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2021년 의약외품 허가보고서
분류 생명공학/바이오 판매자 조정희 조회수 103
용량 810.58K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2021년 의약외품 허가보고서.pdf 810.58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4-29 
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페이지 수 : 34 

< 목 차 >

 

1. 2021년 의약외품 허가(신고) 일반 현황

 1.1. 개요

 1.2. 일반 현황

 1.3. 주요 분류번호별 품목허가·신고 현황

 

2. 2021년 의약외품 허가 세부 현황

 2.1. 가목 의약외품 품목허가 현황

 2.2. 나목 의약외품 품목허가 현황

 2.3. 가목 및 나목과 유사한 의약외품 허가 현황

 

3. 의약외품 허가 동향

 3.1. 의약외품 허가관리 현황

 3.2. 의약외품 허가 동향 및 ‘21년 의약외품 신규 현황 

 


 

의약외품은 약사법 제2조제7호에서 정의하고 있고 해당 물품은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은 그 범위를 지정하여 고시하고 있다. < 약사법 > 제2조제7호 7. “의약외품(醫藥外品)”이란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물품(제4호나목 또는 다목에 따른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품은 제외한다)으로서 식품 의약품안전처장이 지정하는 것을 말한다. 가.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치료․경감(輕減)․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사용되는 섬유․고무제품 또는 이와 유사한 것 나. 인체에 대한 작용이 약하거나 인체에 직접 작용하지 아니하며, 기구 또는 기계가 아닌 것과 이와 유사한 것 다. 감염병 예방을 위하여 살균․살충 및 이와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는 제제 의약외품으로 신청하고자 하는 경우 약사법령에 따라 안전성․유효성 심사대상, 해당 물품의 공정서 수재 여부 등에 따라 품목허가를 받거나 품목신고를 하여야 하며, 다음의 경우는 품목신고 대상에 해당한다. ○「대한민국약전」 또는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인정하는 공정서 및 의약품집에 실려 있는 품목. 다만, 국내에서 허가되지 아니한 품목은 제외○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기준 및 시험방법을 고시한 품목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고시한 표준제조기준에 적합한 품목  1.2. 일반 현황 ’21년 의약외품 제조판매‧수입 품목허가‧신고는 총 5,067품목이며, ’20년 4,881품목 대비 186품목(3.8%) 증가하였다. 이 중 제조판매는 4,881품목(96.3%)이고 수입은 186품목(3.7%)으로 국내 제조판매 품목이 26배 이상 많았으며, 허가는 4,454품목(87.9%)이고 신고는 613품목(12.1%)으로 품목허가 수가 7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별로 본부는 20품목(0.4%), 지방청은 5,047품목(99.6%)으로 대부분 지방청에서 처리하였으며, 지방청에서 처리한 내용을 분석했을 때 허가 4,434품목(87.9%) 및 신고 613품목(12.1%)이었다. ’21년 제조판매‧수입 품목허가‧신고 현황을 ’20년과 비교했을 때 허가는 878품목(24.6%), 지방청 허가‧신고는 219품목(4.5%) 및 제조판매는 268품목(5.8%)으로 전년 대비 증가했다. 아울러 ’21년 현황을 국내 제조와 수입으로 비교했을 때 대부분 국내 제조(96.3%)에 해당했으며, 이는 ’20년 대비 1.8% 높아졌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2021년 의약외품 허가보고서 3도토리 조정희
3575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금리 상승기 회사채 시장의 특성 변화 1도토리 김민성
357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가상자산 사업화를 위한 금융회사 및 테크기업의 경쟁과 협력 가속화 1도토리 김민성
3573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코로나19 재확산 및 중국경제 동향 1도토리 김민성
3572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금융환경의 긴축적 변화가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 1도토리 김민성
357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디지털 경제와 디지털 대전환 시대의주요 ICT 기술·시장·정책 동향 및 대응방향 3도토리 조정희
357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통화정책의 긴축적 변화가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 1도토리 김민성
356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해외사례 조사를 통한 한국 증권업 및 건전성 규제의 개선 방향 7도토리 김민성
3568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동향] 합성생물학 적용 산물에 대한 규제와 관리 정책 전망보고서 3도토리 조정희
3567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MSCI 선진국지수 편입의 효과, 선결과제 및 시사점 3도토리 김민성
356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신용평가업에 대한 규제강화는 기업 신용평가의 질을 향상시켰는가 7도토리 김민성
3565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재생의료 산업 및 임상 동향 -첨단바이오의약품을 중심으로 3도토리 조정희
3564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소재 신연구방법론 3도토리 김민성
3563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일본 상공금융, 중소제조업체의 디지털전환 대응 포인트 분석 1도토리 김민성
3562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금융플랫폼에 대한 정책대응 및 방안 3도토리 김민성
3561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기후위기 및 보험 산업 7도토리 김민성
3560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미얀마 쿠데타 발발 1년-정치경제 동향 및 한국에 대한 시사점 3도토리 김민성
355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농업부문 데이터 경제 체계 구축을 위한 농업부문 디지털 전환 및 플랫폼 구축 방안 7도토리 나혜선
355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지능형 반도체의 최신 기술 및 산업 동향 7도토리 정한솔
3557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양자기술 과학, 기술, 산업의 분석 7도토리 나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