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글로벌 은행들의 초개인화 뱅킹 사례와 시사점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안소영 조회수 67
용량 701.89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글로벌 은행들의 초개인화 뱅킹 사례와 시사점.pdf 701.89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4-21 
출처 : 우리금융경영연구소 
페이지 수 : 11 

초개인화 뱅킹(hyper-personalized banking)은 인공지능, 마이데이터 등의 기술을 활용해 개인의 금융생활 전반을 세밀하게 실시간으로 지원하는 디지털 금융서비스로 은행업의 주요 트렌드로 부상 글로벌 은행들은 ① 세밀한 금융생활 관리, ② 실시간(real-time)으로 금융활동 지원, ③ 금융 니즈 예측을 통한 선제적 대응 등을 통해 초개인화 서비스를 제공 [① 세밀한 금융생활 관리: Wells Fargo, ABN Amro] 개인의 자산·부채, 소비·지출 등의 포괄적인 금융생활 분석 외에도 불필요한 구독 서비스 해지, 사후(死後)서비스, 구체적인 신용등급 개선 방안 등 세밀한 부분까지 관리 Ÿ ABN Amro는 고객이 이용하고 있는 다양한 구독서비스에 대한 정리와 해지 서비스, 가족이 사망할 경우 해당 가족의 금융정보를 대신 취합 등 니치(niche) 전략을 활용 Ÿ Wells Fargo는 맞춤형 대출상품 추천, DTI 계산기, 월별 신용등급 개선표 등을 통해 초개인화 된 부채관리 서비스에 집중 [② 실시간(real-time)으로 금융활동 지원: Bank of Ireland, Capital One] 고객의 금융니즈를 실시간으로 발굴하고, 필요한 상품과 서비스를 즉시 공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 Ÿ Bank of Ireland는 ‘Netflix on Banking’을 목표로 설정하고, Netflix의 특징인 ‘구독’과 ‘추천’을 은행 서비스에 적용하여 실시간으로 맞춤형 상품과 서비스를 추천 Ÿ Capital One은 금융회사 최초로 고객의 물리적인 위치에 따라 적절한 카드 혜택을 추천하는 서비스를 시도 [③ 금융니즈 예측을 통한 선제적 대응 : RBC(Royal Bank of Canada)] 앞으로 7일 동안 예상되는 고객의 금융지출을 리포팅해주는 서비스를 통해 고객의 잠재적인 금융니즈를 발굴 마이데이터 사업이 2022년부터 본격화되면서 국내 시중은행들은 다양한 초개인화 서비스 개발 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아직은 통합 금융정보 제공과 금융상품 추천에 집중하고 있는 모습 국내 은행들도 해외사례를 참고해 앱에서 바로 구독서비스 해지, 사후 서비스(ABN Amro), 위치 기반 신용카드 혜택 알림(Capital One), 향후 예상되는 지출 알림(RBC) 등 다양하고 차별화된 초개인화 서비스를 개발하고, 적극적으로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기술력을 확보·내재화 필요I. 디지털 뱅킹의 새로운 트렌드 ‘초개인화’ n 초개인화 뱅킹(hyper-personalized banking)은 인공지능, 마이데이터 등의 기술을활용해 개인의 금융생활 전반을 세밀하게 실시간으로 지원하는 디지털 금융서비스로 은행업의 주요 트렌드로 부상 * American Banker지는 2022년 은행업의 5대 디지털 트렌드 중 하나로 초개인화(hyper-personalization)를 선정 Ÿ 지금까지 디지털 뱅킹은 신속하고 편리한 금융거래를 지원하는데 주력해왔으나 개인의 금융행동 패턴을 분석·예측하는 기술이 고도화되면서 고객의 경제생활을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초개인화 뱅킹 서비스가 가능해짐 - 투자성향, 운용자산 등의 금융정보를 바탕으로 고객을 분류(segmentation)하고 고객군별 맞춤형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식이었으나, 초개인화뱅킹은 1인만을 위한 서비스로 고객 분류체계가 사실상 불필요 - 인공지능이 고객 데이터를 분석(knowing)하는 단계에서 금융행동을 예측(predicting)* 하는 차원으로까지 발전함에 따라 맞춤형 금융상품 추천에 그치지않고 고객이 다음으로 취할 수 있는 최적의 금융선택(Next Best Action)을 제시 * 금융행동 예측 모델을 실제 금융서비스에 적용하는 것은 아직 초기단계에 있으나, 2030년경에는 예측기술이 높은 수준의 완성도를 보일 전망1) n 은행 관점에서 초개인화는 ① 수익 극대화, ② 비용절감, ③ 브랜드 차별화 측면에서 장점 * 초개인화 뱅킹에 따른 은행의 수익 확대 효과는 약 5~15%, 마케팅 비용 절감 효과는약 10~30%로 전망(McKinsey) Ÿ (① 수익 극대화) 전통적인 CRM 등 기존 기술력으로 불가능했던 고객의 잠재적인 금융니즈까지도 파악해 수익화 가능 - 초개인화 서비스로 자신의 경제활동과 금융상황에 대해 보다 높은 이해도를 지니게 된 금융소비자는 더욱 적극적으로 은행을 이용할 가능성 Ÿ (② 비용절감) 모바일 앱에서 실시간으로 상품과 서비스 추천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만큼 은행의 마케팅·채널운영 비용 감소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739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완전자율주행을 위한C-V2X의 표준 및 미래 전망 및 생태계 1도토리 조현상
3738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글로벌 기업들의 케냐 창업생태계 진출 확대 1도토리 조현상
3737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베트남 스마트 팩토리에 대한 동향 1도토리 조현상
373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실리콘밸리, 글로벌 혁신주도권 변화 움직임 및 2022년도 Q2 테크 기업 마켓 전망 1도토리 조현상
373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디지털 전환의 미래사회 위험이슈 및 대응 전략, 인공지능 역기능을 중심으로 3도토리 조현상
373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전략 1도토리 이지훈
373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사업체 규모별 청년 고용의 분포적 특성과 시사점 1도토리 이지훈
373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 제조업의 혁신투자 1도토리 이지훈
3731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2022년 소상공인 보증공급 정책 방향 1도토리 오민아
3730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기준금리 상승이 주요 제조업에 미치는 영향 및 시사점 1도토리 오민아
372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시니어 기술창업 실태와 활성화 방안 1도토리 오민아
372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대전환 시대 탄력적 글로벌가치사슬(GVC) 구축 및 한국에 대한 시사점 3도토리 오민아
3727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빅데이터 이용 활성화를 통한 한국관광 발전 1도토리 오민아
372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글로벌 공급망을 둘러싼 대외 여건 변화와 대응 방안 1도토리 오민아
3725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빅데이터 시대의 효율적 플랫폼 정부 방안 1도토리 오민아
3724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유로지역 국채 스프레드 변동성 확대 배경과 전망 1도토리 오민아
372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50가지 키워드로 본 한국 디자인 진흥 50년 7도토리 오민아
3722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천연가스 공급차질관련 독일경제 리스크 평가 1도토리 오민아
3721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EU 이사회,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합의안 주요 내용 1도토리 오민아
3720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글로벌 백신 공급망과 수출 동향 1도토리 오민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