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정책분석] 국내외 제약바이오기업의 ESG 대응 현황 및 시사점
분류 생명공학/바이오 판매자 장민환 조회수 76
용량 1.67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국내외 제약바이오기업의 ESG 대응 현황 및 시사점.pdf 1.67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2-04 
출처 : KDB 미래전략연구소 
페이지 수 : 19 

2019년 미국의 Business Roundtable 연례회의에서 ESG(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의 중요성이 주목받은 이후 주요 국가를 중심으로 관련 규제 도입 및 기업들의 대응이 이뤄지고 있다. 글로벌 제약사들은 자사의 ESG 원칙을 공급망 내 기업들에게 적용하기 위한 행보를 시작하였고, 각국의 규제기관은 ESG 관리가 미흡한 기업에게 제재를 가할 예정이다. 한국 제약바이오산업은 2020년 사상 첫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하며 10조원에 육박하는 수출 실적을 달성하였으며, 정부에서도 바이오산업을 차세대 먹거리로 낙점하고 정책적 지원을 시행 중이다. 또한 국내 주요 기업들이 연이어 의약품 사업에 진출함에 따라 의약품 수출의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ESG 경영의 도입은 한국이 글로벌 제약바이오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다. 국내 제약바이오산업은 ESG 경영 도입 초기로, 일부 대형 제약사를 제외한 대부분의 기업들이 ESG 도입 준비 단계에 있다. 다수의 기업들이 ESG 전담부서 신설, 관련 인증 획득 추진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주요 기업의 대응사례 및 관련지침이 발표되고 있어 기업들의 대응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본 보고서에서는 ESG 제도 및 평가의 해외 동향 및 국내외 제약사들의 ESG 대응 현황을 짚어보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제약사들이 고려해야 할 사항 들을 제시하였다Ⅰ. 들어가며 ❑ ESG 규제 도입이 가시화됨에 따라 국내외 주요 제약바이오 기업들은 본격적인 대응책 마련에 나서고 있음 ❍ 세계 각국의 ESG(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관련 정책 및 규제 시행이 본격화되면서 국내외 제약바이오 기업들은 ESG 전담조직 신설, 컨설팅 및 평가기관 진단 등을 통하여 대응 중임 - 특히 글로벌 대형 제약사들은 ESG 경영보고서를 발간하고, 회사 홈페이지에 ESG 관련 지표 및 평가결과를 게시하는 등 신속하게 대처 ❑ 향후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의 수출 비중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국내 제약사들의 신속한 ESG 대응이 필요한 상황 ❍ 블록버스터 신약들의 특허 만료에 따른 제약사 간 경쟁이 본격화되는 상황으로, 국내 제약사들은 신속한 ESG 대응을 통한 글로벌 시장 내 경쟁력 확보가 필요 - 세계적으로 보호무역주의가 강화되는 추세인 만큼, 향후 ESG 규제가 국가 간 비관세 장벽으로 활용될 여지가 있음 - 원료 및 완제의약품의 위탁생산(CMO, Contract Manufacturing OrganiBation) 사업을 주력으로 하는 국내 업체들의 경우, ESG 대응 지연이 향후 수주에 영향을 줄 수 있음 ❍ 현재는 대형 제약사 중심으로 대응 중이나, 전문가들은 향후 중소형 제약사 및 벤처기업에게도 ESG 경영 도입이 요구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 유럽과 미국의 펀드 운용사 및 투자자들은 소형 및 벤처 규모의 제약바이오 기업 투자에도 ESG 관련 항목을 고려하는 추세1)로, 국내 중소형 제약사 에게도 점차 관련 대응이 요구될 전망 ❑ 본 보고서에서는 국내외 ESG 규제 및 주요 기업들의 대응 현황을 살펴보고, 국내 제약사들이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제시하고자 함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64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글로벌 수산물 수출 경쟁우위 및 결정요인 분석 7도토리 안소영
3648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에 관련하여 항만에서 대응방안 연구 7도토리 안소영
3647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메타버스 기반 공공 서비스 및 공간정보 분야의 역할 3도토리 안소영
3646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스탠포드 「AI 인덱스 2021」을 통해 본AI 지표 조사의 변화 방향 3도토리 안소영
364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EU집행위원회 클라우드 합의문과 얼라이언스 1도토리 안소영
364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미국 알고리즘에 관한 책임법안 발의 1도토리 안소영
3643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OECD 인공지능 시스템 분류 프레임워크 분석과 시사점 3도토리 안소영
3642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알고리즘 영향평가 모델 사례(영국 헬스케어 분야) 3도토리 안소영
3641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민간 클라우드(SaaS) 이용사례 7도토리 안소영
3640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클라우드를 위한 제로 트러스트 보안 3도토리 안소영
3639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제로 트러스트를 기반으로 보안 실현을 위한 6x2 아키텍처 1도토리 안소영
363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지털 전환 시대, NIA가 전망한 환경 변화 13대 핫이슈 1도토리 장민환
363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ARK 인베스트를 통해 본 디지털 전환 방향 7도토리 장민환
363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커먼크롤 분석과 국내 적용방안 1도토리 장민환
3635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차세대 의료분야 데이터 활용을 위한 표준화와 비즈니스 모델 연구 7도토리 장민환
»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분석] 국내외 제약바이오기업의 ESG 대응 현황 및 시사점 3도토리 장민환
3633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코로나19 이후 해외 스타트업 정책동향 및 주요 변화 3도토리 나혜선
363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선박 대체연료 확산이 해운산업에 대해 미치는 영향 3도토리 나혜선
363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 산업의 탄소중립 달성에 대한 CCUS 역할 1도토리 나혜선
363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메타버스 산업 생태계 및 사업화 요건 3도토리 나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