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동향] 디지털 경제와 디지털 대전환 시대의주요 ICT 기술·시장·정책 동향 및 대응방향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조정희 | 조회수 | 55 | |
---|---|---|---|---|---|---|
용량 | 2.41MB | 필요한 K-데이터 | 3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산업동향] 디지털 경제와 디지털 대전환 시대의주요 ICT 기술·시장·정책 동향 및 대응방향.pdf | 2.41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2-04-05 |
---|---|
출처 :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페이지 수 : | 30 |
< 목 차 >
1. 개요
가. 최근 환경변화
나. 디지털 경제 개념 및 혁신방향
2. 거시적 ICT 기술·시장· 정책 동향
가. ICT 기술 동향
나. ICT 시장 동향
다. ICT 정책 동향
3. 주요 ICT 분야별 기술· 시장·동향
가. 주요 ICT 분야 선정체계
나. 7대 주요 ICT 분야별 동향
4. 시사점 및 정책제언
□ 사회·경제 전반에 디지털 전환에 따른 디지털 경제* 시대로 진입ㅇ 비대면, 온택트가 뉴노멀로 자리 잡으면서 경제·사회 전반에 확산되고, 생산·소비, 수요·공급 등 경제시스템에서 폭넓게 디지털 혁신이 급진전 중* 디지털 기술·인프라·서비스, 데이터 등 디지털 자산 활용에 의존하거나 부가가치가향상되는 모든 경제활동(정부 포함 모든 생산자+소비자가 디지털 정보를 경제활동에활용) □ 세계 주요국은 디지털 경제 선도를 위해 투자를 본격화 ㅇ 디지털 기술, 인프라, 서비스, 데이터 등에 미국, 중국, 유럽 등 세계 주요국들이 경쟁적으로 기술개발 및 기반조성에 막차 * △(미국) 디지털 인프라 고도화, AI 등 첨단기술 연구, △(중국) 데이터, 5G 등新ICT인프라 투자, △(유럽) 디지털 대전환 청사진 등 마련하여 핵심역량집중□ 디지털 新생산요소를 활용하여 디지털 대전환 대응이 필요한 시점ㅇ 전통적 생산요소인 토지, 노동, 자본과 디지털을 융합하여 가상화·공간확장, 휴먼증강·자율화, 디지털자본집적으로 디지털 혁신 경제 시스템으로 전환* △가상화·공간확장 : 메타버스, 위성통신, △휴먼증강·자율화 : 트랜스휴먼, 자율사물, △디지털자본집적 : 디지털트윈, 사이버보안, 블록체인 □ 메타버스, 트랜스휴먼, 디지털트윈 등 7대 분야 현황 및 전망분야 내용 ①메타버스 미래 메타버스 사회로 이행하며 개개인의 니즈와 국가적 역할을 협력을기반으로 충족하는 초실감 가상 디지털 경제로의 확장 전망 ②위성통신 상용기술 기반 초소형 위성을 중심으로 혁신적 서비스가 창출되고, 정지궤도통신위성이 빠르게 대용량 통신위성(HTS)으로 진화 전망 ③트랜스휴먼 다양한 소재 개발과 이종 기술의 융복합을 통해 트랜스휴먼 산업과 시장의발전 및 확대 전망 ④자율사물 디지털 경제 시대 자율사물 기반 서비스・시스템 이용이 의존적으로 보편화됨에따라 필수재로의 자율사물 확산 전망 ⑤디지털트윈 가상과 현실 연결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효율화로 디지털트윈 기반산업경쟁력 제고 및 신산업을 창출 ⑥사이버보안 디지털 대전환 가속화로 사이버〮와 현실 공간의 경계가 불분명해지며, 신뢰도높은 안심 사이버기반 구축 노력 지속 전망 ⑦블록체인 ICT기술의 융복합을 통해 기술이 고도화되고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전망□ 디지털 경제 시대에 대응 디지털 전환(DX)을 산업전반 확산 지원ㅇ 디지털 전환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DX성과로드맵을 마련하고, 혁신적 R&D 지원 플랫폼 구축, 디지털 플랫폼형 인재육성, 기존 D.N.A.와연계 7대 주요 ICT 분야별 차별화된 지원 시스템을 구축하여 추진 1 개 요 가. 최근 환경변화 디지털 전환에 따라 전통적 경제시스템의 근본적 변화가 촉발 비대면, 온택트가 뉴노멀로 자리 잡으면서 사회·경제 전반에 확산되고, 생산·소비, 수요·공급 등 경제시스템에서 폭넓게 디지털화가 급진전 중 * 코로나19 등으로 가속화되어 향후 10~20년간 진행될 디지털 혁신들이 2년간의 변혁으로 압축(한국일본, ’21.10.25.) * 향후 ’30년까지 디지털 전환(디지털 기술)을 통한 생산성 향상과 신규 먹거리 창출로 전 세계 GPD가1경 5,000조원이 추가 성장할 것으로 전망(맥킨지 자료인용 매일경제 기사, ’19.11.22.) AI와 결합된 ICT는 대표적인 범용기술(GPT: General Purpose Technology)로써디지털 혁신에 따라 경제회복 전망 속에서도 K자형 양극화*를 더욱 심화시킬 전망* 경제위기, 코로나19 이후 회복-미회복 그룹간 기업매출, 이익, 개인소득 등 격차가 크게 벌어지는 현상그림 1 코로나19 이후 K자 회복 전개 양상 자료 : 헤럴드경제 기사(2020.11.1.)의 국제금융센터, U.S. Chamber of Commerce(미상공회의소) 재인용디지털 경제의 급성장과 포스트 코로나 시대 글로벌 주도권 경쟁이 가속화세계경제 회복의 기대감 상승 및 비대면 확산에 따른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향후 디지털 경제의 시장규모가 빠른 성장이 예측 * IMF, OECD 등 주요기관들이 ’22년 세계 경제성장률을 4.3%~4.4% 수준으로 전망(KISDI, ’21.10.) * 세계 디지털경제 전망(Markets and Markets, ’21) : (’20) 4,698억 달러 → (’25) 10,098억 달러 (115% 증가)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