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시장동향] 최근 연금시장의 동향과 전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정희 조회수 132
용량 527.5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시장동향] 최근 연금시장의 동향과 전망.pdf 527.5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5-13 
출처 : 하나금융경영연구소 
페이지 수 :

최근 연금시장의 동향 및 전망정 희 수 연구위원(heesoo_jung@hanafn.com) 국내 연금시장은 명목 GDP 대비 84%를 차지할 정도로 성장하였으나, 사적연금시장의 비중은 3년 연속 감소하였다. 사적연금시장의 주된 변화는 연금보험의 위축과 개인형 IRP의 급성장, 연금펀드 중심으로 20~30대 신규 가입 증가, 퇴직연금의 예금‧ 펀드비중 확대, 종신형 연금수령 증가 등이다. 향후 사적연금시장이 포트폴리오를 직접 조정할 수 있는 개인형 IRP 중심으로 재편될 것으로 예상되는 바 중산층의 안정적인 노후생활을 위한 세제혜택, 일시금 인출 제한 등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 국내 연금시장의 규모 및 사적연금 비중 ∎ 연금 유형별 비중 변화 (2018년 vs 2021년) 30 40 50 60 0 400 800 1200 1600 2000 13 14 15 16 17 18 19 20 21 주택연금 개인연금 퇴직연금 공적연금 사적연금 비중(우) (조원) (%) 51.1% 54.6% 2.5% 2.4% 13.7% 14.3% 1.3% 2.7% 10.8% 9.2% 15.8% 12.0% 4.6% 4.8% 0% 20% 40% 60% 80% 100% 2018년 2021년 국민연금 4대직역연금 퇴직연금(DB+DC+기업형 IRP) 퇴직연금(개인형 IRP) 개인연금(세제적격) 개인연금(세제비적격) 주택연금 자료 : 금융감독원, 주택금융공사 자료 : 금융감독원, 주택금융공사 „ '21년말 기준으로 국내 연금시장은 전년비 11.3% 증가한 1,737조원을 기록 z 최근 국민연금 개혁에 대한 요구가 커지는 가운데 국내 연금시장은 공적연금을 중심으로 높은 증가세를 보이면서 명목 GDP 대비 84%를 차지 ╺ '21년말 현재 공적연금(국민연금+4대 직역연금)은 948.7조원에 이르고, 사적연금 (개인연금+퇴직연금+주택연금)은 747.2조원을 기록 ╺ 최근 3년간 국민연금의 운용수익률이 연평균 9%를 상회하는 등 사적연금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면서 공적연금의 성장을 견인 z 다만, 사적연금 비중은 '18년 46.4%에서 '21년 43.0%로 감소세를 이어갔는데, 최근 3년간 사적연금의 증가율은 공적연금보다 낮은 연평균 8.8% 수준 z 유형별로 보면 국민연금이 54.6%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개인연금(세제적 격+세제비적격)과 퇴직연금이 각각 21.2%, 17%, 주택연금이 4.8%를 차지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608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부정경쟁방지법 적용에 대한 해석 1도토리 나혜선
360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시장진입에 대한 네거티브리스트 2022년판 1도토리 나혜선
3606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중국 의료미용 시장 발전 현황 및 시사점 1도토리 나혜선
3605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최근 중국 최저임금 추이와 시사점 1도토리 나혜선
360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징동 글로벌 MD(상품 기획자)가 본 한국소비제품의 중국 온라인 플랫폼 진출방안 3도토리 나혜선
3603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최근 중국-아프리카 무역 및 투자 동향 1도토리 나혜선
3602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중국 아웃도어 용품 시장 발전 현황과 전망 1도토리 나혜선
3601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최근 중국 온라인 마케팅 플랫폼 비교와 활용방안 1도토리 나혜선
3600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우리 수출기업의 친환경 소비트렌드 대응현황 및 시사점 3도토리 나혜선
359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파키스탄 정권 교체의 배경과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
3598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_글로벌 에너지공급망 변화 및 장, 단기 대응 전략 3도토리 국준아
3597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긴급재난지원금을 통해 관광, 문화예술, 콘텐츠 소비 지출에 미친 영향 7도토리 국준아
359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농업 혁신과 농촌 재생을 위한 농정 전략 및 과제 7도토리 국준아
359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미국 방위산업 공급망조사 보고서의 주요 내용 및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359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조선인력 수급의 문제점과 대응 방안 1도토리 국준아
359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국 반도체산업의 공급망 현황 및 자립화 전략 1도토리 국준아
3592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재편 움직임 및 정책적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359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제조업+인공지능 응용 현황과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3590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국토환경분야 그린뉴딜 ODA의 추진방향 1도토리 국준아
3589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모빌리티 패턴 변화 1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