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정책분석] 미국 수출통제 제도 심층 분석과 시사점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오민아 조회수 37
용량 1.48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정책분석] 미국 수출통제 제도 심층 분석과 시사점.pdf 1.48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5-03 
출처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페이지 수 : 27 

< 목 차 >

 

 I. 배경

Ⅱ. 미국의 수출통제 제도 현황
1. 미국 수출통제 제도 연혁
2. 수출통제개혁법(ECRA) 주요 내용
3. 미국 수출통제 제도 주요 내용
4. 역외 수출통제 조치

Ⅲ. 수출통제 국별 적용사례
1. 러시아
2. 중국

Ⅳ. 현지 반응 및 시사점

 


 

Ⅰ. 배경 ◦ 미국과 우방국의 대러시아 수출통제(Export Control)에 현지 관심 집중 -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美 정부는 수출관리규정(EAR) 개정을 통해 최초의범국가 단위(country-wide)의 수출통제 실시 (2.24) ◦ 국제 무역·기술 경쟁 상황 속에서 수출통제 제도의 역할이 부상할 것으로전망됨에 따라 미국의 수출통제 제도에 대한 심층 분석을 통해 대응방안 고찰 필요Ⅱ. 미국 수출통제 제도 현황  (연혁) 美 수출통제 제도는 2차 세계대전부터 최근에 이르기까지 정책목표에 따라변화◦ 1940년 세계대전 당시 美 의회는 최초 현대적 개념의 수출통제 권한을 대통령에 부여- 미국 참전(1941년)과 함께 군수품 외 민간 상품 영역으로 수출통제 확대 ◦ 냉전 당시 수출통제를 외교 및 국가 안보의 중요 수단으로 인식하기 시작 - 수출통제법(1949년)을 통해 최초 종합 수출통제 체계 정립 - 공산 진영과 체제 경쟁을 위해 다자간 수출통제 조정위원회(COCOM) 발족 ◦ 1960년대 말 미소 화해 분위기 속에 기존 수출통제 제도 재검토 및 규제 완화진행- 수출관리법(1969년, 1979년) 통과로 수출통제 완화 지속 - 1996년 완화된 수준의 새로운 다자간 수출통제 체제로서 ‘바세나르 체제’ 출범◦ 부시 행정부 당시에는 ‘국제비상경제권법’(IEEP)을 근거로 테러와의 전쟁과대량살상무기(WMD) 확산 방지를 위한 수단으로 수출통제 활용  (수출통제개혁법) 미중 간 무역 기술 경쟁 본격화 속 2018년 수출통제개혁법 통과◦ 수출통제와 관련한 법적 권한 일체를 대통령에게 영구 위임 ⇒ 미국 관할 및역외수출, 재수출, 이전 등을 조사, 감독, 규제, 금지 할 수 있는 권한 보장 - 상무부 장관이 통제 품목, 대상, 목록을 수립하고, 수출 감독, 승인, 중지 명령 ◦ ‘신흥 및 기반 기술’을 규정하여 수출통제 대상화 - 상무부 장관의 집행 권한을 대폭 확대하고, 민형사상 수출통제 시스템 개요 ◦ (법률 근거) 미국의 수출통제 제도는 크게 ⒧ 법률로 부여된 행정부 권한 ⑵국제다자 수출통제 합의 체제 ⑶ 대외 경제제재(sanction) 명령을 근거로 수립 ◦ (주무기관) 미국의 수출통제 제도는 ⑴ 무기류 ⑵ 핵 관련 물자 ⑶ 국방․민간이중용도(dual-use) 관리로 구분 ⇒ 다수의 부처가 분야별 수출통제를 담당 - 무기류(국무부), 핵 물자(핵규제위, 에너지부, 국무부, 상무부), 이중용도(상무부) 등◦ (규제 대상) 미국 수출통제 시스템에서는 크게 ⒧ 무엇을 ⑵ 어디로 ⑶ 누구에게수출하고, ⑷ 해당 수출이 어떤 용도에 사용되느냐에 따라 통제 대상 여부가 결정◦ (승인 절차) 상무부 산하 산업안보국(BIS)의 수출 면허 심사 절차는 신청검토판정항소 대통령 재가 단계를 거쳐 청원 접수 후 90일 이내 처리 원칙  역외 수출통제 조치 ◦ (FDPR) 외국산 제품일지라도 미국 기술․소프트웨어․장비․소재를 사용하거나, 이러한시설을 통해 생산된 경우, 美 상무부의 수출 허가를 받아야 수출 가능 - FDPR 적용 대상은 크게 ⑴ 국가 안보 목적 ⑵ 우주․위성 관련 ⑶ 국방 무기관련⑷ 중국 화웨이 대상 ⑸ 러시아․벨라루스 대상으로 분류 ◦ (최소허용기준) 미국 기술이 외국산 제품의 전체 가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미소할경우 ⇒ 수출통제 대상에서 제외하는 ‘최소허용기준’ 제도 존재 Ⅲ. 수출통제 국별 적용사례 ◦ (러시아) 상무부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사태에 대응, 대러 수출통제를 강화하기위한 수출관리규정 개정(2.24). 이후 후속 개정으로 제재 수위 지속 제고 ◦ (중국) 미국 정부는 범국가적 수출통제(러시아 사례)가 아닌 특정 기업, 지역, 이슈(인권․민주주의 등)에 제한적인 방식으로 대중 수출통제 추진 Ⅳ. 현지 반응 및 시사점 ◦ 서방의 제재 이후 러시아의 제조업 생산․고용․주문․재고 등 약화 움직임◦ 미국, EU 등 국제 제재 공조의 여파로 중국의 대러 수출도 감소세 ◦ 수출통제가 탈세계화(De-globalization)를 가속할 것이라는 분석도 제기 ◦ 美 현지 통상법 전문가들은 세컨더리 보이콧 가능성에 수출기업의 주의 요청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739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완전자율주행을 위한C-V2X의 표준 및 미래 전망 및 생태계 1도토리 조현상
3738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글로벌 기업들의 케냐 창업생태계 진출 확대 1도토리 조현상
3737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베트남 스마트 팩토리에 대한 동향 1도토리 조현상
373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실리콘밸리, 글로벌 혁신주도권 변화 움직임 및 2022년도 Q2 테크 기업 마켓 전망 1도토리 조현상
373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디지털 전환의 미래사회 위험이슈 및 대응 전략, 인공지능 역기능을 중심으로 3도토리 조현상
373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전략 1도토리 이지훈
373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사업체 규모별 청년 고용의 분포적 특성과 시사점 1도토리 이지훈
373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 제조업의 혁신투자 1도토리 이지훈
3731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2022년 소상공인 보증공급 정책 방향 1도토리 오민아
3730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기준금리 상승이 주요 제조업에 미치는 영향 및 시사점 1도토리 오민아
372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시니어 기술창업 실태와 활성화 방안 1도토리 오민아
372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대전환 시대 탄력적 글로벌가치사슬(GVC) 구축 및 한국에 대한 시사점 3도토리 오민아
3727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빅데이터 이용 활성화를 통한 한국관광 발전 1도토리 오민아
372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글로벌 공급망을 둘러싼 대외 여건 변화와 대응 방안 1도토리 오민아
3725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빅데이터 시대의 효율적 플랫폼 정부 방안 1도토리 오민아
3724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유로지역 국채 스프레드 변동성 확대 배경과 전망 1도토리 오민아
372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50가지 키워드로 본 한국 디자인 진흥 50년 7도토리 오민아
3722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천연가스 공급차질관련 독일경제 리스크 평가 1도토리 오민아
3721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EU 이사회,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합의안 주요 내용 1도토리 오민아
3720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글로벌 백신 공급망과 수출 동향 1도토리 오민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