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항공운송 및 후방산업 격리의무 완화에 따른 수혜업종 전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안소영 조회수 42
용량 469.54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항공운송 및 후방산업 격리의무 완화에 따른 수혜업종 전망.pdf 469.54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4-29 
출처 : 우리금융경영연구소 
페이지 수 :

중국(홍콩 포함)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서 해외 입국자 무격리 조치가 하반기 들어 확산될 가능성이 높음 주요국 격리의무 해제 조치의 일차적 수혜업종은 항공운송업이며, 주요 후방산업인 ①석유와 가스, ②호텔·레스토랑·레저, ③화장품 업종도 수혜가 예상 항공운송업은 항공기 운항 편수 확대(Q), 국제선 여객운임 인상(P) 효과로 성장성과 수익성이 동반 개선될 전망 Ÿ 유형별로는 전년도 매출이 반등하고 흑자 전환한 FSC와 매출 감소로 적자가 이어지고 있는 LCC 간 실적 차별화가 지속 후방연쇄효과가 가장 큰 석유와 가스는 매출의 10%를 차지하는 항공연료 수요가 늘어 나고, 국제유가 급등으로 정제마진이 상승하면서 성장성과 수익성 개선이 뚜렷 호텔·레스토랑·레저와 화장품은 하반기 인·아웃바운드 관광수요 회복이 본격화되면서 매출이 증가하고, 구조조정 효과와 고마진 판매채널 확대로 수익성이 개선될 전망 Ÿ 세부 업종인 여행업의 경우 사업재개를 위한 초기 마케팅 비용 부담으로 4년째 적자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음 금융회사는 코로나 엔데믹 전환 시점이 빠르게 다가오고 있음을 인지하고, 리오프닝(경 제활동 재개)으로 수혜가 예상되는 산업에 대한 자금 지원을 점검할 필요 Ÿ 동시에 세부업종 또는 기업 규모별로 세그먼트를 세분화하여 실적 부진이 우려되는 부문을 중심으로 면밀한 모니터링을 실시1. 방역규제 완화로 항공여객 수요 증가 n 중국(홍콩 포함), 일본, 대만 등 아시아 일부 국가를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서 해외 입국자 무격리 조치가 확산 Ÿ 2021년 이후 백신 접종률이 상승하고 상대적으로 경증인 오미크론이 우세종이 되면서 미주, 유럽 주요국을 중심으로 격리의무를 해제하는 추세 * 전세계 백신접종률(2차 이상, %): 8(’21.7월) → 45(12월) → 59(’22.4월) - 한국은 3.21일부터 우크라이나 등 일부 국가를 제외한 모든 해외 입국자를 대상으로 무격리 방침을 시행중이고, 호주·뉴질랜드도 격리의무를 종료할 예정 Ÿ 반면 홍콩, 중국, 일본, 대만은 2022년 들어 코로나 재확산과 중증률 상승으로 입국자에 대한 격리 규정을 재강화 주요 국가별 입국자(백신완료자주1)) 격리 규정 구분 주요 국가 입국 제한 홍콩 격리시 입국가능 일본(3 또는 7이 격리), 중국(7~14일 격리), 대만(10일 격리) 무격리 입국가능 (=접종자 무격리) [아시아·태평양] 한국, 싱가포르, 필리핀,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베트남, 말레이시아, 호주, 뉴질랜드,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태국 [미주] 미국(괌, 하와이, 사이판 포함), 캐나다 [유럽] 네덜란드, 독일, 프랑스, 스페인,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체코 비접종자 입국가능 영국, 몽골 주1) 백신완료자는 2차 백신접종을 마친 경우에 한함 주2) 태국·말레이시아 4.1일, 호주 4.17일, 뉴질랜드 5.2일, 태국 5.1일부터 시행 자료: 한국공항공사, 외교부(’22.4.15일 기준), 언론보도 종합 n 그동안 코로나 감염 우려뿐만 아니라 격리의무 부담으로 해외여행 수요가 억제되어왔으나, 무격리 입국이 늘어나면서 회복되는 조짐 Ÿ 국내 항공사 국제선 여객수는 ’21.2월(16.7만명) 저점 이후 반등 * 월평균 국제선 여객수(만 명): 757.5(’19년) → 39.9(’20.2월) → 16.7(’21.2월) → 32.3(’22.2월) - 지역별로는 격리의무를 가장 먼저 해제한 미주, 유럽向 여객수가 빠르게 증가 * ’21.下 대륙별 여객수 증가율(%, yoy): 아시아 30.4 vs. 미주 95.6, 유럽 100.2 Ÿ 전 세계 코로나 중증률, 신규 확진자 수가 감소하고 있어 격리의무를 시행중인 일본, 대만도 조만간 격리의무가 해제될 것으로 예상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739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완전자율주행을 위한C-V2X의 표준 및 미래 전망 및 생태계 1도토리 조현상
3738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글로벌 기업들의 케냐 창업생태계 진출 확대 1도토리 조현상
3737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베트남 스마트 팩토리에 대한 동향 1도토리 조현상
373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실리콘밸리, 글로벌 혁신주도권 변화 움직임 및 2022년도 Q2 테크 기업 마켓 전망 1도토리 조현상
373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디지털 전환의 미래사회 위험이슈 및 대응 전략, 인공지능 역기능을 중심으로 3도토리 조현상
373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전략 1도토리 이지훈
373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사업체 규모별 청년 고용의 분포적 특성과 시사점 1도토리 이지훈
373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 제조업의 혁신투자 1도토리 이지훈
3731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2022년 소상공인 보증공급 정책 방향 1도토리 오민아
3730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기준금리 상승이 주요 제조업에 미치는 영향 및 시사점 1도토리 오민아
372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시니어 기술창업 실태와 활성화 방안 1도토리 오민아
372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대전환 시대 탄력적 글로벌가치사슬(GVC) 구축 및 한국에 대한 시사점 3도토리 오민아
3727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빅데이터 이용 활성화를 통한 한국관광 발전 1도토리 오민아
372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글로벌 공급망을 둘러싼 대외 여건 변화와 대응 방안 1도토리 오민아
3725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빅데이터 시대의 효율적 플랫폼 정부 방안 1도토리 오민아
3724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유로지역 국채 스프레드 변동성 확대 배경과 전망 1도토리 오민아
372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50가지 키워드로 본 한국 디자인 진흥 50년 7도토리 오민아
3722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천연가스 공급차질관련 독일경제 리스크 평가 1도토리 오민아
3721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EU 이사회,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합의안 주요 내용 1도토리 오민아
3720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글로벌 백신 공급망과 수출 동향 1도토리 오민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