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농업 혁신과 농촌 재생을 위한 농정 전략 및 과제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130
용량 430.52K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농업 혁신과 농촌 재생을 위한 농정 전략 및 과제.pdf 430.52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4-15 
출처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페이지 수 : 100 

< 목 차 > 

 

CHAPTER 01 농업·농촌의 대내외 여건

 

 CHAPTER 02 농정 틀 전환 추진과 성찰

 

CHAPTER 03 농업·농촌·농정 지향점과 농정 전략

 

CHAPTER 04 20대 핵심 과제

 


 

≑ 농업인 고령화와 농업 노동력 부족은 농업 혁신과 지속가능성을 위협 ⇾ 상대적으로 열악한 농촌 삶의 질 기반과 불충분한 농업소득은 농업인의 고령화와 젊은 세대의 농업 기피를 초래하여 농업의 혁신성과 지속가능성을 위협함. - 농가인구는 2000년에 4,031천 명이었으나 2020년에는 2,314천 명으로 감소하였음. - 농업종사가구원 중 청년층의 수는 2010년에는 156천 명이었으나 2020년에는 61천 명 으로 감소함. 반면 농업 종사 가구원 중 고령층의 수는 같은 기간 동안 875천 명에서 902천 명으로 증가함. - 현재 농림어업취업자의 약 64%가 10년 후에 70대 이상이 될 것이며 이로 인해 영농 은퇴와 포기가 광범위하게 발생할 것으로 전망됨.⇾ 미래 농업·농촌을 열어가는 청년농업인 육성, 고령농의 노후 소득 확충, 다양한 경영승계 활성화를 통해 청년들과 함께하는 혁신적 농업으로 전환 필요 ⇾ 코로나19 등으로 인한 노동력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외국인 계절근로자제 활용 확대, 인력 정보 지원 등 국내외 농업 노동력 공급 확대 정책 강화 필요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농업 혁신과 농촌 재생을 위한 농정 전략 및 과제 7도토리 국준아
359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미국 방위산업 공급망조사 보고서의 주요 내용 및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359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조선인력 수급의 문제점과 대응 방안 1도토리 국준아
359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국 반도체산업의 공급망 현황 및 자립화 전략 1도토리 국준아
3592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재편 움직임 및 정책적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359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제조업+인공지능 응용 현황과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3590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국토환경분야 그린뉴딜 ODA의 추진방향 1도토리 국준아
3589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모빌리티 패턴 변화 1도토리 국준아
3588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End to End 지능형 자동화, 하이퍼오토메이션 1도토리 국준아
358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혁신도시와 주변지역의 연계실태 및 상생발전전략 1도토리 국준아
358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공공임대주택과 주거급여제도의 정책효과 분석 및 성과제고 방안 1도토리 김민성
358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경기도 고용노동 행정서비스 개선에 대한 정책 방안 7도토리 김민성
3584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경기북부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위한 3대 전략 3도토리 조현상
3583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스마트한 규제로 새로운 성장동력 만들기 3도토리 조현상
3582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동향] 국가별 바이오안전성 동향_미국 2022 7도토리 안소영
3581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분석] 러-우크라 전쟁이 GMO 곡물 교역에 미치는 영향.pdf 1도토리 안소영
358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1년 대한민국 무역(수출 유망 산업 및 국가 발굴) 7도토리 조현상
3579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분석] 산업용 LMO의 위해성평가기관 운영 제도 개선방안 1도토리 안소영
3578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주요 밀가루 가공식품 수출입 동향(베이커리류 및 면류 중심) 3도토리 조현상
357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우리나라 산업기술인력 수급 현황(2020년도 기준) 1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