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정책분석] 해외사례 조사를 통한 한국 증권업 및 건전성 규제의 개선 방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김민성 조회수 49
용량 1.39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정책분석] 해외사례 조사를 통한 한국 증권업 및 건전성 규제의 개선 방향.pdf 1.39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2-21 
출처 : 자본시장연구원 
페이지 수 : 88 

< 목 차 >

 

Ⅰ. 서론
 
Ⅱ.해외 증권업 건전성 규제 현황 및 시사점
  1. 미국 NCR 규제 방식
    가. 자기자본 규제 연혁
    나. NCR 방법 – 표준방법, 대체방법, 대체순자본방법
    다. 순자본과 헤어컷 산출 방식의 정의
    라. 레버리지비율 규제
  2. 바젤 방식의 건전성 규제
    가. 바젤 방식의 규제 연혁
    나. 바젤 방식의 자기자본 비율 산식
    다. 바젤 방식의 순자본과 위험액 산출 방식
    라. 레버리지비율 규제
  3. IOSCO의 규제 권고안
    가. IOSCO(1989)
    나. IOSCO(1990)
    다. IOSCO(2014)
 
Ⅲ. 한국 증권업 건전성 규제 진단
  1. 한국 증권업 자기자본 규제 현황 
    가. 한국 증권업 자기자본 규제의 연혁
    나. 자기자본 규제 산식
    다. 영업용순자본 및 총위험액 산출 산식
  2. 한국 증권업 자기자본 규제 진단 
    가. 순자본비율 도입의 의의
    나. 증권업 자기자본 규제의 규제 격차 분석
  3. 한국 증권업 레버리지비율 규제의 논의 
    가. 레버리지비율 도입의 의의
    나. 증권업 레버리지비율 규제의 규제 격차 분석
 
Ⅳ. 한국 증권업 건전성 규제의 바람직한 방향
  1. 한국 증권업 건전성 규제의 종합 평가
  2. 자기자본 규제 개선 방향
  3. 레버리지비율 규제 개선 방향

 



증권회사1)는 금융투자상품의 중개와 매매, 자산관리 업무 등을 통해 금융소비자의 니즈를 제고하고 금융혁신과 자본시장의 공정한 경쟁을 촉진하여 금융투자산업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는 것을 목표2)로 한다. 증권회사가 위험자산을 과도하게 보유하거나 위험관리에 소홀하면 대규모 손실 위험에 노출되어 증권회사가 파산의 위험에 처하게 되고, 이로 인해 고객 자산의 손실 뿐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시스템리스크까지 초래할 수 있다. 이에 주요국 감독당국은 증권회사의 파산을 사전에 예방하고 증권회사 파산시 투자자 재산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자기자본 규제, 레버리지비율 규제 등 건전성 규제를 마련하고 있다. 미국은 1967~1970년 증권사무위기(Paperwork Crisis) 및 1970년대초 오일쇼크 영향으로 다수의 브로커-딜러가 파산함에 따라 1975년 브로커-딜러에 대한 자기자본 규제를 확대 개편했다. 영국, 유럽, 일본 등 주요 국가들은 1987년 10월 블랙먼데이 사태를 계기로 각각 1988년, 1996년, 1990년에 증권업에 대한 자기자본 규제를 도입했다. 한국은 일본의 자기자본 규제 제도를 벤치마크하여 1997년 4월에 이르러서야 증권회사에 대한 자기자본 규제를 도입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67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우리 수출기업의 친환경 소비트렌드 대응현황 및 시사점 3도토리 나혜선
367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파키스탄 정권 교체의 배경과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
3677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_글로벌 에너지공급망 변화 및 장, 단기 대응 전략 3도토리 국준아
3676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긴급재난지원금을 통해 관광, 문화예술, 콘텐츠 소비 지출에 미친 영향 7도토리 국준아
367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농업 혁신과 농촌 재생을 위한 농정 전략 및 과제 7도토리 국준아
367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미국 방위산업 공급망조사 보고서의 주요 내용 및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367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조선인력 수급의 문제점과 대응 방안 1도토리 국준아
367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국 반도체산업의 공급망 현황 및 자립화 전략 1도토리 국준아
3671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재편 움직임 및 정책적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367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제조업+인공지능 응용 현황과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3669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국토환경분야 그린뉴딜 ODA의 추진방향 1도토리 국준아
3668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모빌리티 패턴 변화 1도토리 국준아
3667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End to End 지능형 자동화, 하이퍼오토메이션 1도토리 국준아
366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혁신도시와 주변지역의 연계실태 및 상생발전전략 1도토리 국준아
366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공공임대주택과 주거급여제도의 정책효과 분석 및 성과제고 방안 1도토리 김민성
366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경기도 고용노동 행정서비스 개선에 대한 정책 방안 7도토리 김민성
3663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경기북부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위한 3대 전략 3도토리 조현상
3662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스마트한 규제로 새로운 성장동력 만들기 3도토리 조현상
3661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동향] 국가별 바이오안전성 동향_미국 2022 7도토리 안소영
3660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분석] 러-우크라 전쟁이 GMO 곡물 교역에 미치는 영향.pdf 1도토리 안소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