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JP모건의 메타버스 비즈니스 전략 및 시사점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오민아 조회수 51
용량 443.15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JP모건의 메타버스 비즈니스 전략 및 시사점.pdf 443.15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4-18 
출처 : 우리금융경영연구소 
페이지 수 : 12 

JP모건은 금융업의 디지털화가 급속도로 진전되는 환경에서 경쟁우위를 지속 확보해 나가기 위해 2016년부터 선도적인 디지털 혁신 전략을 추진 § 인공지능, 블록체인 등 신기술을 내재화하고 자체 역량으로 새로운 서비스를 경쟁사보다 빠르게 출시(예: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 플랫폼 Onyx)하는 것이 특징 § 최근 메타버스에서의 비즈니스 확대 결정도 고객 간 거래, 상호작용 측면에서 가상세계가 급성장함에 따라 해당 시장에서 기회를 포착하기 위한 선제적 조치 JP모건은 메타버스를 ①직원 교육, 외부 홍보 등 내외부 소통의 수단으로만 사용 하는 것을 넘어 ②가상세계의 경제를 뒷받침할 금융 생태계를 구축하고, ③장기적으로 메타버스 금융 생태계를 글로벌 차원으로 확장할 계획 § ① 현재 메타버스를 효율적인 방식으로 직원 교육을 제공하고, 젊은 고 객층에 접근하는 수단으로 활용 § ② 크리에이터, 기업 등의 메타버스 진입이 확대되기 시작함에 따라, 이들이 가상세계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비즈니스를 영위할 수 있도록 결제, 대출 등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 § ③ 장기적으로 메타버스 내에 현실과 유사한 경제환경이 구축되어, 다양한 금융거래 발생 가능성에 대비하여 국가 간 지급결제, 무역금융 등 서비스도 구 축해 나갈 계획 국내 주요 금융그룹은 메타버스를 소통의 도구로 사용하고 있으나 금융서비스와 의 연계는 미흡하며, 향후 메타버스에서 금융 신사업을 적기에 추진하기 위해서 는 선제적인 대비가 필요I. 개요 n JP모건은 금융업의 디지털화가 급속도로 진전되는 환경에서 경쟁우위를 지속 확보해 나가기 위해 2016년부터 선도적인 디지털 혁신 전략을 추진1) Ÿ 인공지능, 블록체인 등 신기술을 내재화하고 자체 역량으로 새로운 서비스를 경쟁사보다 빠르게 출시하는 것이 특징 - 가치, 정보, 디지털 자산의 원활한 교환을 목적으로 2020년 글로벌 금융그룹 중 최초로 블록체인 기반 플랫폼 Onyx를 출시 - 2018년에 서비스가 종료된 모바일 전용 인터넷전문은행 ‘Finn(2017년 출범)’도 미국 내 경쟁 금융그룹 중 최초로 시도한 사업 n 최근 메타버스2)에서의 비즈니스 확대 결정도 고객 간 거래, 상호작용 측면에서 가상세계가 급성장함에 따라 해당 시장에서 기회를 포착하기 위한 선제적 조치Ÿ Statista에 따르면 글로벌 메타버스 시장 규모는 2021년 389억달러로 추산되며, 향후 10년간 연평균 37.4% 속도로 성장하여 2030년에는 6,788억달러에 달할 전망- 메타버스 등을 통한 전세계 NFT* 매출 규모가 2020년 0.8억달러에서 2021년 176억달러로 1년 사이 210배 급성장 (Nonfungible.com) * NFT는 대체불가토큰(Non-Fungible Token)의 약자로, 디지털파일의 소유 기록과 거래 내역을 블록체인에 저장하고 자산화할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하며, 메타버스 내에서 패션 제품, 콘서트 티켓, 임대 등 다양한 상품ž서비스가 NFT화 될 수 있고 유저 간 거래 가능- 2026년에는 전 세계 인구의 25%가 업무, 쇼핑, 교육, 사교, 엔터테인먼트 등을위해 하루 최소 1시간을 메타버스에서 보내게 될 것으로 예측 (Gartner) * 메타버스 플랫폼 Roblox에서는 하루 600억개의 일상적 메시지가 전송되고 있으며, 최근 Fortnite에서는 미국가수Ariana grande의가상콘서트에4,500만명이참석하는등가상세계의 영향력이 급격히 확대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739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완전자율주행을 위한C-V2X의 표준 및 미래 전망 및 생태계 1도토리 조현상
3738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글로벌 기업들의 케냐 창업생태계 진출 확대 1도토리 조현상
3737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베트남 스마트 팩토리에 대한 동향 1도토리 조현상
373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실리콘밸리, 글로벌 혁신주도권 변화 움직임 및 2022년도 Q2 테크 기업 마켓 전망 1도토리 조현상
373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디지털 전환의 미래사회 위험이슈 및 대응 전략, 인공지능 역기능을 중심으로 3도토리 조현상
373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전략 1도토리 이지훈
373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사업체 규모별 청년 고용의 분포적 특성과 시사점 1도토리 이지훈
373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 제조업의 혁신투자 1도토리 이지훈
3731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2022년 소상공인 보증공급 정책 방향 1도토리 오민아
3730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기준금리 상승이 주요 제조업에 미치는 영향 및 시사점 1도토리 오민아
372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시니어 기술창업 실태와 활성화 방안 1도토리 오민아
372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대전환 시대 탄력적 글로벌가치사슬(GVC) 구축 및 한국에 대한 시사점 3도토리 오민아
3727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빅데이터 이용 활성화를 통한 한국관광 발전 1도토리 오민아
372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글로벌 공급망을 둘러싼 대외 여건 변화와 대응 방안 1도토리 오민아
3725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빅데이터 시대의 효율적 플랫폼 정부 방안 1도토리 오민아
3724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유로지역 국채 스프레드 변동성 확대 배경과 전망 1도토리 오민아
372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50가지 키워드로 본 한국 디자인 진흥 50년 7도토리 오민아
3722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천연가스 공급차질관련 독일경제 리스크 평가 1도토리 오민아
3721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EU 이사회,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합의안 주요 내용 1도토리 오민아
3720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글로벌 백신 공급망과 수출 동향 1도토리 오민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