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시장분석] 최근 중국 온라인 마케팅 플랫폼 비교와 활용방안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나혜선 조회수 151
용량 570.35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시장분석] 최근 중국 온라인 마케팅 플랫폼 비교와 활용방안.pdf 570.35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5-16 
출처 : 국제무역통상연구원 
페이지 수 : 15 

< 목 차 >

 

1. 최근 중국 온라인 마케팅 환경

 

2. 중국 온라인 마케팅 주요 플랫폼

 

3. 중국 온라인 마케팅 활용 사례

 

4. 결론 및 시사점

 


 

1 최근 중국 온라인 마케팅 환경 □ 중국 인터넷 환경 발전에 따라 네티즌 규모는 지속적으로 확대 중ㅇ 중국 네티즌 규모는 급속한 인터넷 보급 확대에 힘입어 최근 5년간 연평균 6.0%씩 증가하여 지난해 연말 10억명을 돌파 - 중국 인터넷 보급률 추이: (‘17년) 55.8% → (‘19년) 64.5% → (‘21년) 73.0% * 중국인 인터넷 접속 시간은 2021년(연말 기준) 주당 평균 28.5시간 ㅇ 중국 네티즌 대부분이 핸드폰을 통한 모바일 인터넷을 동시에 활용 중□ 중국 온라인 플랫폼의 다양한 콘텐츠 이용자 규모 역시 고속 성장 중ㅇ 중국 온라인 쇼핑, 쇼트클립, 라이브방송 이용자는 2021년 연말 기준 각각 8.4억명(전년대비 7.7%↑), 9.3억명(7.0%↑), 7.0억명(13.9%↑)에 달함《중국 인터넷 보급 및 네티즌 추이(연말 기준)》《중국 네티즌 중 모바일 사용 비중(연말 기준)》 7.72 8.29 9.04 9.89 10.32 55.8% 59.6% 64.5% 70.4% 73.0% 40% 50% 60% 70% 80% 0 2 4 6 8 10 12 14 2017 2018 2019 2020 2021 (억명) 네티즌 규모 인터넷보급률 7.52 8.17 8.97 9.86 10.29 97.5% 98.6% 99.3% 99.7% 99.7% 80% 85% 90% 95% 100% 0 2 4 6 8 10 12 2017 2018 2019 2020 2021 모바일 네티즌 규모 모바일 네티즌 비중 *출처: 중국인터넷정보센터-(中国互联网络发展状况统计报告) 《중국 온라인 쇼핑 이용자수》 《중국 쇼트클립 이용자수》 《중국 라이브방송 이용자수》 5.33 6.1 7.1 7.82 8.42 0 2 4 6 8 10 2017 2018 2019 2020 2021 (억 명) 6.48 7.73 8.73 9.34 0 2 4 6 8 10 2018 2019 2020 2021 (억 명) 4.22 3.97 5.60 6.17 7.03 0 2 4 6 8 10 2017 2018 2019 2020 2021 (억 명) *출처: 중국인터넷정보센터-(中国互联网络发展状况统计报告)2 중국 온라인 마케팅 주요 플랫폼 ※ 동 보고서에서는 중국의 여러 유형별1) 온라인 마케팅 플랫폼 중 최근 중국 광고주가 선호하는 더우인/콰이쇼우/샤오홍슈/비리비리 4종 플랫폼을 비교□ 최근 중국 광고주는 마케팅 목적의 온라인 플랫폼으로 더우인(抖音), 샤오홍슈(小红书), 비리비리(bilibili), 콰이쇼우(快手) 순*으로 선호 ㅇ 2021년 중국 광고주를 대상으로 한 「2021 브랜드 온라인 마케팅 조사」 결과, 더우인이 마케팅비 투입을 확대한 플랫폼 중 71%를 차지하여 광고주가 가장 선호하는 마케팅 수단으로 나타남 - 이어서 광고주는 각각 샤오홍슈(51%), 비리비리(9%), 콰이쇼우(9%) 순으로 마케팅비 투입을 확대 ㅇ 또한, 2020년 연말 기준 광고투입액은 비리비리, 더우인, 샤오홍슈가 각각 전년대비 141%, 119%, 52%씩 증가 * 4종의 플랫폼은 SNS 및 동영상 기반 마케팅 플랫폼으로서 타오바오, 징둥 등 전문적인 전자상거래 플랫폼은 비교 대상에서 제외함 1) 중국 주요 플랫폼은 주요 마케팅 특징에 따라 ➊SNS形(위챗, 웨이보, 샤오홍슈 등), ➋동영상(더우인, 콰이쇼우, 요우쿠, 비리비리 등), ➌전자상거래(타오바오, 징동 등), ➍검색엔진/언론(바이두, 시나 등) 유형으로 구분 *출처: (사)중국경영연구소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64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전략 1도토리 이지훈
364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사업체 규모별 청년 고용의 분포적 특성과 시사점 1도토리 이지훈
364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 제조업의 혁신투자 1도토리 이지훈
3645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2022년 소상공인 보증공급 정책 방향 1도토리 오민아
3644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기준금리 상승이 주요 제조업에 미치는 영향 및 시사점 1도토리 오민아
364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시니어 기술창업 실태와 활성화 방안 1도토리 오민아
364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대전환 시대 탄력적 글로벌가치사슬(GVC) 구축 및 한국에 대한 시사점 3도토리 오민아
3641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빅데이터 이용 활성화를 통한 한국관광 발전 1도토리 오민아
364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글로벌 공급망을 둘러싼 대외 여건 변화와 대응 방안 1도토리 오민아
3639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빅데이터 시대의 효율적 플랫폼 정부 방안 1도토리 오민아
3638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유로지역 국채 스프레드 변동성 확대 배경과 전망 1도토리 오민아
363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50가지 키워드로 본 한국 디자인 진흥 50년 7도토리 오민아
3636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천연가스 공급차질관련 독일경제 리스크 평가 1도토리 오민아
363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JP모건의 메타버스 비즈니스 전략 및 시사점 1도토리 오민아
363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글로벌 은행들의 초개인화 뱅킹 사례와 시사점 1도토리 안소영
363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항공운송 및 후방산업 격리의무 완화에 따른 수혜업종 전망 1도토리 안소영
363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글로벌 PE사의 사업다각화 사례와 시사점 1도토리 안소영
363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주요 양식어류 수급전망 고도화를 위한 모형 구축 연구 7도토리 안소영
363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글로벌 수산물 수출 경쟁우위 및 결정요인 분석 7도토리 안소영
362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에 관련하여 항만에서 대응방안 연구 7도토리 안소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