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정책동향] 국가별 바이오안전성 동향_미국 2022
분류 생명공학/바이오 판매자 안소영 조회수 57
용량 855.82K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정책동향] 국가별 바이오안전성 동향_미국 2022.pdf 855.82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4-25 
출처 : 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페이지 수 : 30 

< 목 차 >

 

Ⅰ. 주요 특징

Ⅱ. 법제도

Ⅲ. 승인현황

Ⅳ. 재배현황

Ⅴ. 수출입 및 이용현황

Ⅵ. 인식

 


 

미국은 1986년 발표된 “생명공학기술 규제를 위한 협력체계(Coordinated Framework for Regulation of Biotechnology)”를 바탕으로 유전자변형생물체를 규제 및 관리해 왔으나, 2017년 1월 현대생명공학기술의 발전을 반영하고 기존 협력체계를 개선하기 위한 최종안을 확정해 발표하였습니다. 2019년 6월, 트럼프 대통령은 GM 작물의 규제를 간소화한다는 골자의 “농업생명공학제품에 대한 규제 프레임워크 현대화” 행정명령을 발표하였고, 이에 따라 USDA는 2020년 5월 “Sustainable, Ecological, Consistent, Uniform, Responsible, Efficient(SECURE) Rule”을 발표하여 종합적인 개정을 단행하였습니다. SECURE Rule은 2021년 10월부터 전면 시행되었으며, 면제(exemption), 규제대상심사(RSR), 허가(permit)라는 세 가지 유형의 절차에 따라 유전자변형생물체의 개발, 이동, 환경방출에 대한 규제및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미국은 2022년 1월 1일부터 유전자변형식품에 대한 새로운 표시 규정인 “국가생명공학식품 공개 기준”을 의무 시행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식품 제조업체, 소매 및 수입업체는 유전자변형 성분의 포함 여부에 대해 “생명공학(Bioengineered) 식품”으로 표기해야 하며, 표기 형태를 다양화하고 예외 조항도 마련되었습니다. 유전자가위기술 관련 미국의 규제 방향은 지난 2018년 3월, USDA는 식물 해충(plant pest)이 아니거나 식물 해충을 이용하여 개발된 경우가 아니라면 규제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USDA는 2020년 5월 SECURE Rule을 발표하고 이를 단계적으로 시행하여 이러한 입장을 구체화하였으며, 2021년에는 CRISPR 유전자가위기술을 적용해 개발된 특정 식물 사례들에 대해 면제(Exemption) 결정을내렸습니다. USDA와 FDA는 2020년 12월 GM돼지(GalSafe) 승인을 기점으로 유전자변형 동물의 규제 권한에 대한 논의를 시작하였고, 2021년 1월 농축산용으로 개발되는 동물의 규제 권한을 FDA에서 USDA로 이관하는 내용의 MOU를 맺었습니다. 그러나 2022년 3월 현재까지 해당 MOU의 효력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로 향후 방향성을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한편, FDA는 2022년 3월 유전자가위기술로 개발된 유전자편집 육우(beef cattle) 및 그 제품에 대해 ‘위험성이 낮다’라고 결정하고 FDA의 규제를 적용하지 않는다고 발표하였습니다. EPA는 2020년 5월, 모기 매개 질병의 확산을 통제하기 위해 플로리다州와 텍사스州에서 Oxitec社가 개발한 유전자변형 모기를 환경에 방출하는 실험을 승인하였고, Oxitec社는2021년 11월, 플로리다키에서의 실험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다고 발표하였습니다. EPA는 2022년 3월, 약 200만 마리의 유전자변형 모기를 플로리다州와 캘리포니아州에방출하는 실험에 대해 승인하였고, Oxitec社는 현재 캘리포니아州 정부의 승인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이는 사상 최대 규모의 유전자변형 모기의 환경방출 실험으로 많은 연구자 및 생태학자, NGO, 대중들의 관심과 우려 속에 진행 될 것으로 보입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671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재편 움직임 및 정책적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367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제조업+인공지능 응용 현황과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3669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국토환경분야 그린뉴딜 ODA의 추진방향 1도토리 국준아
3668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모빌리티 패턴 변화 1도토리 국준아
3667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End to End 지능형 자동화, 하이퍼오토메이션 1도토리 국준아
366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혁신도시와 주변지역의 연계실태 및 상생발전전략 1도토리 국준아
366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공공임대주택과 주거급여제도의 정책효과 분석 및 성과제고 방안 1도토리 김민성
366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경기도 고용노동 행정서비스 개선에 대한 정책 방안 7도토리 김민성
3663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경기북부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위한 3대 전략 3도토리 조현상
3662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스마트한 규제로 새로운 성장동력 만들기 3도토리 조현상
»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동향] 국가별 바이오안전성 동향_미국 2022 7도토리 안소영
3660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분석] 러-우크라 전쟁이 GMO 곡물 교역에 미치는 영향.pdf 1도토리 안소영
365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1년 대한민국 무역(수출 유망 산업 및 국가 발굴) 7도토리 조현상
3658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분석] 산업용 LMO의 위해성평가기관 운영 제도 개선방안 1도토리 안소영
3657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주요 밀가루 가공식품 수출입 동향(베이커리류 및 면류 중심) 3도토리 조현상
365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우리나라 산업기술인력 수급 현황(2020년도 기준) 1도토리 조정희
3655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2021년 의약외품 허가보고서 3도토리 조정희
3654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금리 상승기 회사채 시장의 특성 변화 1도토리 김민성
3653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가상자산 사업화를 위한 금융회사 및 테크기업의 경쟁과 협력 가속화 1도토리 김민성
3652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코로나19 재확산 및 중국경제 동향 1도토리 김민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