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글로벌 PE사의 사업다각화 사례와 시사점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안소영 조회수 46
용량 325.36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글로벌 PE사의 사업다각화 사례와 시사점.pdf 325.36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5-06 
출처 : 우리금융경영연구소 
페이지 수 :

금융위기 이후 이어진 초저금리 기조, 비상장기업 증가 추세, 은행 업무영역 제한 등은 글로벌 PE사에게 우호적인 환경으로 작용 글로벌 PE사들은 변화하는 금융환경을 기회로 다양한 투자 대상을 발굴하고 신규 산업· 고객군에 진출하는 등 비즈니스를 다각화하였으며 이에 운용자산 규모와 주가가 큰 폭으로 상승 글로벌 PE사들은 ①전문성을 보유한 분야와 인접한 산업으로 투자 대상을 다각화하여 기회를 발굴하는 한편, ②연금·보험 비즈니스에 진출하여 적극적인 시너지를 제고하고, ③개인투자자까지 고객군을 확장 Ÿ [①투자 대상 다각화] 글로벌 PE사는 기존 부동산, 대출펀드의 투자 전문성을 활용하여 새로운 산업 내 투자 기회를 포착 Ÿ [②연금·보험업과의 시너지 제고] PE사의 운용자산 확보에 용이하며 전문성을 활용하여 수익성 개선이 가능한 연금, 보험사를 자회사로 편입하여 적극적인 시너지를 제고 Ÿ [③개인투자자까지 고객군을 확장] 개인투자자의 사모시장 투자 니즈에 대응하여 개인투자자 판매 채널을 강화하고 맞춤형 상품 출시를 확대 사모펀드 시장이 성장하고 있는 국내 금융시장에서, 자산운용사들은 글로벌 PE사의 사업다각화 사례를 참고하여 도약의 기회로 활용할 필요 작성자: 자산관리연구실 장현웅 선임연구원(02-2171. 글로벌 사모시장의 성장 n 금융위기 이후 이어진 초저금리 기조, 비상장기업 증가 추세, 은행 업무영역 제한 등은 글로벌 PE사에게 우호적인 환경으로 작용 Ÿ 채권 수익률이 저조해짐에 따라 연기금 등 기관투자자들은 투자 수익성을 개선하기 위해 전통적인 자산보다 기대수익이 높은 대체 자산의 투자비중을 확대* 글로벌 기관투자자의 대체투자 비중 추이(%): 2012년 13.5 → 2021년 18.51) Ÿ 미국을 비롯한 글로벌 금융시장의 규제가 강화되면서 상장기업의 부담이 가중되어비상장기업이 지속 증가하였으며, 이에 비상장기업을 주요 투자처로 하는 PE사의업무 영역이 확장 - 상장기업에 적용되는 규제 등은 기업이 비상장사로 남아있을 메리트로 작용하였으며, 이미 상장한 기업의 경우에도 공개시장에서 주식을 매입하여 비상장사로 전환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 * 글로벌 금융시장의 비상장사 전환(Public to Private) 거래 규모는 2021년말 4,690억달러로 2016~2021년 연평균 37% 증가2) Ÿ 미국, 유럽 등지에서 자본규제가 강화되어 글로벌 은행들이 중·소기업 대상의 대출을 감소시킴에 따라 기업들은 PE사 등으로 자금공급처를 대체 - 글로벌 금융시장의 직접대출(Direct Lending) 펀드 신규모집 규모는 2015년 이후연평균 23% 성장하여 2021년 1,100억달러까지 증가3) * 2021년 전체 글로벌 사모시장 신규모집 규모는 1.18조달러로 동기간 연평균 8% 증가 n 글로벌 PE사들은 변화하는 금융환경을 기회로 다양한 투자 대상을 발굴하고 신규 산업·고객군에 진출하는 등 비즈니스를 다각화하였으며 이에 운용자산 규모와 주가가 큰 폭으로 상승 Ÿ 전통적인 Buyout 투자*에서 나아가 부동산, 대출, 미디어 컨텐츠 등으로 투자 대상을 확대하고 보험업 등 타 금융업권으로 진출하였으며 기관투자자에서 개인투자자까지 고객군을 확장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739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완전자율주행을 위한C-V2X의 표준 및 미래 전망 및 생태계 1도토리 조현상
3738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글로벌 기업들의 케냐 창업생태계 진출 확대 1도토리 조현상
3737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베트남 스마트 팩토리에 대한 동향 1도토리 조현상
373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실리콘밸리, 글로벌 혁신주도권 변화 움직임 및 2022년도 Q2 테크 기업 마켓 전망 1도토리 조현상
373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디지털 전환의 미래사회 위험이슈 및 대응 전략, 인공지능 역기능을 중심으로 3도토리 조현상
373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전략 1도토리 이지훈
373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사업체 규모별 청년 고용의 분포적 특성과 시사점 1도토리 이지훈
373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 제조업의 혁신투자 1도토리 이지훈
3731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2022년 소상공인 보증공급 정책 방향 1도토리 오민아
3730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기준금리 상승이 주요 제조업에 미치는 영향 및 시사점 1도토리 오민아
372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시니어 기술창업 실태와 활성화 방안 1도토리 오민아
372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대전환 시대 탄력적 글로벌가치사슬(GVC) 구축 및 한국에 대한 시사점 3도토리 오민아
3727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빅데이터 이용 활성화를 통한 한국관광 발전 1도토리 오민아
372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글로벌 공급망을 둘러싼 대외 여건 변화와 대응 방안 1도토리 오민아
3725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빅데이터 시대의 효율적 플랫폼 정부 방안 1도토리 오민아
3724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유로지역 국채 스프레드 변동성 확대 배경과 전망 1도토리 오민아
372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50가지 키워드로 본 한국 디자인 진흥 50년 7도토리 오민아
3722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천연가스 공급차질관련 독일경제 리스크 평가 1도토리 오민아
3721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EU 이사회,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합의안 주요 내용 1도토리 오민아
3720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글로벌 백신 공급망과 수출 동향 1도토리 오민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