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글로벌 수산물 수출 경쟁우위 및 결정요인 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안소영 조회수 40
용량 4.88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글로벌 수산물 수출 경쟁우위 및 결정요인 분석.pdf 4.88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2-28 
출처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페이지 수 : 262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제2절 선행연구 검토 

제3절 연구 범위 및 방법 

 

제2장 글로벌 수산물 수출 동향 및 경쟁력 분석 

제1절 글로벌 수산물 수출 동향 

제2절 글로벌 수산물 수출 경쟁력 분석 

제3절 소결 

 

제3장 글로벌 수산물 수출 경쟁우위 결정 요인 분석 

제1절 글로벌 수산물 수출 경쟁력 이론 검토 및 분석 모델 

제2절 글로벌 수산물 수출 경쟁우위 결정 요인 분석 

제3절 글로벌 수산물 수출 경쟁우위 향상 및  저해요인 사례분석 

제4절 소결 

 

제4장 국내 수산물 수출기업 경쟁력 실태 현황 분석 

제1절 기업 수출 경쟁력 이론 검토 및 분석 모델 

제2절 국내 수산물 수출기업 경쟁력 실태 현황 분석 

제3절 국내 수산물 수출기업 경쟁력 향상 및 저해 사례 분석 

제4절 소결 

 

제5장 우리나라 수산물 수출 경쟁력 향상 방안 

제1절 기본 방향  

제2절 세부 추진 과제 도출 

 

제6장 결론 및 정책 제언 

제1절 결론  

제2절 정책 제언 

제3절 연구 한계 및 향후 연구 

 


 

1. 연구 목적  글로벌 시장이 개방된 이후, 우리나라 수산물 수출 실적은 증가하고 있는 추세지만, 점유율 등의 경쟁력은 하락하는 추세(2000년 시 장점유율: 2.7% → 2018년: 1.2%)로 이에 대한 대응 전략 수립이 필요한 실정임  본 연구는 종합적·체계적 국가 경쟁력을 평가할 수 있는 모델인 M. Porter의 다이아몬드 모델(요소 조건, 수요 조건, 관련 및 지원 사업, 기업 전략·구조, 경쟁, 정부)을 활용하여, 실증적으로 글로벌 경쟁력에 미치는 요인을 발견하고, 이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수산 물 수출 산업의 경쟁력 향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함 (제2장) 글로벌 수출 경쟁력 분석을 통해 글로벌 수산물 수출 동향 및 국가별 수산물 수출 경쟁 상황을 파악함 - 수출 동향, 수출 경합도 지수(ESI), 경쟁력 지수(MS, RCA, TSI), 커널밀도 함수(Kernel Density Function), 변동계수(CV)를 활용하여 국가별 수산 물 수출 경쟁 상황을 파악함  (제3장) 글로벌 수출 경쟁우위 결정 요인 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수산물 수출 경쟁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판별함 - 우리나라 실질 수출 경쟁국(스페인, 중국, 태국, 일본)을 중심으로, M. Porter의 다이아몬드 모델에 기반하여 지표를 구성하고, 실증 분석을 수 행함. 이를 위해, 패널 회귀분석을 위한 과정(단위근, 자기상관, 이분산 검정 등)을 거치고 적합한 모델(이분산 반영 FGLS)을 선정함 - 주요 경쟁국별 전문가(스페인, 중국, 태국, 일본)를 대상으로 주요 지표별 해당 국가의 경쟁력 향상과 관련한 심층 서면 조사를 수행함  (제4장) 국내 수출기업 경쟁력 실태 현황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의 수산물 수출 경쟁력 향상 방안을 모색함 - M. Porter의 다이아몬드 모델에 기반하여 세부적인 지표를 구성하고 설 문 조사(300개 업체)를 통해, 국내 기업의 수출 경쟁력 실태를 파악함 - 주요 업계의 전문가(10개 업체)를 대상으로 우리나라 수산물 수출 경쟁력 향상을 위한 심층 면담 조사를 시행함  (제5장) 제2장에서 제4장까지의 주요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수출 경쟁력 향상 방안을 도출함 - 우리나라 수산물 수출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기본방향을 제시하고, 세부 요인별 추진 전략을 수립함2) 연구 특징  글로벌 수산물 수출 경쟁우위 결정 요인을 종합적·체계적으로 분석함 으로써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함 - (기존 연구) 비교우위론 기반 지수 중심의 국가 경쟁력 분석, 설문 분석, 특정 정책의 영향 분석 등이 주를 이루고 있음. 단, 비교우위론 기반 지수를 활용한 국가 경쟁력은 절대적인 경쟁력 평가가 어렵고 경쟁우 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음. 설문 분석 의 경우 자국 산업에 대한 평가는 적합할 수 있으나, 이 외 국가 평가에 있어서는 제한적임. 특정 정책이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분석은 체계적 지표 구성이 수반되지 않으면, 누락 변수 편의(Omitted variable bias)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농축산업 부문에서는 M. Porter의 다이아몬 드 모델을 활용하여 국가 경쟁력을 분석하는 사례 등이 있으나, 모든 요인 을 결정 요인으로 가정하고 국가 간 비교를 하므로, 해당 요인들이 실질적 으로 경쟁력에 영향을 미쳤는지는 확인이 어려움 - (본 연구)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M. Porter의 다이아몬드 모델에 기반하여, 종합적·체계적 수출 경쟁우위 지표를 구성하고, 실증적 으로 국가 경쟁력에 미친 요인을 판별함. 또한, 국내의 현실적인 상황 을 고려하기 위해 국내 기업 대상 경쟁력 관련 설문 조사를 수행함. 이 외에도 포괄적인 전문가 자문 조사, 면담 등을 통해 현장 반영을 위해 노력함  우리나라 수산물 수출 경쟁국(스페인, 중국, 태국, 일본)을 중심으로 현실적 경쟁구조를 고려한 수산물 수출 전략 수립에 도움을 줌 - 장기적인 수산물 수출 경쟁력 향상 방안 수립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 고, 요소별 중점 사항을 검토함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739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완전자율주행을 위한C-V2X의 표준 및 미래 전망 및 생태계 1도토리 조현상
3738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글로벌 기업들의 케냐 창업생태계 진출 확대 1도토리 조현상
3737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베트남 스마트 팩토리에 대한 동향 1도토리 조현상
373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실리콘밸리, 글로벌 혁신주도권 변화 움직임 및 2022년도 Q2 테크 기업 마켓 전망 1도토리 조현상
373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디지털 전환의 미래사회 위험이슈 및 대응 전략, 인공지능 역기능을 중심으로 3도토리 조현상
373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전략 1도토리 이지훈
373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사업체 규모별 청년 고용의 분포적 특성과 시사점 1도토리 이지훈
373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 제조업의 혁신투자 1도토리 이지훈
3731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2022년 소상공인 보증공급 정책 방향 1도토리 오민아
3730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기준금리 상승이 주요 제조업에 미치는 영향 및 시사점 1도토리 오민아
372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시니어 기술창업 실태와 활성화 방안 1도토리 오민아
372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대전환 시대 탄력적 글로벌가치사슬(GVC) 구축 및 한국에 대한 시사점 3도토리 오민아
3727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빅데이터 이용 활성화를 통한 한국관광 발전 1도토리 오민아
372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글로벌 공급망을 둘러싼 대외 여건 변화와 대응 방안 1도토리 오민아
3725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빅데이터 시대의 효율적 플랫폼 정부 방안 1도토리 오민아
3724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유로지역 국채 스프레드 변동성 확대 배경과 전망 1도토리 오민아
372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50가지 키워드로 본 한국 디자인 진흥 50년 7도토리 오민아
3722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천연가스 공급차질관련 독일경제 리스크 평가 1도토리 오민아
3721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EU 이사회,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합의안 주요 내용 1도토리 오민아
3720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글로벌 백신 공급망과 수출 동향 1도토리 오민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