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정책분석] 공공임대주택과 주거급여제도의 정책효과 분석 및 성과제고 방안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김민성 조회수 45
용량 445.69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정책분석] 공공임대주택과 주거급여제도의 정책효과 분석 및 성과제고 방안.pdf 445.69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5-16 
출처 : 국토연구원 
페이지 수 :

공공임대주택1)과 주거급여는 막대한 예산이 투입될 뿐만 아니라 정책효과 또한 많은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주거복지정책의 핵심 •2020년 기준 공공임대주택 공급을 위한 중앙정부의 출자 집행액은 4조 3,942억 원, 이는 주거복지정책 관련 예산 30.4조 원 중 14.5%에 해당하는 규모 •GDP 대비 공공임대주택 투자비중은 0.53%(2015년 기준)로 OECD조사국 중 최고 수준(장경석, 송민경 2020, 1) •2020년 기준 주거급여 지원을 위해 약 1조 6,325억 원의 중앙정부 재정을 사용2), 이 중 주거급여 예산으로 1조 5,910억 원 책정(국고보조율은 평균 82.31% 수준)(국회 국토교통위원회 2020) 공공임대주택 재고는 166만 호3)(2019년 기준), 주거급여 수급가구수는 118.9만 가구(2020년 12월 기준)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는 주거복지정책이 당초 수립 목적에 부합하고, 수혜자에게는 충분한 정책효과가 나타나고 있는지 분석할 필요 주: 2021년 예산안 기준이며, 2020년 이전은 결산액 기준. 자료: 대한민국정부 각 연도 예산안 및 결산액; 국토교통부 각 연도 주택도시기금 업무편람; 장경석, 송민경 2020, 89를 재구성 (2019, 2020년은 국회예산정책처 2020; 2021 참조).공공임대주택은 시기마다 다른 명칭으로 불렸으며, 1989년 영구임대주택을 공급하기 시작한 이래 2008년부터 본격적으로 다양한 공공임대주택이 공급•1989년 이후 2019년까지 공급(사업승인 기준)된 공공임대주택은 총 346.6만 호(국토교통부 2020a, 358), 2019년 기준 공공임대주택 재고는 166만 호 •같은 기간 가장 많이 공급된 공공임대주택은 국민임대주택(89.3만 호, 47.7%)이며, 그 다음으로는 전세임대주택 37.6만 호(20.1%), 영구임대주택 24.2만 호(12.9%), 행복주택 19.2만 호(10.3%) •장기공공임대주택 재고 10%를 목표로 2025년까지 240만 호를 공급할 계획(국토교통부 2020b)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671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재편 움직임 및 정책적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367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제조업+인공지능 응용 현황과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3669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국토환경분야 그린뉴딜 ODA의 추진방향 1도토리 국준아
3668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모빌리티 패턴 변화 1도토리 국준아
3667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End to End 지능형 자동화, 하이퍼오토메이션 1도토리 국준아
366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혁신도시와 주변지역의 연계실태 및 상생발전전략 1도토리 국준아
»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공공임대주택과 주거급여제도의 정책효과 분석 및 성과제고 방안 1도토리 김민성
366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경기도 고용노동 행정서비스 개선에 대한 정책 방안 7도토리 김민성
3663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경기북부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위한 3대 전략 3도토리 조현상
3662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스마트한 규제로 새로운 성장동력 만들기 3도토리 조현상
3661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동향] 국가별 바이오안전성 동향_미국 2022 7도토리 안소영
3660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분석] 러-우크라 전쟁이 GMO 곡물 교역에 미치는 영향.pdf 1도토리 안소영
365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1년 대한민국 무역(수출 유망 산업 및 국가 발굴) 7도토리 조현상
3658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분석] 산업용 LMO의 위해성평가기관 운영 제도 개선방안 1도토리 안소영
3657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주요 밀가루 가공식품 수출입 동향(베이커리류 및 면류 중심) 3도토리 조현상
365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우리나라 산업기술인력 수급 현황(2020년도 기준) 1도토리 조정희
3655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2021년 의약외품 허가보고서 3도토리 조정희
3654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금리 상승기 회사채 시장의 특성 변화 1도토리 김민성
3653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가상자산 사업화를 위한 금융회사 및 테크기업의 경쟁과 협력 가속화 1도토리 김민성
3652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코로나19 재확산 및 중국경제 동향 1도토리 김민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