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정책분석] 포스트 코로나 시대 농촌관광의 패러다임 전환 및 정책 과제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국준아 | 조회수 | 51 | |
---|---|---|---|---|---|---|
용량 | 10.34MB | 필요한 K-데이터 | 7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정책분석] 포스트 코로나 시대 농촌관광의 패러다임 전환 및 정책 과제.pdf | 10.34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2-03-30 |
---|---|
출처 :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페이지 수 : | 208 |
< 목 차 >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연구의 주요 내용과 방법
제2장 농촌관광 및 주요 정책의 변화
1. 농촌관광의 개념과 범위
2. 국내 농촌관광 정책의 시기별 주요 내용
3. 코로나 시대 해외의 농촌관광 활성화 정책
4. 농촌관광 정책 변화와 최근 동향 논의의 시사점
제3장 코로나 시대의 농촌관광 실태
1. 코로나로 인한 농촌관광의 영향 분석
2. 코로나 시대 도시민의 농촌관광 경험 실태와 향후 수요
3. 코로나 시대 농촌관광 공급 주체의 운영 실태와 정책 수요
4. 소결 및 시사점
제4장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준비하는 농촌관광 국내외 지역 사례
1. 사례 조사 개요 ·
2. 국내 지역 사례
3. 해외 사례
4. 국내 및 해외 사례의 시사점
제5장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농촌관광 활성화를 위한 정책 과제
1. 포스트 코로나 시대 농촌관광의 패러다임 전환 방향
2. 포스트 코로나 시대 농촌관광 활성화 정책 과제와 추진 전략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한국전쟁 이후 대한민국은 국가 재건을 위해 수십 년간 모든 역량을 동원하여 성장을 이룩해 왔다. 이를 통해 해외 원조에 의존해야 했던 상황에서 수입 대체 경 공업, 중화학공업, 반도체 및 IT 등의 첨단산업, 문화산업 등에 이르는 다양한 분 야에서 성장을 거듭해 왔다. 2021년 9월에는 유엔무역개발회의가 대한민국의 지 위를 개도국에서 선진국으로 변경함으로써 이제 우리나라도 명실상부한 선진국 반열에 올라섰다. 국가 경제가 커지고 개인의 소득이 증가하면서 자연스럽게 성장하는 분야가 형 성되는데, 그중 하나가 관광이다. 2019년 기준 우리 국민의 85.0%가 당해연도 1년 사이 국내관광을 다녀왔으며(국내여행 경험률은 92.4%), 국민의 23.2%는 해 외여행을 다녀온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당해연도 연간 국내여행 지출액이 총 44조 1천 830억 원에 이를 정도로 관광시장의 규모도 거대해졌다(문화체육관광부 2020). 우리 국민의 인바운드 및 아웃바운드 여행 총량이 2018년도에 이미 4천만 시대에 진입하여, 여행 또는 관광이 이제 우리 일상의 중요한 부분이 될 정도로 확 대되었다(장병권 2019).국민의 관광 수요가 크게 증가하면서 농촌관광에 대한 관심도 커졌다. 다만 농 촌관광은 국민의 수요 증가뿐만 아니라 공급 측면에서 국가가 정책적으로 확대를 이끈 측면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즉 1980년대 중반부터 지속적으로 확대된 선진국 들의 농산물시장 개방 압력, 도시 가구와 농가의 소득 격차 심화, 농촌에서의 새로 운 소득 창출 방안의 필요 등의 상황 속에서 우리 정부는 1980년대부터 오늘에 이 르기까지 농촌관광 활성화를 위한 정책사업을 꾸준히 실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난 30여 년 동안 우리나라 농촌관광은 외형적으로도 확대되었을 뿐만 아니라, 제도적 정비를 통해 질적인 측면에서도 지속적으로 개선되어 왔다. 먼저 농촌관광 관련 법적·제도적 정비와 관련해, 1983년 「농어촌소득원개발촉진 법」의 제정을 시작으로 1984년부터 관광농원이 개발되기 시작한 이후로 1989년 농어촌관광휴양단지개발사업, 1991년 민박마을지원사업 등이 추진되면서 농외 소득 증대정책의 하나로 농촌관광이 도입·확대되기 시작하였다(김광선 외 2016). 2007년에는 「도시와 농어촌 간의 교류촉진에 관한 법률」(「도농교류법」)을 제정 하면서 농촌체험·휴양마을 사업자 지정 등 농촌관광 사업 추진에 관한 법적 근거 를 마련하였고(김광선 외 2016), 이후 동 법에 근거하여 체험관광보험(안전보험) 과 화재보험을 도입하고 2013년 농촌관광 등급제를 실시하는 등 농촌관광 활성화 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구축하였다. 농촌관광의 공급과 수요 역시 꾸준히 증가하였다. 농촌체험·휴양마을은 매년 증가하여 2019년 말 기준으로 1,115개에 이르고 있으며, 농촌관광 총량 역시 2003 년 대비 2018년 국민 농촌관광 횟수와 일수가 각각 12.3배 및 11.5배 증가하였다. 농촌관광 경험률의 경우 2003년 전 국민의 8.1%에 불과했던 상황에서 2018년에 는 동 비율이 41.1%까지 증가하였다(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2019).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