤처기업 스케일업 활성화에 대한 방안 1도토리 정한솔
367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스마트시티(Smart City) 동향 1도토리 정한솔
367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유니콘 기업 현황 및 헥토콘 사례 1도토리 정한솔
366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넷플릭스 가입자 감소 및 계정공유 제한 정책 시동 1도토리 정한솔
366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2 국외 스마트그리드 산업동향(1분기) 3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