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주요 양식어류 수급전망 고도화를 위한 모형 구축 연구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안소영 조회수 37
용량 2.52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주요 양식어류 수급전망 고도화를 위한 모형 구축 연구.pdf 2.52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2-28 
출처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페이지 수 : 223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 내용과 방법 

제3절 선행연구 검토 

 

제2장 주요 양식어류 수급전망모형 기초 설계 

제1절 주요 양식어류 수급 영향요인 검토 

제2절 균형가격 도출 방식 검토 

제3절 시사점 

 

제3장 주요 양식어류 수급전망모형 구조 및 추정 결과 

제1절 주요 양식어류 수급 통계 DB 현황 

제2절 주요 양식어류 수급전망모형 개별방정식 설정 

제3절 추정 결과 및 예측력 검정 

제4절 시사점 

 

제4장 주요 양식어류 수급전망 및 정책 시뮬레이션 

제1절 2021~2025년 주요 양식어류 수급지표 전망 결과 

제2절 정책 시뮬레이션 분석 결과 

제3절 시사점 

 

제5장 결론 및 제언 

제1절 요약 및 결론 

제2절 제언 

 


 

1. 연구의 목적  대내외적 요인들로 주요 양식어류에 대한 미래 수급의 불확실성이 가중 되고 있음  중장기적으로 양식어류의 수급이 어떻게 변화할지 합리적으로 전망하고 대응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음 - 양식어가는 미래 경제 및 수급상황에 대해 경험으로 체득한 정보를 바탕으로 입식량, 출하 시점 등을 결정함 - 일반적으로 불확실한 상황 하에서 입식량 결정은 양적 확대를 통한 수익 증대를 도모하는 등 생산성 및 경영 효율성이 악화되는 문제가 발생함 - 특히 장기적인 수급전망에는 주관적인 경험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거시경 제변수까지 고려해야 하므로 더 큰 어려움 존재함 - 또한 미래에 대한 합리적인 전망이 불가능하면 적절한 수급안정 관련 정책을 수립하는데 어려움이 존재함 - 따라서 국내 양식어류 수급에 미치는 영향을 정밀하게 분석하여 합리적인 중장기 수급지표를 전망할 수 있는 계량경제모형이 필요함 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정교한 주요 양식어류 중장기 수급 전망모형을 구축하는 데 있음이에 따른 세부 목적은 경제적 인과관계가 반영된 모형 구축, 양식어류 수급 관련 현실 설명력 향상, 모형의 정책적 활용성 강화임 세부목적 1 세부목적 2 세부목적 3 경제적 인과관계 반영된 모형 구축 정교한 주요 양식어류 중장기 수급 전망모형 구축 양식어류 수급 관련 현실 설명력 향상 모형의 정책적 활용성 강화 본 연구의 목적 자료: 저자 작성 2. 연구의 방법 및 특징 1) 연구 방법 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문헌 및 통계자료 조사 분석, 전문가 자문, 계량 분석 등을 수행하였음 - 문헌 조사를 통해 기 구축된 국내외 전망모형의 구조, 분석방법 등을 파악 하였으며, 국내외 농업 및 수산부문의 부분균형모형을 검토하였음 - 다음으로 생산 및 유통 관련 전문가 자문을 통해 양식어류의 수급 구조를 파악하고, 모형을 구축하는 데 필요한 양식어류 관련 통계자료를 수집함 - 또한 최적의 모형 구조 설정을 위해 계량경제모형 전문가 자문을 수행하여 추정방법과 가격도출 방법 등을 설정함 - 문헌조사, 전문가 자문,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설정된 개별방정식은 통 상최소자승법(OLS; Ordinary Least Squares)을 이용하여 추정하였음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71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글로벌 PE사의 사업다각화 사례와 시사점 1도토리 안소영
»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주요 양식어류 수급전망 고도화를 위한 모형 구축 연구 7도토리 안소영
370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글로벌 수산물 수출 경쟁우위 및 결정요인 분석 7도토리 안소영
3708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에 관련하여 항만에서 대응방안 연구 7도토리 안소영
3707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메타버스 기반 공공 서비스 및 공간정보 분야의 역할 3도토리 안소영
3706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스탠포드 「AI 인덱스 2021」을 통해 본AI 지표 조사의 변화 방향 3도토리 안소영
370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EU집행위원회 클라우드 합의문과 얼라이언스 1도토리 안소영
370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미국 알고리즘에 관한 책임법안 발의 1도토리 안소영
3703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OECD 인공지능 시스템 분류 프레임워크 분석과 시사점 3도토리 안소영
3702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알고리즘 영향평가 모델 사례(영국 헬스케어 분야) 3도토리 안소영
3701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민간 클라우드(SaaS) 이용사례 7도토리 안소영
3700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클라우드를 위한 제로 트러스트 보안 3도토리 안소영
3699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제로 트러스트를 기반으로 보안 실현을 위한 6x2 아키텍처 1도토리 안소영
369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지털 전환 시대, NIA가 전망한 환경 변화 13대 핫이슈 1도토리 장민환
369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ARK 인베스트를 통해 본 디지털 전환 방향 7도토리 장민환
369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커먼크롤 분석과 국내 적용방안 1도토리 장민환
3695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차세대 의료분야 데이터 활용을 위한 표준화와 비즈니스 모델 연구 7도토리 장민환
3694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분석] 국내외 제약바이오기업의 ESG 대응 현황 및 시사점 3도토리 장민환
3693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코로나19 이후 해외 스타트업 정책동향 및 주요 변화 3도토리 나혜선
369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선박 대체연료 확산이 해운산업에 대해 미치는 영향 3도토리 나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