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정책동향] 합성생물학 적용 산물에 대한 규제와 관리 정책 전망보고서
분류 생명공학/바이오 판매자 조정희 조회수 52
용량 835.12K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정책동향] 합성생물학 적용 산물에 대한 규제와 관리 정책 전망보고서.pdf 835.12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4-21 
출처 : 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페이지 수 : 43 

< 목 차 >

 

Ⅰ. 도입 및 배경

 

Ⅱ. 합성생물학에 대한 이해

1. 합성생물학의 정의

 2. 합성생물학 연구·개발 동향

 3. 합성생물학 산업화 동향

 4. 합성생물학에 대한 기대 전망

 

Ⅲ. 합성생물학에 대한 우려

1. 생물다양성 및 국민보건에 대한 우려

2. 기술 접근 용이성에 따른 잠재적 우려

3. 이중 사용(Dual Use) 가능성에 대한 우려

 

Ⅳ. 합성생물학 해외 규제 논의 동향

1. 국제사회 및 주요국 규제 논의

2. 주요국 규제 동향

 

Ⅴ. 합성생물학 국내 규제 논의 동향

1. 합성생물학의 법적 지위

 2. 규제 측면의 법제도 개선 필요성

 

Ⅵ. 합성생물학 관련 그 밖의 주요 이슈

1. 합성생물학 염기서열 정보 및 산물에 대한 특허권

2. 디지털 서열정보(DSI, Digital Sequencing Information) 이익공유

3. 합성생물학 적용 산물로 인한 피해에 대한 책임 및 구제

 

 Ⅶ. 결론

 


 

I. 도입 및 배경 ▶ 합성생물학은 기존 생명체를 모방하거나 자연에 존재하지 않는 인공생물체를 제작및 합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학문 ▶ 합성생물학은 바이오 전(全) 분야의 4차 산업혁명을 촉진하고 주도 ▶ 합성생물학의 잠재적 위험성을 고려한 규제 논의 대응 필요 □ 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Korea Biosafety Clearing House, 이하 “KBCH”라 함)는 『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이하 “유전자변형생물체법”이라 함)』 제32조에 따라 국내외 유전자변형생물체 관련 정보를 취합·제공하며, 유전자변형생물체 안전관리 관련 민관 협력체계를 운영하고 있는 기관으로, 카르타헤나의정서 국가책임기관인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지정 및 위탁받은 법정기관임 □ 최근 합성생물학 등 바이오신기술의 발전에 따른 기대와 우려가 공존하는 시기에 유전자변형생물체 안전관리를 소관하는 관계 중앙행정기관을 중심으로 합성생물학 적용 생물체에 대한 안전관리제도 개선의 필요성이 논의되고 있어, KBCH는 합성생물학 적용 생물체에 대한 국내 유전자변형생물체 관련 규제 정책 전망보고서를 작성하게 되었음 □ 합성생물학은 유전체 기반 기술의 발전과 데이터 축적으로 기존의 유전체 해독(읽기) 에서 유전체 합성(쓰기)으로 패러다임이 변화되면서 급속도로 발전한 분야임 □ 21년 3월 미국에서 번식이 가능한 세포(인공생물체)가 탄생함으로 인하여 현대 과학기술로인하여 인공생물체를 자유롭게 디자인(design)하고 제작(build)하여 활용할 수 있는 세계가 도래하였다 평가할 수 있음 □ 특히 AI Robot을 이용하여 생명시스템을 설계(Design)-제작(Build)-검증(Test)-학습(Learn) 전(全)과정을 자동화한 바이오파운드리 개념이 도입되면서 바이오분야 산업의 혁신이가속화되고 있음 □ 이처럼 바이오와 IT공학의 융합은 완전히 새로운 합성생물학의 시대를 열었으며, 바이오 전(全)분야의 4차 산업혁명을 촉진함 □ OECD, 세계경제포럼 등 국제사회와 생명공학 분야 리더십 그룹의 국가들은 미래 유망기술로 ‘합성생물학’을 선정하여 해당 기술의 미래가치를 인정하고 있음 □ 이 기술로 인하여 세계는 미래의 바이오산업 경쟁에 앞다투어 뛰어들 것이며, 경쟁에 뒤쳐진 후발주자들에게도 역전의 기회를 제공하게 될 것으로 사료됨 - 4 - □ 미국, 중국, 일본, EU등 주요국들은 합성생물학 산업화 실증 단계로 진입하였으나, 우리나라는 정부투자 등 정책지원과 산업화를 위한 환경 조성은 미흡한 단계임 □ 합성생물학이 가지는 잠재적 위험성을 고려하여 연구·개발단계 안전관리, 산업화를 위한위해성평가 및 심사, 합성생물학 기술(process base) 및 산물(product base)의 안전관리, 합성생물학 적용 산물의 이익공유 및 지적재산권, 그리고 합성생물학 기술이나 산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피해에 대한 책임과 구제에 대한 규제 논의가 필요함 □ 본 전망보고서는 합성생물학 적용 산물 중에 살아있는 생물체(Living Organisms)를 중심으로 합성생물학의 정의와 규제 적용 범위, 연구·개발 및 산업화 동향, 국내외규제논의, 마지막으로 합성생물학과 관련된 기타 이슈를 다루고 있음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67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우리 수출기업의 친환경 소비트렌드 대응현황 및 시사점 3도토리 나혜선
367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파키스탄 정권 교체의 배경과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
3677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_글로벌 에너지공급망 변화 및 장, 단기 대응 전략 3도토리 국준아
3676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긴급재난지원금을 통해 관광, 문화예술, 콘텐츠 소비 지출에 미친 영향 7도토리 국준아
367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농업 혁신과 농촌 재생을 위한 농정 전략 및 과제 7도토리 국준아
367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미국 방위산업 공급망조사 보고서의 주요 내용 및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367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조선인력 수급의 문제점과 대응 방안 1도토리 국준아
367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국 반도체산업의 공급망 현황 및 자립화 전략 1도토리 국준아
3671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재편 움직임 및 정책적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367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제조업+인공지능 응용 현황과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3669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국토환경분야 그린뉴딜 ODA의 추진방향 1도토리 국준아
3668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모빌리티 패턴 변화 1도토리 국준아
3667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End to End 지능형 자동화, 하이퍼오토메이션 1도토리 국준아
366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혁신도시와 주변지역의 연계실태 및 상생발전전략 1도토리 국준아
366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공공임대주택과 주거급여제도의 정책효과 분석 및 성과제고 방안 1도토리 김민성
366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경기도 고용노동 행정서비스 개선에 대한 정책 방안 7도토리 김민성
3663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경기북부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위한 3대 전략 3도토리 조현상
3662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스마트한 규제로 새로운 성장동력 만들기 3도토리 조현상
3661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동향] 국가별 바이오안전성 동향_미국 2022 7도토리 안소영
3660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분석] 러-우크라 전쟁이 GMO 곡물 교역에 미치는 영향.pdf 1도토리 안소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