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메타버스 산업 생태계 및 사업화 요건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나혜선 조회수 113
용량 2.95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메타버스 산업 생태계 및 사업화 요건.pdf 2.95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5-06 
출처 : KDB 미래전략연구소 
페이지 수 : 34 

< 목 차 >

 

1. 메타버스 개요와 산업 생태계

 

2. 메타버스 산업의 주요 특징과 발전 단계

 

3. 산업화 요건과 지원 방향

 


 

메타버스의 개념은 디지털 기술 발전, 비대면 콘텐츠 소비에 대한 거부감 완화, 새로운 사업기회 모색 과정에서 점차 진화하고 있으며, 기업들은 다양한 영역에서 메타버스화를 시도함에 따라 마케팅 또는 체험의 단계에서 사업화 단계에 진입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 콘텐츠 제작 솔루션의 제반 기술 및 플랫폼으로 구조화된 생태계를 형성하는 도입기에 있다. 메타버스 산업의 주요 특징은 ① 글로벌 빅테크 기업의 활발한 M&A, ② 디지털 기술과 메타버스 산업의 공진화, ③ 기술 사회적 트렌드가 성장 촉진 동인, ④ 새로운 수요가 생겨나고 다양한 분야에 걸친 특허 출원 추이 증가세 에서 확인할 수 있다. 메타버스 산업 싸이클은 ‘초기 기술사업화 단계 - 활발한 자본 투자 단계’ 에서 글로벌 빅테크 기업이 모멘텀을 형성 후 ‘투자 과잉 단계’에서 급속도로 성장하는 시장을 기술과 에코시스템이 수용하지 못하고 사업검증 과정에서 시행착오 반복으로 인해 시장 기대치의 변동성이 커지는 특징이 있으며, 회복기에 접어들면서 사회적 산업적으로 촉발된 시장의 수요에 대응하여 기업들이 성숙된 인프라 기술 도입을 통해 메타버스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필드 리서치(선도기업, 메타버스 펀드 운용 중인 기관투자자, 협회 등)를 통해 파악한 인프라 기술 및 사업화 요건, 플랫폼 구현의 주요 도전과제, ‘메타버스화’의 현실적 접근, 수익모델 유형을 기반으로 향후 메타버스 산업에 대한 지원 방향을 아래와 같이 도출하였다. ① 투자 단계에 있는 요소기술을 가진 기업 발굴과 적극적인 투자, ② 국내외 법 규제에 대한 관심과 대응이 필요하다Ⅰ. 메타버스 산업 개요와 생태계 1. 메타버스 산업 개요 ❑ 메타버스 개요 ❍ ‘메타버스’의 개념 - 본고에서는 메타버스를 현실과 연결된 가상현실을 바탕으로 이용자의 일상을 공간적 시간적으로 확장할 수 있는 개념으로 정의 - NVDIA CEO가 GTC 2020 기조연설에서 “물리적 세계와 가상 세계가 점점 더 융합되고 있습니다. Omniverse는 크리에이터들이 세계 각지에서 원격으로 문서를 편집할 수 있어 손쉽게 단일 디자인을 놓고 협업할 수 있도록 지원 합니다. 이는 Star Trek의 ‘홀로덱(Holodeck)’을 실현하는 첫걸음이라 할 수 있습니다.”라는 설명으로 메타버스 개념을 재조명 〈그림 1〉 메타버스 개념도 〈그림 2〉 Omniverse 플랫폼 자료 : 저자 작성 자료 : NVIDIA 홈페이지 ❍ ‘메타버스’의 유형 - (고전적 유형) 증강현실·라이프로깅·가상세계·거울세계, 4가지 유형으로 분류 (ASA(美), “Getaverse Roadmap”, 2006) · 구분 기준 : 기술과 현실과의 관계, 기술과 이용자와의 관계 - (최근 유형) 상기 4가지 유형의 주요 속성이 융합되고 경계가 사라지면서, 메타버스화에 현실적으로 유리한 기업들 중심으로 게임형, 소셜형, 생활 산업형(특수목적형)으로 결과론적 분류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66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2 국외 스마트그리드 산업동향(1분기) 3도토리 조정희
3667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EU(유럽연합)의 AI Watch Index 소개와 시사점 1도토리 정한솔
366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 스타트업 생태계 변화 분석 1도토리 정한솔
3665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베트남 동영상 편집 앱(APP) 시장 현황 1도토리 정한솔
3664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새로운 형식의 보안 양자 1도토리 정한솔
3663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중국의 빅데이터 법·정책 및 기술 동향 1도토리 정한솔
366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데이터 잠재력 활용과 디지털 전환 3도토리 정한솔
366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유럽의 데이터 주도 혁신 촉진을 위한 샌드박스 사례 분석 3도토리 조현상
366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데이터 중개자의 현재와 미래_신뢰성 향상을 위한 포괄적 논의 3도토리 조현상
365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EU 데이터산업 정책 및 사업 이슈 TOP5 1도토리 조현상
365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코로나 이후의 교육 동영상 콘텐츠 이용 변화 1도토리 조현상
3657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AI Index 2022의 주요 내용 및 시사점 3도토리 조현상
3656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AI 팀의 성장 및 전망 1도토리 조현상
3655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베트남 內 공공데이터 포털 구축 동향 1도토리 조현상
365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코로나19 이후의 ICT 산업 동향 변화 1도토리 조현상
3653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완전자율주행을 위한C-V2X의 표준 및 미래 전망 및 생태계 1도토리 조현상
3652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글로벌 기업들의 케냐 창업생태계 진출 확대 1도토리 조현상
3651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베트남 스마트 팩토리에 대한 동향 1도토리 조현상
365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실리콘밸리, 글로벌 혁신주도권 변화 움직임 및 2022년도 Q2 테크 기업 마켓 전망 1도토리 조현상
364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디지털 전환의 미래사회 위험이슈 및 대응 전략, 인공지능 역기능을 중심으로 3도토리 조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