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은 매년 「산업기술인력 수급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 를 발표 ∙ 본 조사는 통계법 제8조에 근거하여 매년 산업기술인력*에 대한 현재 인력과 부족 인력을 산업별・직종 별・지역별・규모별 등으로 조사(일반통계 제115016호) * 고졸 이상 학력자로서 사업체에서 연구개발, 기술직 또는 생산 및 정보통신 업무관련 관리자, 기업임원으로 근무하고 있는 인원 ∙ 본 조사는 산업기술인력의 수급동향을 파악하여 산업기술 인력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조사대상 산업 : 12대 주력산업*을 포함한 제조업** 및 관련 제조업 기반 서비스업*** * 기계, 바이오․헬스, 자동차, 철강, 디스플레이, 섬유, 전자, 화학, 반도체, 소프트웨어, 조선, IT 비즈니스 * *12대 주력산업 중 제조부문과 기타 제조업 * * *12대 주력산업 중 서비스 부문과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영장제작․통신 서비스업, 기타 서비스업 ∙ 조사대상 직업 : 한국표준직업분류 세분류 기준 산업기술인력의 정의를 충족시키는 145개 직업 * 한국표준직업분류(7차 개정: 개정일: ‘18.1.1 세분류 기준 450개) 중 산업기술인력과 관련된 145개 직업 ∙ 조사대상 지역 : 전국 17개 행정구역 * 1개 특별시, 6개 광역시, 1개 특별자치시, 8개 광역도, 1개 특별자치도 ∙ 조사대상 사업체 : 근로자 10인 이상 전국사업체 중 14,678개 표본사업체 * 통계청, 「2019년 기준 전국사업체조사」의 10인 이상 사업체 중 제조업ㆍ사업서비스업 등에 속한 모집단으로 Neyman 최적배분법에 따라 표본 추출 * 산업기술인력 추정 상대표준오차는 0.7% ∙ 조사기준 시점: 2020년 12월 31일 현재 ∙ 조사내용 - 사업체 일반현황 - 산업별, 직업별, 사업체규모별, 지역별, 학력별, 전공별, 고용형태별, 연령별 산업 기술인력 현원 현황 - 산업별, 직업별, 사업체규모별, 지역별, 학력별, 전공별 산업기술인력 부족인원 현황 - 산업별, 직업별, 사업체규모별, 지역별, 경력우무별 퇴사인력, 구인 및 채용인력, 미충원인력, 향후 1년간 채용예상인력 현황 - 산업별, 사업체규모별, 지역별 산업기술인력 부족* 사유 및 미충원인력 발생 사유 등 * 사업체의 정상적인 경영과 생산시설의 가동, 고객의 주문에 대응하기 위하여 현재보다 더 필요한 인원 이번 호에서는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이 발표(2021.12)한 「2021년도 산업기술인력 수급 실태 조사」결과의 주요 내용과 분석 결과 중 일부를 발췌・정리 ∙ 기업규모별, 산업별, 지역 및 직종별 현황을 중심으로 조사 결과를 정리 2020년 우리나라 산업기술인력 수급 현황 Ⅰ 2 Ⅰ KISTEP 브리프 13 2. 총괄 현황 ’20년 말 기준 산업기술인력은 총 1,657,673명으로 전년대비 15,264명(0.9%) 감소 ∙ 이는 10인 이상 사업체의 총 근로자 수 4,869,360명의 34.0%에 해당하는 인력 산업기술인력 부족인원은 전년대비 3.9% 감소한 36,450명으로 부족률*은 2.2% * 부족률 = (부족인원 / (현원 + 부족인원) ) × 100 산업기술인력 현원 및 부족인원 현황(2020년) 총 근로자수(a) 산업기술인력 현원(b) 산업기술인력 비율(b/a) 부족인원 수 부족률 4,869,360 명 1,657,673 명 34.0% 36,450명 2.2% 산업기술인력의 부족이 발생하는 사유로는 ‘인력의 잦은 이직이나 퇴직으로 인해서’가 27.4%로 가장 높음 [그림 1] 기업의 산업기술인력 부족 사유(2020년) 산업기술 부족인력의 미충원 사유로는 ‘직무수행을 위한 학력․자격을 갖춘 인력이 없어서’가 27.1%로 가장 높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